• SEARCH

    통합검색
세모계
    • Dark Mode
    • GNB Always Open
    • GNB Height Maximize
    • Color
    • Brightness
    • SINCE 2015.01.19.
    • 세모계 세모계
    •   SEARCH
    • 세상의 모든 계산기  
      • 자유(질문) 게시판  
      • 계산기 뉴스/정보  
      • 수학, 과학, 공학 이야기  
      • 세모계 : 공지 게시판  
        • 구글 맞춤검색  
    • TI  
    • CASIO  
    • HP  
    • SHARP  
    • 일반(쌀집) 계산기  
    • 기타계산기  
    • 세모계
    • by ORANGEDAY
  • TI
    • TI nspire
    • [TI-nspire] 지수 회귀 방정식, Exponential Regression

    • Profile
      • 세상의모든계산기
      • 2024.10.24 - 19:42 2024.10.23 - 22:54 442 5

    image.png

     

    1. 실험 DATA

     

    특정 미생물의 농도는 이론적으로 시간에 따라 다음 식과 같이 변한다고 한다. 

    $$ C = a \cdot \exp(-b \cdot t) = a \cdot e^{-b \cdot t}$$

     

     

    실험에서 시간 \( t = 1 \)부터 \( t = 2.5 \)까지의 4개의 데이터 포인트에 대해 미생물 농도 \( C \) 값은 다음과 같다:

    \[
    \begin{array}{|c|c|}
    \hline
    t & C \\
    \hline
    1.0 & 6.05 \\
    1.5 & 4.73 \\
    2.0 & 3.69 \\
    2.5 & 2.86 \\
    \hline
    \end{array}
    \]

     

     

    2. 회귀 방정식 (Regression)

     

    주어진 식 \( C = a \cdot \exp(-b \cdot t) \)는 지수 함수 형태로, 지수적으로 감소하는 함수이기 때문에 이를 지수적 감소(exponential decay) 모델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원래의 모형(공식)을 알고 있다면 그 모형과 가장 유사한 방식의 회귀 방정식을 선택하면 되고,

    원래의 모형을 모르는 경우라면 데이터 값의 추세를 보고 결정해야 합니다.

     

    위의 예에서는 (데이터 값이 적긴 하지만) 시간에 따라 자연적으로 감소하는 데이터의 형태를 보입니다.

    예를 들어 방사성 붕괴나 미생물 성장/감소 등이 이러한 데이터 추세를 가집니다. 

     

    이러한 형태의 비선형 회귀 방정식을 지수 회귀 방정식(exponential regression)이라고 합니다.

    실험 데이터를 바탕으로 지수 회귀 방정식의 \( a \)와 \( b \) 값을 추정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따릅니다. 

     

    1. 양변에 자연 로그 취하기


    주어진 식을 선형화하기 위해 양변에 자연 로그를 취합니다. 
    \[
    \ln(C) = \ln(a) - b \cdot t
    \]
    즉, \( \ln(C) \)는 \( t \)에 대한 선형 함수가 됩니다:
    \[
    \ln(C) = -b \cdot t + \ln(a)
    \]
    이 식은 기울기가 \( -b \)이고, 절편이 \( \ln(a) \)인 직선 방정식입니다.

     

    2. 데이터를 선형화


    실험 데이터에서 \( t \)와 \( C \)의 값을 이용하여 \( \ln(C) \) 값을 계산합니다.

    \[
    \begin{array}{|c|c|c|}
    \hline
    t & C & \ln(C) \\
    \hline
    1.0 & 6.05 & \ln(6.05) = 1.800 \\
    1.5 & 4.73 & \ln(4.73) = 1.554 \\
    2.0 & 3.69 & \ln(3.69) = 1.306 \\
    2.5 & 2.86 & \ln(2.86) = 1.051 \\
    \hline
    \end{array}
    \]

     

    3. 선형 회귀 분석


    이제 \( \ln(C) \)와 \( t \)의 관계를 나타내는 선형 방정식의 기울기와 절편을 구하기 위해 선형 회귀 분석을 수행합니다. 선형 회귀는 다음과 같은 방정식을 사용합니다:

     

    - 기울기 \( m \) (즉, \( -b \))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
      m = \frac{n \sum t_i \ln(C_i) - \sum t_i \sum \ln(C_i)}{n \sum t_i^2 - (\sum t_i)^2}
      \]
    여기서:
    - \( n = 4 \) (데이터 포인트의 개수)
    - \( t_i \)와 \( \ln(C_i) \)는 주어진 데이터에서 가져옵니다.

     

    데이터를 정리
    \[
    \begin{array}{|c|c|c|}
    \hline
    t_i & C_i & \ln(C_i) & t_i^2 & t_i \ln(C_i) \\
    \hline
    1.0 & 6.05 & 1.800 & 1.0 & 1.0 \cdot 1.800 = 1.800 \\
    1.5 & 4.73 & 1.554 & 2.25 & 1.5 \cdot 1.554 = 2.331 \\
    2.0 & 3.69 & 1.306 & 4.0 & 2.0 \cdot 1.306 = 2.612 \\
    2.5 & 2.86 & 1.051 & 6.25 & 2.5 \cdot 1.051 = 2.628 \\
    \hline
    \end{array}
    \]

     

    각 합을 계산
    이제 필요한 합들을 계산해보겠습니다:

    1. \( \sum t_i = 1.0 + 1.5 + 2.0 + 2.5 = 7.0 \)
    2. \( \sum \ln(C_i) = 1.800 + 1.554 + 1.306 + 1.051 = 5.711 \)
    3. \( \sum t_i^2 = 1.0 + 2.25 + 4.0 + 6.25 = 13.5 \)
    4. \( \sum t_i \ln(C_i) = 1.800 + 2.331 + 2.612 + 2.628 = 9.371 \)

     

    기울기 \( m \) 계산
    이제 이 값들을 공식에 대입해 \( m \)을 계산합니다.

     

     \[
     m = \dfrac{4 \cdot 9.371 - 7.0 \cdot 5.711}{4 \cdot 13.5 - 7.0^2}  = -0.499 
     \]

     

     

    - 절편 \( c \) 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
      c = \frac{\sum \ln(C_i) - m \sum t_i}{n}
      \]

    여기에 이미 계산된 값을 대입해보겠습니다:

    - \( \sum \ln(C_i) = 5.711 \)
    - \( m = -0.499 \)
    - \( \sum t_i = 7.0 \)
    - \( n = 4 \)

    $$ \text{절편 } c = \dfrac{5.711 - (-0.499 \times 7.0)}{4} = 2.301 $$

     

     

    선형 회귀 방정식 

    $$ y = mx+c = -0.499 \cdot t + 2.301 $$

     

     

    4. 지수 회귀 방정식으로 전환 : \( a \)와 \( b \) 구하기


    선형 회귀 방정식에서 구한

    기울기 \( m = -0.499\)이 \( -b \)이므로, 이를 이용해 \( b = 0.499\) 값을 구할 수 있고,

    절편 \( c = ln(a \cdot e^{t})|_{t=0} = \ln(a) \)이므로, 이를 이용해 \( a \) 값을 구할 수 있습니다:

    \( a \)는 이 값의 자연 로그 역함수이므로, \( a = \exp(2.301) \approx 9.98 \)입니다.

     

    위 과정을 통해 최종적으로 지수 회귀 방정식을 구하였습니다. 

    $$ C = 9.98 \cdot \exp(-0.499 \cdot t) = 9.98 \cdot e^{-0.499 \cdot t} $$

     

     

    3. TI-nspire 의 활용

     

    기본 데이터 값의 입력 및 계산

     

    image.png

     

    ln(c) 의 선형 회귀 계산

     

    image.png

     

    image.png

    ㄴ ∑ 함수를 말고 sum() 함수에 list 변수를 넣어서 계산하면 간단합니다. 

    ㄴ 여기서는 단지 공식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한 것 뿐입니다. 

     

     

    지수 회귀 직접 계산 

    : 공학용 계산기에는 지수 회귀 방정식 기능이 있기 때문에 앞서 ln(c)를 선형회귀하는 과정이 불필요합니다. 

     

    image.png

     

    그런데

    구해진 TI-nspire 의 지수 회귀 방정식은 $ y = a \cdot e^{-b \cdot t} $ 꼴이 아니고, 

    $ y = a \cdot b^{t} $ 꼴이기 때문에 마지막으로 한번 더 계산이 필요합니다. 

    ㄴ solve 또는 ln() 으로 간단하게 찾을 수 있습니다. 

     

    한번에 찾을 방법은

    (현재 기본 기능만으로는) DataQuest 앱을 이용하는 방법 뿐입니다. : 댓글 참고

    불편하면 프로그램(라이브러리)를 만들어야겠죠. 

    Attached file
    image.png 53.9KB 19image.png 64.6KB 23image.png 62.2KB 23image.png 3.1KB 19exp_regression.tns 4.3KB 22image.png 87.9KB 18
    이 게시물을..
    N
    0
    0
    • [TI-nspire] 경고 문구 설명 Warning : Domain of the result might be larger than the domain of the input.세상의모든계산기
    • [TI-nspire] 통계에서 사용하는 Category List 기능은?세상의모든계산기
    • 세상의모든계산기 25
      세상의모든계산기

      계산기는 거들 뿐
      혹은
      계산기를 거들 뿐

    세상의모든계산기 님의 최근 글

    [HP Prime] Solve 함수 16 1 2025 10.20 세모계 사이트에서 파일 업로드 에러 (Type 7) 발생할 수 있습니다. 56 2025 10.13 언어의 유형과 만남: 고립어, 교착어, 그리고 한본어 현상에 대한 탐구 (written by Gemini) 141 1 2025 10.09 함수 Completesquare, 완전제곱식 변환 기능 98 1 2025 10.08 iptime 공유기 (AX2004T), 유선 핑 테스트 결과 (Ping Test) 427 11 2025 09.24

    세상의모든계산기 님의 최근 댓글

    approx(참 해) 값이 이상하게 튀는 것 같아서 wolfram alpha 로 구해보려고 했는데 수식 길이가 너무 길다고 거부하는 바람에 AI를 이용해 (python 으로) 구해본 것입니다. 참 해가 계산 과정이 너무 길다보니 nspire 계산기에서는 오차가 누적되어 오히려 numeric 한 접근보다도 더 큰 오차가 발생한 듯 하고, 그래서 적절한 해의 x 구간을 벗어나버린 듯 합니다. 2025 10.21 그래프로 확인   그래프 함수로 지정하고, 매우 좁은 구간으로 그래프를 확대해 보면   불연속적인 그래프 모습이 확인됩니다.  이것은 한계 digits(15자리) 이상을 처리하지 못하기 때문일 것이구요.    다만 특이한 점은,  그래프상으로 교점에 해당하는 구간이 73.049507058477≤x≤73.049507058484 사이로 나오는데  -> 이 구간은 'solve에서 여러 방법으로 직접 구해진 해들'은 포함되는 구간입니다.  -> 하지만, '참값인 해를 계산기로 구한 appprox 값 x=73.049507058547'은 포함되지 않는 구간입니다.    2025 10.21 tns 파일 첨부 sol_num_vs_exact.tns 2025 10.21 검증하면  1번 식을 x에 대해 정리하고,  → 그 x 값을 2번 식에 대입해 넣으면   → 그 결과로 x는 사라지고 y에 대한 식이 되니, y에 대해 정리하면 참값 y를 얻음.    얻은 y의 참값을 처음 x에 대해 정리한 1번식에 대입하면 참 값 x를 얻음.    구해진 참값의 근사값을 구하면    x=73.049507058547 and y=23.747548955927     참 값을 approx() 로 변환한 근사값은 원래 방정식 모두를 만족할 수 없지만,  linsolve() 로 찾은 근사값과, AI로 참 값을 근사변환한 값은 원래 방정식 모두를 만족할 수 있습니다.  2025 10.21 그렇다면 해의 참 값은? 먼저, 모든 decimal 값을 유리수로 변환하고,  solve 로 답을 구함.  변수 x로는 구해지는데 y로는 "Error: Resource exhaustion" 발생 // 이유는 모름.    approx(exsol1)  x=73.049507058547 and y=23.747548955927 2025 10.21
    글쓴이의 서명작성글 감추기 

    댓글5

    • Profile 0
      세상의모든계산기
      2024.10.24 - 00:20 2024.10.24 - 00:19 #51156

      최소자승법(최소 제곱법, Least Squares Method)을 행렬로 푸는 방법은 다음과 같은 수식을 사용합니다:


      \[
      \hat{\beta} = (A^T A)^{-1} A^T y
      \]

      여기서:
      - \( A \)는 독립 변수 \( t \)의 행렬
      - \( y \)는 종속 변수 \( \ln(C) \)의 벡터
      - \( \hat{\beta} \)는 구하려는 계수 벡터로, 기울기 \( b \)와 절편 \( \ln(a) \)가 들어갑니다.

       

      1. 행렬 \( A \), \( y \) 정의


      주어진 데이터에서 \( t \)와 \( \ln(C) \) 값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행렬 \( A \)와 벡터 \( y \)를 정의할 수 있습니다:

      # 데이터:
      \[
      \begin{array}{|c|c|}
      \hline
      t & \ln(C) \\
      \hline
      1.0 & 1.800 \\
      1.5 & 1.554 \\
      2.0 & 1.306 \\
      2.5 & 1.051 \\
      \hline
      \end{array}
      \]

      행렬 \( A \)는 상수항(절편)을 포함하기 위해 \( 1 \)을 추가하여 다음과 같이 구성됩니다:

      \[
      A = \begin{pmatrix} 
      1 & 1.0 \\
      1 & 1.5 \\
      1 & 2.0 \\
      1 & 2.5 
      \end{pmatrix}
      \]

      벡터 \( y \)는 종속 변수인 \( \ln(C) \) 값을 사용하여 구성됩니다:

      \[
      y = \begin{pmatrix} 
      1.800 \\
      1.554 \\
      1.306 \\
      1.051 
      \end{pmatrix}
      \]

       

      2. \( A^T A \) 계산


      행렬 \( A^T \)는 \( A \)의 전치 행렬이므로 다음과 같습니다:

      \[
      A^T = \begin{pmatrix}
      1 & 1 & 1 & 1 \\
      1.0 & 1.5 & 2.0 & 2.5
      \end{pmatrix}
      \]

      이제 \( A^T A \)를 계산합니다:

      \[
      A^T A = \begin{pmatrix}
      1 & 1 & 1 & 1 \\
      1.0 & 1.5 & 2.0 & 2.5
      \end{pmatrix} 
      \begin{pmatrix} 
      1 & 1.0 \\
      1 & 1.5 \\
      1 & 2.0 \\
      1 & 2.5 
      \end{pmatrix}
      \]

      \[
      A^T A = \begin{pmatrix}
      4 & 7.0 \\
      7.0 & 13.5
      \end{pmatrix}
      \]

       

      3. \( A^T y \) 계산


      다음으로 \( A^T y \)를 계산합니다:

      \[
      A^T y = \begin{pmatrix}
      1 & 1 & 1 & 1 \\
      1.0 & 1.5 & 2.0 & 2.5
      \end{pmatrix}
      \begin{pmatrix}
      1.800 \\
      1.554 \\
      1.306 \\
      1.051
      \end{pmatrix}
      \]

      \[
      A^T y = \begin{pmatrix}
      1.800 + 1.554 + 1.306 + 1.051 \\
      1.0 \cdot 1.800 + 1.5 \cdot 1.554 + 2.0 \cdot 1.306 + 2.5 \cdot 1.051
      \end{pmatrix}
      \]

      \[
      A^T y = \begin{pmatrix}
      5.711 \\
      9.371
      \end{pmatrix}
      \]

       

      4. 계수 벡터 \( \hat{\beta} \) 계산


      이제 계수 벡터 \( \hat{\beta} \)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
      \hat{\beta} = (A^T A)^{-1} A^T y
      \]

      먼저 \( A^T A \)의 역행렬을 구합니다:

      \[
      (A^T A)^{-1} = \frac{1}{(4 \cdot 13.5 - 7.0^2)} \begin{pmatrix} 13.5 & -7.0 \\ -7.0 & 4 \end{pmatrix}
      \]

      \[
      (A^T A)^{-1} = \frac{1}{5.0} \begin{pmatrix} 13.5 & -7.0 \\ -7.0 & 4 \end{pmatrix}
      \]

      \[
      (A^T A)^{-1} = \begin{pmatrix} 2.7 & -1.4 \\ -1.4 & 0.8 \end{pmatrix}
      \]

      이제 역행렬과 \( A^T y \)를 곱하여 \( \hat{\beta} \)를 구합니다:

      \[
      \hat{\beta} = \begin{pmatrix} 2.7 & -1.4 \\ -1.4 & 0.8 \end{pmatrix} \begin{pmatrix} 5.711 \\ 9.371 \end{pmatrix}
      \]

      \[
      \hat{\beta} = \begin{pmatrix} (2.7 \cdot 5.711) + (-1.4 \cdot 9.371) \\ (-1.4 \cdot 5.711) + (0.8 \cdot 9.371) \end{pmatrix}
      \]

      계산하면:

      \[
      \hat{\beta} = \begin{pmatrix} 15.4197 - 13.1194 \\ -7.9954 + 7.4968 \end{pmatrix}
      \]

      \[
      \hat{\beta} = \begin{pmatrix} 2.3003 \\ -0.4986 \end{pmatrix}
      \]

       

      5. 결과

       

      따라서, \( \hat{\beta} = \begin{pmatrix} 2.3003 \\ -0.4986 \end{pmatrix} \), 이는 다음을 의미합니다:
      - 절편 \( \ln(a) \approx 2.3003 \), 따라서 \( a = \exp(2.3003) \approx 10.0 \)
      - 기울기 \( b \approx 0.4986 \)

      이 방법을 통해 \( a \)와 \( b \) 값을 행렬 계산을 사용하여 구할 수 있습니다.

      댓글
    • 1
      Profile 0
      세상의모든계산기
      2024.10.24 - 00:22 2024.10.24 - 00:22 #51159

      TI-nspire 행렬 기능


      image.png

      Attached file
      image.png 45.9KB 13
      댓글
    • Profile 0
      세상의모든계산기
      2024.10.24 - 01:08 2024.10.24 - 01:06 #51187

      fx-570 을 이용한 계산 방법


      https://allcalc.org/51166

       

      * fx-570 에는 e^X 꼴, A*B^X 꼴 둘 다 있어서 한번에 되는데... 

      스크린샷 2024-10-24 004412.png

       

      왜 TI-nspire 에는 왜 하나만 있지?

      image.png

      있는데 방법을 모르는 것 뿐인가?

       

      Attached file
      스크린샷 2024-10-24 004412.png 1.6KB 32 image.png 45.7KB 21
      댓글
    • 1
      Profile 0
      세상의모든계산기
      2024.10.24 - 18:07 2024.10.24 - 17:52 #51275

      vernier DataQuest 앱에는 해당 기능이 있습니다. Natural exponential Regression


      image.png  image.png

      출처 : https://groups.google.com/g/tinspire/c/97sKKp8WVB0

       


       

      보니까 직접 실험장치를 통해 얻은 데이터만 쓸 수 있는게 아니고, 

      계산기에 입력된 리스트값도 링크해서 쓸 수 있네요. Link from List

       

      스크린샷 2024-10-24 180156.png

      스크린샷 2024-10-24 180304.png

      스크린샷 2024-10-24 180319.png

       

      Attached file
      image.png 210.7KB 31 image.png 142.8KB 20 스크린샷 2024-10-24 180156.png 41.8KB 19 스크린샷 2024-10-24 180304.png 74.2KB 17 스크린샷 2024-10-24 180319.png 18.5KB 15
      댓글
    • Profile 0
      세상의모든계산기
      2024.10.24 - 02:08 2024.10.24 - 02:08 #51194

      그래프로 보면


      image.png

      Attached file
      image.png 60.6KB 16
      댓글
    • 댓글 입력
    • 에디터 전환
    댓글 쓰기 에디터 사용하기 닫기
    • view_headline 목록
    • 14px
    • [TI-nspire] 경고 문구 설명 Warning : Domain of the result might be larger than the domain of the input.
    • [TI-nspire] 통계에서 사용하는 Category List 기능은?
    • 목록
      view_headline
    5
    × CLOSE
    전체 nspire 138 89 11 86, 84, 83 7 BA II Plus 8 공통 1
    기본 (166) 제목 날짜 수정 조회 댓글 추천 비추
    분류 정렬 검색
    • 126 nspire [TI-Nspire] 프로그래밍 If, Lbl, and Goto to Control Program Flow
    • 세상의모든계산기 2024.11.18 - 15:27 248
    • 원본 출처 : https://education.ti.com/html/webhelp/nspire/4.2/NAVHH/TI-NspireNavigatorHelp_EN/Content/M_Programming/PR_Using_If_Lbl_and_Goto.htm You are here: Programming > Using If, Lbl, and Goto to Control Program Flow Using If, Lbl, and Goto to Control Program Flow If 명령어와 여러 If...EndIf 구조는 조건부로 명령문이나 명령문 블록을 실행할 수 있게 해 줍니다. 즉, (예: `x>5`)와 같은 테스트 결과에 따라 실행됩니다. Lbl(레이블)과 Goto 명령어는 함수나 프로그램 내에서 한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분기하거...
    • 125 nspire [TI-nspire] Fundamentals of Differential Equations - 미분 관련 자료
    • 세상의모든계산기 2024.11.18 - 11:22 280
    • Fundamentals of Differential Equations Ninth Edition Fundamentals of Differential Equations and Boundary Value Problems Seventh Edition R. Kent Nagle, Edward B. Saff, and Arthur David Snider 출처 : https://media.pearsoncmg.com/aw/aw_nagle_diffeq_9/nspire/nde9e_nspire.html 챕터3. Calculus and Differential Equations 챕터4. Laboratory Exercises 를 주로 보시면 TI-nspire 미분 기능에 대하여 기초적+응용적인 내용을 공부하실 수 있습니다.
    • 124 nspire [TI-nspire] getmode() / setmode() - 설정 불러오기 / 저장하기
    • 세상의모든계산기 2024.11.17 - 18:49 255
    • getMode(ModeNameInteger) ⇒ value getMode(0) ⇒ list getMode(ModeNameInteger) 이 함수는 ModeNameInteger로 지정된 모드의 현재 설정 값을 반환합니다. getMode(0) 이 함수는 숫자 쌍의 리스트를 반환합니다. 각 쌍은 모드 번호와 설정 번호로 구성됩니다. 아래 표를 참고하여 모드와 해당 설정 값을 확인하세요. Mode Name Mode Integer Setting Integers Display Digits 1 1=Float, 2=Float1, 3=Float2, 4=Float3, 5=Float4, 6=Float5, 7=Float6, 8=Float7, 9=Float8, 10=Float9, 11=Float10, 12=Float11, 13=Float12, 14=Fix0, 15=Fi...
    • 123 nspire [TI-nspire] 계산기 글꼴/폰트 TTF fonts
    • 세상의모든계산기 2015.01.26 - 20:22 2625 1
    • 1. 다운로드 링크 http://education.ti.com/en/us/software/details/en/A1E0A0D6DA69477F9F6DD603CA75EC98/nspire (링크 깨짐) ㄴ 아카이브가 있긴 한데... https://web.archive.org/web/20150324012302/http://education.ti.com/en/us/software/details/en/A1E0A0D6DA69477F9F6DD603CA75EC98/nspire ㄴ 다운로드 안되구요. https://education.ti.com/en/software/search/key-fonts ㄴ 계산기 전체를 모아놓은 페이지는 있지만, nspire CX 용 폰트는 없습니다. 어쩔 수 없이 TINspireKeysCX.ttf 를 검색해 보면 https://eng.m.fontke.com/f...
    • 122 [TI-nspire] 푸리에 급수, 내장함수 & 그래프로 확인하기 - 예제 #2
    • 세상의모든계산기 2024.11.12 - 10:20 247 4
    • 문제 주어진 함수 \( f(x) \)를 \(-π < x < π\) 구간에서 푸리에 급수로 표현하세요. \[ f(x) = \begin{cases} -1, & -π < x < 0 \\ 0, & x=0 \\ 1, & 0 < x < π \end{cases} \] 함수 정의 이 함수 \( f(x) \)는 \(-π < x < π\)에서 정의되어 있으며, 주기 \( T = 2π \)를 가지도록 주기적으로 확장된다고 가정합니다. 즉, \( f(x + 2π) = f(x) \)입니다. 목표 1. 함수 \( f(x) \)의 푸리에 급수를 계산하세요. 2. 푸리에 급수의 일반항을 구하고, 그 결과를 적어도 첫 몇 개의 항으로 나타내세요. 풀이 힌트 1. 주기 \( T = 2π \) 이므로,...
    • 121 nspire [TI-nspire] 푸리에 급수, 내장함수 & 그래프로 확인하기 - 예제 #1
    • 세상의모든계산기 2024.11.11 - 13:48 582 8
    • 문제 주어진 함수 \( f(x) \)를 \(-1 < x < 1\) 구간에서 푸리에 급수로 표현하세요. 함수 정의 \[ f(x) = \begin{cases} x + 1, & -1 < x < 0 \\ 1 - x, & 0 \leq x < 1 \end{cases} \] 이 함수 \( f(x) \)는 \(-1 < x < 1\)에서 정의되어 있으며, 주기 \( T = 2 \)를 가지도록 주기적으로 확장된다고 가정합니다. 즉, \( f(x + 2) = f(x) \)입니다. 목표 1. 함수 \( f(x) \)의 푸리에 급수를 계산하세요. 2. 푸리에 급수의 일반항을 구하고, 그 결과를 적어도 첫 몇 개의 항으로 나타내세요. 풀이 힌트 1. 주기 \( T = 2 \) 이므로, 기본...
    • 120 [PDF] Nspire CAS en MAT265 : fonctions particulièrement utiles, Michel Beaudin
    • 세상의모든계산기 2024.11.13 - 16:34 255
    • Nspire CAS en MAT265 : fonctions particulièrement utiles = 유용한 함수들 출처 : https://ena.etsmtl.ca/pluginfile.php/1596240/mod_resource/content/5/Fonctions%20pour%20Nspire%20CAS_Mat%20265_A-14.pdf tns 라이브러리 : https://cours.etsmtl.ca/seg/mbeaudin/ETS_specfunc.tns https://cours.etsmtl.ca/seg/mbeaudin/documents/Kit_ETS_MB.tns https://cours.etsmtl.ca/seg/mbeaudin/Kit_ETS_FH.tns - 안타깝게도 불어입니다. - 수식/그림 충분히 있으니, 알아서 해석하셔야 합니다. - 라이브러리 파일은 링크한 pdf 파일의 ...
    • 119 nspire TI-nspire 강좌 : ETS
    • 세상의모든계산기 2024.11.14 - 11:11 255
    • https://ena.etsmtl.ca/course/view.php?id=23359#section-1 MAT145의 Nspire-차동 및 적분 미적분 MAT165의 Nspire-선형 대수 및 벡터 분석 MAT210의 Nspire-논리 및 이산 수학 MAT215의 Nspire-최적화를위한 논리 및 이산 수학 MAT265의 Nspire-차등 방정식 MAT472의 Nspire-선형 대수 및 공간의 기하학 일단 불어라서 보기가 힘듭니다. 영어 페이지는 없으니, 브라우저의 자동번역 기능을 적극 활용하셔야 합니다. 유튜브 동영상도 있는데 불어구요. 크게 도움이 될 것 같진 않구요. 예제 tns 파일 받아서 분석해 사용하시는게 최선일 ...
    • 118 nspire 푸리에 트랜스폼, Fourier Transform
    • 세상의모든계산기 2024.11.13 - 14:54 452
    • 원본 출처는 아래 링크입니다. https://web.archive.org/web/20160812201459/http://cb.mty.itesm.mx/ma3002/materiales/ma3002-transformada-fourier-ti.htm ㄴ 링크가 죽어 있어서 아카이브에 링크를 걸었습니다. ※ 이미지는 깨져있는데, nspire 캡쳐 사진으로 추정됩니다. ※ tns 파일 원본은 불어로 되어 있어서, 영어로 AI 번역해 수정하였습니다. ※ 그래프에 변수가 겹치는 문제가 있어서, 수정하였습니다. ※ 라이브러리 파일은 아닙니다. 변환 함수구조는 간단합니다. (page #2) Define tfourier(ff)= Func :© function to calculate...
    • 117 nspire [PDF] Convolution Integrals with Nspire CAS, Conference Paper · July 2014
    • 세상의모든계산기 2024.11.13 - 16:10 411
    • 출처 : https://ena.etsmtl.ca/mod/resource/view.php?id=753878 // PDF에서 사용된 라이브러리 파일(Kit_ETS_FH.tns) 다운로드 가능 https://www.academia.edu/22457647/Convolution_Integrals_with_Nspire_CAS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264541246_Convolution_Integrals_with_Nspire_CAS Overview • Introduction • Convolution of two functions : • Case of Laplace transforms • Continuous LTI systems • Computing the convolution • Symbolic Convolution in Nspire CAS • Conclusion
    • 116 nspire [TI-nspire] [TI-89] 임의의 정수(n) 조건을 계산식에 추가하는 방법 (arbitrary integer constant)
    • 세상의모든계산기 2015.02.21 - 16:59 2539 1
    • 1. 예시 sin(정수*π) 를 입력해서 그 결과로 0 을 얻고 싶다면... 아래와 같이 입력합니다. └ 굵은 n1 과 보통의 n1 일 때, 결과값에 차이가 생깁니다. 위에서처럼 식에 직접 정수 조건을 넣어도 되고, 조건 연산자 【|】 다음에 변수조건으로 입력할 수도 있습니다. 2. 굵은 글씨의 n (=arbitrary integer constant)을 입력하는 방법 방법 1 : 카탈로그에서 가져오기 또는 를 누른다. 표에서 n (arbitary integer constant) 을 찾아 삽입합니다. (4:∞β˚ 탭의) 위에서부터 7번째 줄에 위치 └ n 뒤의 숫자는 일반 숫자키를 눌러 입력합니다....
    • 115 nspire [TI-nspire] [Ti-89] 임의 상수(c1, c2, ...) arbitary constants
    • 세상의모든계산기 2018.11.12 - 10:16 3158 1
    • 1. 상수(c1, c2, ...) 그리고 임의 정수 상수(n1, n2, ...)란? TI-nspire 또는 TI-89 등의 CAS 계산기를 사용하여 계산을 하다보면 결과값에 기울어진 글꼴로 c1, c2, c3,... 또는 n1, n2, n3,... 와 같은 기호가 삽입되는 경우가 간혹 있습니다. 이것의 TI 내부 공식 명칭은 임의 상수(arbitrary constants) 그리고 임의 정수 상수(arbitrary interger constant) 입니다. (c는 상수의 약자로, n은 정수의 약자인데, 계산기 회사마다 표시방법에는 조금씩 차이가 있을 수도 있습니다.) c와 n 뒤에 붙는 숫자는 존재적 의미가 있을 뿐이구요...
    • 114 BA II Plus [BAIIPlus] 이자율 변동에 따른 채권 가치 / 자본이득률 / 수익률
    • 세상의모든계산기 2024.10.26 - 20:23 265
    • 문제 : https://allcalc.org/51433 (주) 버스커 핸섬웨이는 작년에 액면가 1,000원, 표면금리 10%인 30년 만기 채권을 1,000원에 구입했습니다. (표면금리는 연단위로 지급됨) 1년이 지난 지금 시점에 시장금리는 10%에서 20%로 상승했습니다. 금리 상승 전후의 채권 가치 변화를 구하시오. 자본 이득률을 구하시오. 1년 동안의 수익률을 구하시오. 계산기 입력 【29】【N】 【20】【I/Y】 【100】【PMT】 【1000】【FV】 【CPT】【PV】 【+】【1000】【=】 // 이득액 or 손해액 계산 【+|-】 【÷】【1000】【=】 // 투자액 대비 비율 계산...
    • 113 nspire [TI-nspire] 행렬 eigVL 고유값, eigVC 고유벡터 구하기
    • 세상의모든계산기 2015.10.24 - 18:43 7880 7
    • 1. 자동으로 고유값 & 고유벡터 찾는 방법 고유값 함수(eigVL())와, 고유벡터(eigVC()) 함수는 [TI-nspire]에 내장되어 있으므로, 손쉽게 구할 수 있습니다. 행렬 a = 3-110201-13 라고 하면 eigVl()로 구한 고유값의 순서와, eigvc()로 구한 고유벡터는 그 순서가 서로 매칭됩니다. eigVc()로 구한 고유벡터는 정규화(=크기가 1) 된 값입니다. 2. 수동으로 고유값(Eigen Value) 찾는 방법 3×3 행렬을 변수 a 에 저장하고, 행렬식을 이용해 고유 방정식(p(λ))을 찾습니다. solve 로 고유값을 찾습니다. 2(중근)와 4가 나왔습니다. └ 보기 ...
    • 112 nspire [TI-nspire cas] [라이브러리] laplace 라플라스 변환/역변환 2종
    • 세상의모든계산기 2015.02.19 - 14:17 13977 14 1
    • 1. Library Specfunc 다운로드 (서버 에러인 듯) : http://www.univers-ti-nspire.fr/activites.php?lang=&ress_id=82 아카이브 다운로드 : http://web.archive.org/web/20200211031049/http://www.univers-ti-nspire.fr/activites.php?lang=&ress_id=82 사용 방법 specfunc.tns utils.tns 두개의 파일을 mylib 폴더에 복사해 넣으시고 사용하시면 됩니다. 자세한 사용법은 위 다운로드 링크에 동영상으로 나오니 참고하세요. (동영상이 Adobe flash 라서 현재 재생이 불가능합니다) 2개의 파일(specfunc.tns, utils.tns)을 모두 계산기 My...
    • 111 nspire [TI-nspire] 복소수 계산시 설정 주의 (Real or Complex Format)
    • 세상의모든계산기 2016.02.21 - 13:34 5797
    • 1. 설정 [TI-nspire] 에서 복소수 계산을 할 때에는 Document Setting(【Doc▼】【7】【2】) 설정의 "Real or Complex Format"을 꼭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Real 로 세팅하는 경우에는 결과값에 오류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복소수를 다루는 경우에는 Rectangular(직교좌표) 혹은 Polar(극좌표) 둘 중 하나로 꼭 세팅하셔야만 합니다. 2. 예시 In Real Setting 근사값(approx(), 또는 【ctrl】【enter】 계산시 아래와 같은 오류가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In Rectangular Setting In Polar Setting
    • 110 nspire [TI-nspire] 통계, (모평균의) 신뢰 구간 구하는 방법(예제). Statistics - Confidence Intervals
    • 세상의모든계산기 2015.12.24 - 11:26 2080 4
    • 1. 다음 샘플의 모평균에 대한 95% 신뢰구간을 추정하시오. 샘플 = {20,20,25,21,21,23,19,18,22} 문제 출처 : http://math7.tistory.com/66 2. 기본 통계값을 구함 (생략하고 3으로 뛰어도 됨) 【menu】【6】【1】【1】 : One Variable Statistics 3. 신뢰구간 Confidence Intervals 을 구함 tInterval 프로그램은 DATA 를 직접 이용할 수도 있고, 통계값을 이용할 수도 있다. tInterval List [, Freq [, CLevel ]] (Data list input) tInterval x, sx, n[, CLevel] (Summary stats input) 신뢰구간에 대한 요약된 결과는 stat.results 에...
    • 109 nspire [TI-nspire] 경고 문구 설명 Warning : Domain of the result might be larger than the domain of the input.
    • 세상의모든계산기 2024.10.27 - 11:37 427 1
    • 1. TI-nspire의 경고 문구는? TI-nspire 에서 계산을 하다보면 수식 앞에 삼각형(느낌표)표시 가 뜨면서 결과가 표시될 때가 종종 있습니다. 터치패드를 이용해 손가락(커서)을 띄우고 느낌표에 가져다 대면 상세 경고 문구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s://education.ti.com/html/webhelp/eg_tinspire/en/Subsystems/EG_RefGuide/Content/M_RefGuide/RG_Warning_Codes_and_Messages.HTML 경고 코드는 위 링크에서 찾아볼 수 있는 것처럼 다양하지만, 우리가 계산기를 사용하면서 주로 보게되는 것은 몇가지 뿐입니다. ※ 경고문구가 이렇게 ...
    • nspire [TI-nspire] 지수 회귀 방정식, Exponential Regression
    • 세상의모든계산기 2024.10.23 - 22:54 442 5
    • 1. 실험 DATA 특정 미생물의 농도는 이론적으로 시간에 따라 다음 식과 같이 변한다고 한다. $$ C = a \cdot \exp(-b \cdot t) = a \cdot e^{-b \cdot t}$$ 실험에서 시간 \( t = 1 \)부터 \( t = 2.5 \)까지의 4개의 데이터 포인트에 대해 미생물 농도 \( C \) 값은 다음과 같다: \[ \begin{array}{|c|c|} \hline t & C \\ \hline 1.0 & 6.05 \\ 1.5 & 4.73 \\ 2.0 & 3.69 \\ 2.5 & 2.86 \\ \hline \end{array} \] 2. 회귀 방정식 (Regression) 주어진 식 \( C = a \cdot \exp(-b \cdot t) \)는 지수 함수 형태로, 지수적으로 감소하는 함...
    • 107 nspire [TI-nspire] 통계에서 사용하는 Category List 기능은?
    • 세상의모든계산기 2024.10.24 - 15:14 218 1
    • 통계 관련한 각종 함수나 프로그램에서는 각종 변수와 리스트를 입력받습니다. 없으면 에러가 나는 필수 인자들도 있지만, 없더라도 계산 결과에 지장이 없는 선택옵션도 있습니다. Category List / Include Categories 가 바로 선택 옵션에 해당합니다. 그런데 궁금하더군요. 뭐하는 기능인지?? 범주, 분류 하는 기능이긴 할텐데... 구체적으로 어떤 개념으로 사용하는지는 감이 오지 않습니다. Reference Guide 의 설명 OneVar [n,]X1,X2[X3[,…[,X20]]] Category는 X 값에 대응하는 숫자 카테고리 코드 목록입니다. Include는 하나 이상...
    • 1 2 3 4 5 6 7 8 9
    • / 9 GO
    by OrangeDay
    • TI
    • allcalc.org
    • 세모계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