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EARCH

    통합검색
세모계
    • Dark Mode
    • GNB Always Open
    • GNB Height Maximize
    • Color
    • Brightness
    • SINCE 2015.01.19.
    • 세모계 세모계
    •   SEARCH
    • 세상의 모든 계산기
      • 자유(질문) 게시판
      • 계산기 뉴스/정보
      • 수학, 과학, 공학 이야기
      • 세모계 : 공지 게시판
        • 구글 맞춤검색
    • TI
    • CASIO
    • HP
    • SHARP
    • 일반(쌀집) 계산기
    • 기타계산기
    • by OrangeDay
  • TI
    • TI nspire
    • [TI-nspire] 행렬 LU 분해 = LU Decomposition = LU fatorization

    • Profile
      • 세상의모든계산기
      • 2025.04.20 - 15:35 2015.11.02 - 15:55 6752 7

    1. LU 분해란? 

    image.png

    행렬 A 를 Lower 행렬과 Upper 행렬의 곱으로 분해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A = L×U 를 만족하는 행렬 L과 행렬 U를 찾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2. TI-nspire 에서의 LU 명령어

    분명 책에서는 A를 그냥 L*U 로 분해하라고 했는데... 
    nspire 에서는 P*A = L*U 꼴로 지맘대로 변형하여 분해하기 때문에 답안지와 다른 풀이를 보여줄 수도 있습니다. 

     원하는 L × U = A

    K-20151102-577747.png

     

     nspire 에서 바뀌어버린 1행과 2행

    LU Matrix,lMatrix,uMatrix,pMatrix[,Tol]

    11-02-2015 Image002.png
    ㄴ permutation matrix 를 보면 1행과 2행이 바뀐 상황

     

     

    3.  팁 : 행이 섞이지 않게 만드는 방법

    행렬을 LU 꼴로 분해하기 위해 반드시 P(Permutation)를 곱해서 행의 순서를 바꾸어야만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만, 바꾸지 않고도 L*U 분해를 할 수 있음에도 TI 계산기에서 P를 이용해 행의 순서를 바꾸는 경우가 있습니다. 

    P를 활용한 LU분해도 틀린 답은 아니지만... 우리가 원하는 형태의 답은 아닐 수 있기 때문에 (필수적이지 않은!) Permutation 을 피해서, L*U 분해하는 방법을 찾아보겠습니다.


    먼저 "TI의 LU명령에서 행이 바뀌는 원인"을 알아야 합니다. TI-nspire 에서는 LU 명령시에 계수의 절대값을 비교하여 큰 순서로 재배치합니다. (반드시 Permutation 이 일어나야 하는 경우도 결합하여 실행됩니다)

    * 1행 기준은 아니고, 2행 기준으로 하기도 하고... 그렇네요. 

    따라서, 행이 바뀌지 않기를 바란다면 특정 행의 요소 전부에 어떤 값을 곱하여 1열의 계수 절대값을 (원하는 순서대로) 내림차순으로 만들어야 합니다.

    위의 예에서는 1행 1열의 계수와 2행 1열의 계수가 각각 2와 4로서 2행*1열의 절대값이 더 큰 상태입니다. 따라서 1행 전체를 3이상의 수를 곱하여 주면 크기순으로 정리가 됩니다. 그 다음에 LU 명령으로 분해하고 ⇒ 분해된 L'과 U'를 다시 적당히 가공하면 우리가 원하는 답이 도출됩니다. 

     

    <과정 1> 

    A행렬의 1행만을 10배로 만드는 행렬을 M 행렬이라고 하면, M × A = L' × U'  꼴로 분해

    11-02-2015 Image003.png
    ㄴ 일단 순서가 바뀌지 않게 하는 것은 성공함.

     


    <과정 2>

    <과정1>은 M × A = L' × U' 꼴로 분해되었으니,  이를 A = L×U 로 재가공

    A = (M-1 × L' × M) × (M-1 × U')
     L = M-1 × L' × M
     U = M-1 × U'

    11-02-2015 Image004.png

    ※ A= M-1 × L' × U' 의 간단한 꼴이 아닌 A= (M-1 × L' × M) × (M-1 × U') 와 같은 복잡한 식으로 만든 이유는 L의 대각성분을 1로 만들기 위함입니다. 

     

    그런데, 계수의 비교는 1열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고, 1열을 a00 꼴로 만든 후, 2열의 계수를 다시 비교하게 됩니다. 따라서 (2행과 3행의) 2열끼리 계수도 내림차순이 되도록 m배 행렬을 잘 만들 필요가 있습니다.
    위의 예제에서는 다행히도 문제가 발생하지는 않았습니다. 

     

     이 방법은 중간에 Pivot 이 0 이 되어서 반드시 Permutation 을 하여야 하는 경우까지 해결해 주진 않습니다. 

    Attached file
    K-20151102-577747.png 3.3KB 10211-02-2015 Image002.png 9.0KB 9011-02-2015 Image003.png 11.3KB 7411-02-2015 Image004.png 11.0KB 78image.png 2.6KB 28
    이 게시물을..
    N
    0
    0
    • [TI-nspire cas] integral(), 적분, 정적분, 부정적분세상의모든계산기
    • [TI-nspire] DMS, 도분초 관련 기능세상의모든계산기
    • 세상의모든계산기 25
      세상의모든계산기

      계산기는 거들 뿐
      혹은
      계산기를 거들 뿐

    세상의모든계산기 님의 최근 글

    미래 AI의 세 번째 임계점: '자율 AI 에이전트'와 '효율성'의 만남 14 2025 11.06 AI 발전의 두 번째 임계점: LLM과 창발적 능력의 시대. written by gemini-2.5 14 2025 11.06 AI 발전의 첫 번째 임계점: GPU와 딥러닝 혁명. written by gemini-2.5 15 2025 11.06 적록 색약 보정 렌즈(안경) 를 컴퓨터로 시뮬레이션 해본다면? 100 7 2025 11.04 [ticalc.org 펌] Gamma & Zeta function +more. 감마 제타 함수 외 132 2 2025 10.29

    세상의모든계산기 님의 최근 댓글

    HP-39gII 에 ExistOS 설치하기 https://allcalc.org/38526   2025 11.07   1. 왜 검은색이 아닌 다른 색으로 보일까? (제공된 LUT 필터)     제가 제공해 드린 magenta_lens.cube LUT 필터는 540~560nm(녹색-노란색) 파장대의 색상을 '완전히 제거(검은색으로   만듦)'하는 대신, '다른 색상으로 왜곡/변환'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 원리: LUT(Look-Up Table)는 특정 입력 색상(Input RGB)을 미리 정해진 다른 출력 색상(Output RGB)으로 매핑하는      테이블입니다. 이 LUT는 540~560nm에 해당하는 RGB 값들이 들어오면, 검은색(0, 0, 0)이 아닌, 매우 어둡거나 채도가      낮은 특정 색(예: 어두운 올리브색, 갈색 등)으로 변환하라고 지시합니다.    * 의도:        * 현실적인 물리 필터 시뮬레이션: 실제 고가의 색약 보정 안경도 특정 파장을 100% 완벽하게 차단하지는 못합니다.          빛의 일부를 흡수하고 일부는 통과시키거나 변환하는데, 이 LUT는 그러한 현실 세계의 필터 효과를 더 비슷하게          흉내 냈을 수 있습니다.        * 시각적 정보 유지: 특정 색을 완전히 검게 만들면 그 부분의 형태나 질감 정보가 완전히 사라집니다. 하지만 다른          어두운 색으로 대체하면, 색상 정보는 왜곡되더라도 밝기나 형태 정보는 어느 정도 유지되어 전체적인 이미지가 덜           어색하게 보일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스펙트럼 그림에서 해당 대역의 색이 갑자기 '다른 색으로 툭 바뀌는' 현상은, LUT 필터가 "이 파장대의   색은 앞으로 이 색으로 표시해!"라고 강제적으로 지시한 결과이며, 이것이 바로 이 필터가 작동하는 방식 그   자체입니다.     2. 왜 'Color Vision Helper' 앱은 검은색으로 보일까?     비교하신 'Color Vision Helper' 앱은 노치 필터의 원리를 더 이상적(Ideal)이고 교과서적으로 구현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 원리: "L-콘과 M-콘의 신호가 겹치는 540~560nm 파장의 빛은 '완전히 차단'되어야 한다"는 개념에 매우 충실한      방식입니다.    * 구현: 따라서 해당 파장에 해당하는 색상 정보가 들어오면, 어떠한 타협도 없이 그냥 '검은색(RGB 0, 0, 0)'으로      처리해 버립니다. 이는 "이 파장의 빛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처리하겠다"는 가장 강력하고 직접적인 표현입니다. 2025 11.06 적용사례 4 - 파장 스펙트럼 https://news.samsungdisplay.com/26683   ㄴ (좌) 연속되는 그라데이션 ➡️ (우) 540 이하 | 구분되는 층(색) | 560 이상    - 겹치는 부분, 즉 540~560 nm 에서 색상이 차단? 변형? 된 것을 확인할 수 있음. 그럼 폰에서 Color Vision Helper 앱으로 보면? ㄴ 540~560 nm 대역이 검은 띠로 표시됨. 완전 차단됨을 의미   2025 11.05 빨간 셀로판지로도 이시하라 테스트 같은 숫자 구분에서는 유사한 효과를 낼 수 있다고 합니다. 색상이 다양하다면 빨강이나, 노랑, 주황 등도 테스트해보면 재밌겠네요. 2025 11.05 안드로이드 앱 - "Color Vision Helper" 다운받아 본문 내용을 카메라로 찍어 보니,  본문 프로그램에서는 애매하게 보이던 부분에서도 구분이 완전 확실하게 되네요.    숫자 구분 능력 & 편의성 면에서 압도적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2025 11.05
    글쓴이의 서명작성글 감추기 

    댓글7

    • Profile 0
      세상의모든계산기
      2015.11.02 - 18:59 2015.11.02 - 17:06 #9605

      아래 링크의 행렬을 분해하여 보겠습니다.

      http://blog.naver.com/mykepzzang/220147195141


       1행, 2행, 3행의 1열 계수가 완전 역순으로 배열되어 있습니다.

      11-02-2015 Image009.png


       1행과 3행을 각각 m1배, m3배 하여줍니다.

      11-02-2015 Image010.png


       분해된 U와 M을 가공하여 원래의 Lower, Upper Matrix를 뽑아냅니다.

      11-02-2015 Image011.png

      Attached file
      11-02-2015 Image009.png 10.1KB 214 11-02-2015 Image010.png 8.8KB 177 11-02-2015 Image011.png 6.7KB 198
      댓글
    • Profile 0
      세상의모든계산기
      2025.04.20 - 15:24 2015.11.03 - 14:21 #9640

      1. 크라우트법

      A=L×U 로 분해하는 또 다른 방법은 크라우트법(=Crout Method)이라고 불리는데, 위의 분해와 반대로 U의 대각행렬의 값에 1을 넣고, L의 대각행렬에 1이 아닌 값을 넣는 것입니다. 

      이 방법은 nspire 내부 기능으로 구현되어 있지 않으므로, 프로그램을 새로 만들어서 실행하거나, nspire의 LU 기능으로 구해진 값을 가공하여 얻어야 합니다. 

       

      2. 가공 방법

      Nspire에 의한 분해를 A=L×U라고 하고, Crout Method 에 의한 분해를 A=L'×U' 라고 하면

      1. LU 명령으로 L과 U 를 구하고, U에서 대각행렬 D 를 찾아냄 
        주의 : A의 대각행렬이 아니고 U의 대각행렬임
      2. L' = L×D
      3. U' = D-1×U

      11-03-2015 Image005.png
      ㄴ diag(diag(U)) 함수를 두번 돌린 이유는.... 해보시면 압니다. 

       
      Attached file
      11-03-2015 Image005.png 14.3KB 165
      댓글
    • 1
      Profile 0
      세상의모든계산기
      2025.04.20 - 15:37 2025.04.20 - 15:35 #54690

      예시
      https://kin.naver.com/qna/detail.naver?d1id=11&dirId=111301&docId=484354094&qb=6rOE7IKw6riw&enc=utf8&answerNo=1

      Attached file
      lu_crout.tns 2.0KB 13
      댓글
    • Profile 0
      세상의모든계산기
      2024.10.07 - 17:36 2024.10.07 - 16:08 #49292

      LU 프로그램 (TI nspire의 LU 기능 사용하지 않음)


       

      LU 분해는 주어진 정방행렬 A를 하삼각행렬 L(Lower triangular matrix)과 상삼각행렬 U(Upper triangular matrix)의 곱으로 분해하는 과정입니다.

      즉, A = LU를 만족하는 L과 U를 찾는 것입니다.

       

      알고리즘의 주요 단계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초기화:
         - n x n 크기의 단위행렬 L을 생성합니다.
         - n x n 크기의 0행렬 U를 생성합니다.

      2. 행렬 분해:
         - i = 1부터 n까지 반복:
           - j = 1부터 n까지 반복:
             - U의 원소(i ≤ j인 경우)와 L의 원소(i > j인 경우)를 계산합니다.

      3. U 행렬 계산 (i ≤ j):
         u[i,j] = a[i,j] - Σ(k=1 to i-1) l[i,k] * u[k,j]

      4. L 행렬 계산 (i > j):
         l[i,j] = (a[i,j] - Σ(k=1 to j-1) l[i,k] * u[k,j]) / u[j,j]

      이 알고리즘을 코드에 적용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Define LibPub lunp(matrix)=
      Prgm
      :Local n,i,j,k,summ
      :
      :n:=dim(matrix)[1]
      :l:=identity(n)
      :u:=newMat(n,n)
      :
      :For i,1,n
      :  For j,1,n
      :    summ:=0
      :    For k,1,i-1
      :      summ:=summ+l[i,k]*u[k,j]
      :    EndFor
      :    If i≤j Then
      :      u[i,j]:=matrix[i,j]-summ
      :    Else
      :      l[i,j]:=((matrix[i,j]-summ)/(u[j,j]))
      :    EndIf
      :  EndFor
      :EndFor
      :
      :
      :Disp "l=",l
      :Disp "u=",u
      :EndPrgm

       

      이 과정을 통해:

      1. U 행렬의 대각선 및 상삼각 부분이 채워집니다.
      2. L 행렬의 하삼각 부분이 채워집니다 (대각선은 이미 1로 초기화되어 있음).

      각 단계에서 이전에 계산된 L과 U의 원소들을 사용하여 새로운 원소를 계산합니다. 이 과정이 모든 원소에 대해 반복되면, 최종적으로 A = LU를 만족하는 L과 U 행렬이 생성됩니다.

      이 알고리즘의 핵심은 가우스 소거법과 유사하지만, 원래 행렬의 원소들을 L과 U에 적절히 분배하는 것입니다.

       

      image.png


       

      별도의 라이브러리로 만드는 것보다는

      matrix 확장 라이브러리에 추가해 두는게 좋겠네요. 

      https://allcalc.org/1843

       

      image.png

       

      Attached file
      lu_decomposition.tns 3.1KB 21 image.png 78.2KB 20 image.png 6.4KB 21
      댓글
    • Profile 0
      세상의모든계산기
      2025.04.20 - 11:10 2025.04.20 - 11:08 #54677

      LU 분해는 조건에 따라 답이 여러 개가 나올 수 있습니다.


      🎯 핵심 개념 요약

      LU 분해란 어떤 행렬 AA를 두 개의 행렬 L (Lower triangular)과 U (Upper triangular)로 나누는 것인데요, 다음과 같은 형태예요:

      A=L*U

      하지만 이 분해가 "유일한 해를 갖는가?" 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조건들이 영향을 줍니다.


      💡 LU 분해의 유일성 여부는?

      1. Pivoting(피벗팅) 없이 LU 분해할 때

        • 모든 주대각선 원소들이 0이 아니고 (즉, 행 교환 없이도 가능한 경우)

        • L의 대각 원소를 모두 1로 제한하면
          → LU 분해는 유일합니다.

      2. Pivoting을 허용하거나, L에 1이 아닌 대각선 값을 허용하면
        → LU 분해는 여러 개가 가능합니다.

      즉, 어떤 조건을 주느냐에 따라 하나로 정해지거나, 여러 개가 될 수 있어요.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은 A에 대해:

      \begin{bmatrix} 2 & 4 & 6 \\ 1 & 3 & 5 \\ 0 & 2 & 4 \\ \end{bmatrix}

      이걸 LU로 분해할 때:

      • Pivot 없이 L의 대각을 1로 고정하면, LU는 유일함.

      • 다른 방식으로 분해하거나, Partial Pivoting을 사용하면 P, L, U의 조합은 여러 가지가 나올 수 있어요.


      결론

      LU 분해는 조건을 명확히 지정하지 않으면, 일반적으로 유일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댓글
    • 1
      Profile 0
      세상의모든계산기
      2025.04.20 - 11:24 2025.04.20 - 11:11 #54680

      피벗 없이, L의 대각선을 모두 1로 고정한 LU 분해 예제를 같이 해볼게요.


      🎯 예제 행렬

      $$ A = \begin{bmatrix} 2 & 4 & 6 \\ 1 & 3 & 5 \\ 0 & 2 & 4 \\ \end{bmatrix} $$

      이걸 다음과 같이 분해할 거예요:

      A=LU

      • L: 단위 하삼각행렬 (대각선이 1)

      • U: 상삼각행렬


      🧩 Step 1: 초기 형태 설정

      $$ L = \begin{bmatrix} 1 & 0 & 0 \\ l_{21} & 1 & 0 \\ l_{31} & l_{32} & 1 \\ \end{bmatrix}, \quad U = \begin{bmatrix} u_{11} & u_{12} & u_{13} \\ 0 & u_{22} & u_{23} \\ 0 & 0 & u_{33} \\ \end{bmatrix} $$


      🧮 Step 2: 곱셈해서 좌변과 우변 비교

      $$ LU = \begin{bmatrix} 1 & 0 & 0 \\ l_{21} & 1 & 0 \\ l_{31} & l_{32} & 1 \\ \end{bmatrix} \begin{bmatrix} u_{11} & u_{12} & u_{13} \\ 0 & u_{22} & u_{23} \\ 0 & 0 & u_{33} \\ \end{bmatrix} = \begin{bmatrix} u_{11} & u_{12} & u_{13} \\ l_{21}u_{11} & l_{21}u_{12} + u_{22} & l_{21}u_{13} + u_{23} \\ l_{31}u_{11} & l_{31}u_{12} + l_{32}u_{22} & l_{31}u_{13} + l_{32}u_{23} + u_{33} \\ \end{bmatrix} $$

      이걸 원래 A와 비교:

      $$ \begin{bmatrix} 2 & 4 & 6 \\ 1 & 3 & 5 \\ 0 & 2 & 4 \\ \end{bmatrix} $$

      항목별 비교해봅시다.


      🔍 Step 3: 항목별 대입

      1. 첫 행:

        $$ u_{11} = 2,\quad u_{12} = 4,\quad u_{13} = 6 $$
      2. 두 번째 행:

        $$ l_{21} \cdot 2 = 1 \Rightarrow l_{21} = \frac{1}{2} $$
        $$ l_{21} \cdot 4 + u_{22} = 3 \Rightarrow 2 + u_{22} = 3 \Rightarrow u_{22} = 1 $$
        $$ l_{21} \cdot 6 + u_{23} = 5 \Rightarrow 3 + u_{23} = 5 \Rightarrow u_{23} = 2 $$
      3. 세 번째 행:

        $$ l_{31} \cdot 2 = 0 \Rightarrow l_{31} = 0 $$ 
        $$ l_{31} \cdot 4 + l_{32} \cdot 1 = 2 \Rightarrow 0 + l_{32} = 2 \Rightarrow l_{32} = 2 $$
        $$ l_{31} \cdot 6 + l_{32} \cdot 2 + u_{33} = 4 \Rightarrow 4 + u_{33} = 4 \Rightarrow u_{33} = 0 $$

      ✅ 결과

      $$ L = \begin{bmatrix} 1 & 0 & 0 \\ \frac{1}{2} & 1 & 0 \\ 0 & 2 & 1 \\ \end{bmatrix},\quad U = \begin{bmatrix} 2 & 4 & 6 \\ 0 & 1 & 2 \\ 0 & 0 & 0 \\ \end{bmatrix} $$


      ⚠️ 참고사항

      • UU의 마지막 대각 원소가 0 → 이건 A가 가역행렬이 아님을 의미해요 (즉, det(A) = 0).

      • 그래도 LU 분해는 가능함! 단, 유일성은 위와 같이 조건을 명확히 해야 해요.

      댓글
    • 2
      Profile 0
      세상의모든계산기
      2025.04.20 - 15:25 2025.04.20 - 11:26 #54683

      LU 기능 이용 : 

      image.png

      ㄴ 퍼뮤테이션 있음. 

      퍼뮤테이션 없애려면 계수행렬(m) 곱해야 함. 

      image.png

       

      프로그램(라이브러리) 이용

      image.png

      ㄴ 라이브러리 : https://allcalc.org/1843

       


       

      nspire 에서 기본 기능(함수)인 LU 만을 이용하는 경우, 
      하삼각행렬의 대각행렬이 1이 아닌 L*U 로 분해할 방법은 없는 듯 합니다. 

      Attached file
      image.png 31.4KB 15 image.png 28.4KB 15 lu_gpt.tns 2.0KB 72 image.png 30.2KB 12
      댓글
    • 댓글 입력
    • 에디터 전환
    댓글 쓰기 에디터 사용하기 닫기
    • view_headline 목록
    • 14px
    • [TI-nspire cas] integral(), 적분, 정적분, 부정적분
    • [TI-nspire] DMS, 도분초 관련 기능
    • 목록
      view_headline
    7
    × CLOSE
    전체 nspire 139 89 11 86, 84, 83 7 BA II Plus 8 공통 1
    기본 (168) 제목 날짜 수정 조회 댓글 추천 비추
    분류 정렬 검색
    • nspire [TI-nspire] 행렬 LU 분해 = LU Decomposition = LU fatorization
    • 세상의모든계산기 2015.11.02 - 15:55 6752 7
    • 1. LU 분해란? 행렬 A 를 Lower 행렬과 Upper 행렬의 곱으로 분해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A = L×U 를 만족하는 행렬 L과 행렬 U를 찾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2. TI-nspire 에서의 LU 명령어 분명 책에서는 A를 그냥 L*U 로 분해하라고 했는데... nspire 에서는 P*A = L*U 꼴로 지맘대로 변형하여 분해하기 때문에 답안지와 다른 풀이를 보여줄 수도 있습니다. 원하는 L × U = A nspire 에서 바뀌어버린 1행과 2행 LU Matrix,lMatrix,uMatrix,pMatrix[,Tol] ㄴ permutation matrix 를 보면 1행과 2행이 바뀐 상황 3. 팁 : 행이 섞이지...
    • 147 nspire [TI-nspire] DMS, 도분초 관련 기능
    • 세상의모든계산기 2025.02.05 - 14:25 880 5
    • TI-Nspire 계산기 설정에서 각도는 Radian / Degree / Gradian 3가지 중 하나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이 때 Degree(도) 는 계산기에서는 소숫점 형태를 기본으로 합니다. 즉, 계산 결과값이 1.5˚에 해당할 때는 각도 단위는 생략하고 수치값 1.5 만을 결과로 표시하죠. 이 소숫점 값은 도분초(DMS) 형식으로 표현할 수도 있고, 반대로 도분초(DMS) 형식의 값을 (각도단위를 생략한) Decimal 형식으로 표현할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소숫점 값에 각도단위만 붙여 표현하게 할 수도 있습니다. DMS 형식으로 입력하려면 1. 템플릿 키를 눌러서...
    • 146 nspire [TI-nspire] 계산기 입력 한계를 넘는 큰 숫자의 계산
    • 세상의모든계산기 2015.01.28 - 16:59 2059 1
    • 1. 계산식 $ 100 \times \left(e^{-4000} \times \left(3 \times e^{2000} - 5\right)^2\right) $ 2. [TI-nspire] 계산기 계산결과 3. [Wolfram-Alpha] 계산 결과 Result : 9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 4. TI-nspire 분석 괄호 안의 계산을 마친 후에 괄호 밖을 계산하도록 설계된 듯 함. 괄호 안이 계산기 허용 한계치를 넘음 ∞ 로 반환되어 overflow 발생 다음 계산 불가능 5. 해결 방법 지수부분을 처리하기 전에 expand 명령으로 적당히 분리시킴 분리 부분이 1/∞ 꼴이 되어 0이 되도록 만듦 ...
    • 145 [TI-nspire] (역)삼각함수, (역)쌍곡선함수 및 그 역수함수 inverse function 입력
    • 세상의모든계산기 2024.09.13 - 11:40 1054
    • 1. 삼각함수의 입력 sin(), cos(), tan() 3종이 있습니다. 방법1) 키패드 왼쪽에 trig 버튼을 눌러 찾아 입력할 수 있습니다. (추천) * 삼각함수의 (곱)역수인 csc(), sec(), cot() 함수도 목록에 있습니다. 방법2) 키패드 아랫쪽의 알파벳 키로 하나하나 입력하셔도 됩니다. (추천) 방법3) 키패드 오른쪽의 Catalog 버튼을 누른 후 1번 탭(A~Z) 리스트에서 찾아 입력하셔도 됩니다. (비추천) 2. 삼각함수 역함수의 입력 방법1) 상동 - 키패드 왼쪽에 trig 버튼을 눌러 찾아 입력할 수 있습니다. (추천) * 삼각함수의 (곱)역수인 csc(), se...
    • 144 nspire [TI-nspire] matrix 행렬의 입력 - 기초
    • 세상의모든계산기 2015.01.13 - 22:26 5745 3
    • * 행렬의 기초적인 입력 방법을 동영상으로 만들어 보았습니다. 방법 1. 템플릿 키로 빈 행렬 생성 방법 2. 대괄호로 [ ] 직접 입력 생성 방법 3. newmat() 함수로 생성 ; 처음부터 0으로 채워져 있음 방법 4. list▶mat() 함수로 생성 ; 리스트를 행렬로 바꿈 (동영상에 설명 없음) 기타 행렬 관련 함수 augment(), colAugment() colNorm(), rowNorm() corrMat() cumulativeSum(), sum() det() diag() dim(), colDim(), rowDim() .+ ./ .* .^ .- eigVl(), eigVc() fill identity() list▶mat(), mat▶list() LU, QR max(), min() product() r...
    • 143 nspire 음함수의 미분 implicit differentiation, impDif()
    • 세상의모든계산기 2021.05.05 - 08:31 891 1
    • impDif() impDif(Equation, Var, dependVar[,Ord]) ⇒ expression where the order Ord default to 1. 한 변수가 다른 변수에 대해 암묵적으로 정의된 방정식(음함수)에서 암묵적 미분을 계산합니다. 예시
    • 142 nspire [TI-nspire] 계산 결과의 분모에 허수(i) or 무리수(√)를 그대로 남겨두는 방법
    • 세상의모든계산기 2015.11.15 - 21:01 5965 5
    • 1. 분모의 유리화(Rationalisation) or 실수화(?) [TI-nspire] 계산기는 '분자/분모 꼴'인 결과의 분모에 무리수(√)나 복소수(i)가 남아 있는 것을 싫어합니다. ㄴ 다른 공학용 계산기들도 비슷합니다. 그래서 어지간하면 강제로 분모의 유리화 or 실수화를 진행합니다. ㄴ 문자가 들어 있거나 해서 실수/허수 판단이 안되는 경우 등에는 진행되지 않습니다. 2. 문제의 발생 그 결과값이 상수인 경우에는 큰 문제가 되지 않으나, 미지수를 포함한 식인 경우에는 경우에 따라 아래처럼 문제가 될 수도 있습니다. 강제적인 유리화 또는 실수...
    • 141 89 [안드로이드] Graph 89 Free : TI-89 에뮬레이터
    • 세상의모든계산기 2015.01.24 - 00:07 4342 2
    • 1. 제품명 Graph 89 Free 2. 설명 설명 그래프 89 - TI-89 그래프 계산기 에뮬레이터. ROM 이미지가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당신은 당신의 자신의 계산이를 추출해야합니다. 이 에뮬레이터를 다운로드하기 전에 준비 ROM이 있는지 확인하십시오. 3. APP 다운로드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Bisha.TI89Emu 4. ROM 다운로드 TI 홈페이지에서 다운로드가 가능합니다. http://education.ti.com/en/us/software/details/en/6633925F6176419197BF6CA051F5F7B4/89ti89tioperatingsystem <- 스마트폰으로 직접 받으셔도...
    • 140 nspire [TI-nspire] TI-Nspire V5.0 업데이트?
    • 세상의모든계산기 2019.05.12 - 23:12 2688 3
    • 1. TI 공홈에 가면 PC 소프트웨어 V5.0.0.1701 을 다운받을 수 있습니다. ㄴ 실물 계산기 CX II 는 OS V5.0(확장자 .tcc2)이고, CX I 은 OS V4.5.1 입니다. https://education.ti.com/en/software/update/ti-nspire-software-update/nspire-download?count=3&q1=cx-cas-hh&q2=StudentCASSW&q3=No 2. 설치해 보니 인터페이스가 CX II 에 맞게 바뀌었는데, 예상대로 큰 변화가 보이진 않습니다. 기존 계산기도 V5 업그레이드가 될지?? 안될지?? 계산기간 호환성은 어떨지... 3. Guidebook 도 V5.0 (II) 을 다운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https:...
    • 139 nspire [TI-nspire] 터치패드 사용법
    • 세상의모든계산기 2024.12.12 - 16:37 669 1
    • https://education.ti.com/html/webhelp/EG_TINspire/EN/content/m_hh_gs/gsc_using_the_touchpad.HTML TI-Nspire™ Touchpad 사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Touchpad를 사용하여 화살표 키와 Enter 키로 수행할 수 있는 모든 작업을 탐색하거나 완료할 수 있습니다. Touchpad는 두 가지 방식으로 탐색할 수 있습니다: 컴퓨터 터치패드처럼 사용: Touchpad의 중앙 영역에서 손가락을 미끄러지듯 움직여 마우스 포인터를 활성화하고 이동합니다. Touchpad의 중앙을 클릭하거나 탭하여 메뉴 옵션을 선택하거나 작업을 완료합니다. 외곽의 화살표 ...
    • 138 nspire Press-to-Test Mode 진입 / 탈출 총정리
    • 세상의모든계산기 2024.04.12 - 11:47 1366 5
    • 1. Press-to-Test 란? 고급 공학용 계산기는 수학계산에 필요한 아주 강력한 기능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수학시험에서 그런 기능을 쓰는 사람과 쓰지 못하는 사람의 성적에는 큰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럼 시험을 주관하는 입장에서는 고급 계산기 사용을 제한하는 수밖에 없을테고, 그러면 고급(=비싼) 계산기 판매가 줄어들게 됩니다. 그래서 계산기 제조사에서는 이에 대한 대책으로 "시험시간에 한정하여 계산기 기능을 일부 제한함으로써 다른 저가형 계산기와 형평성을 맞추는 기능"을 추가하는데, TI nspire 모델군에...
    • 137 nspire [TI-nspire] amortTbl() 상환 테이블, ∑Int(), ∑Prn(), bal()
    • 세상의모든계산기 2017.09.13 - 13:01 780 1
    • 1. amortTbl() amortTbl(NPmt,N,I,PV, [Pmt], [FV], [PpY], [CpY], [PmtAt], [roundValue]) ⇒ matrix 이 함수는 부채(Debt)에 대한 상환표(스케쥴)를 matrix 형태로 작성하여 화면에 표시해줍니다. 4개의 인자가 필수적으로 요구되며, 6개의 선택인자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컴마를 연속으로 찍는 방법으로 선택 인자를 일부만 입력할 수 있습니다. 나머지 변수를 이용해 Pmt(매기 납부액) 값을 찾는 것이 기본적인 기능입니다. 다만, Pmt 값을 직접 지정하여 입력하여 다른 값을 찾는 방법도 가능합니다. 1. 각 인자 설명 NPmt : 테이블(...
    • 136 nspire [TI-nspire] Error: Invalid implied multiply 에러 : 곱하기의 부적절한 생략
    • 세상의모든계산기 2015.11.16 - 16:37 3004
    • 1. 증상 증상1) Error 메시지 출력 : Invalid implied multiply 증상2) 에러 메시지 없이 입력식이 그대로 결과로 출력 └ 사진 출처 : http://kin.naver.com/qna/detail.nhn?d1id=11&dirId=1114&docId=240248248&ref=me3lnk 증상3) 그래프 모드에서는 그래프가 그려지지 않음 그래프가 그려지지 않습니다. 2. 에러 메시지 설명 아주 흔하게 마주치는 에러 메시지 중 하나입니다. 곱하기가 생략되지 않아야 하는데 잘못 생략되었다는 뜻입니다. [TI-nspire] 계산기는 변수명과 함수명을 별도로 구분하지 않고 함께 사용합니다. 때문에 문자 ...
    • 135 nspire [TI-nspire] CX (I) 프로그래밍, 속도 비교 (MicroPython vs (Nspire-)LUA vs Nspire-BASIC)
    • 세상의모든계산기 2024.11.27 - 13:47 331
    • https://tiplanet.org/forum/viewtopic.php?f=43&t=15309&lang=en 링크 결과에 의하면 피보나치 재귀함수의 경우 (빠름) Lua TINCS >>> Lua emu = MicroPython calc "JIT" > Basic TINCS >> Basic Nspire 내장 LUA 프로그램이 시스템(OS)에 최적화되었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DATA에 표시되는 비교 대상이 여러가지로 표시되는데, - MicroPython emu - MicroPython calc "JIT" - Lua emu - Lua calc - Lua TINCS - Basic - Basic TINCS TINCS 가 붙은 것이 실물 계산기인 TI-nspire 내장 언어인 것은 확실해 보이구요. 나머지는 어떻게 실...
    • 134 nspire [프로그램] 프로그래밍 가이드 (TI-Basic)
    • 세상의모든계산기 2024.06.20 - 07:46 379 1
    • https://education.ti.com/en/activities/ti-codes/nspire/10-minutes 이곳에 가시면 TI-Nspire BASIC 을 이용해 프로그램하는 기본적인 방법이 아주~~잘~~ 나와 있습니다. UNIT 을 눌러서 배우고 싶은 부분을 클릭하신 다음 화살표 옆에 있는 Step 을 누르시면 단계별로 차근차근 잘 가르쳐줍니다. 이로서 기초적인 프로그래밍 방법은 다 배우실 수 있습니다. 하지만 좀 아쉽죠? 기초적인 프로그래밍 방법을 배우셨다면 다음 문서를 통해 보다 자세한 방법을 배우실 수 있습니다. https://education.ti.com/html/webhelp/EG_TINspireCode/...
    • 133 nspire [TI-nspire] expand(), 결과 수식을 다항식으로 확장해서 표현할 때
    • 세상의모든계산기 2023.05.27 - 10:32 1056 3
    • expand() expand(Expr1 [, Var]) → expression expand(List1 [, Var]) → list expand(Matrix1 [, Var]) → matrix expand(Expr1)는 Expr1을 모든 변수에 대해 확장한 결과를 반환합니다. (다항식의 경우 다항식 확장, 유리 함수의 경우 부분 분수 확장) expand()의 목표는 Expr1을 단순한 항의 합과/또는 차로 변환하는 것입니다. 반면 factor()의 목표는 Expr1을 단순한 인수의 곱과/또는 분수로 변환하는 것입니다. expand(Expr1,Var)는 Var에 대해 Expr1을 확장한 결과를 반환합니다. 유사한 Var의 거듭 제곱은 수집됩니다. 항과 그 인수...
    • 132 nspire [TI-nspire] factor(), 소인수 분해 & 수식을 묶을 때
    • 세상의모든계산기 2024.11.27 - 09:43 499 1 1
    • 1. factor(rationalNumber) "소수를 인수로 가지는 유리수를 반환합니다. 합성수의 경우, 두 번째로 큰 인수의 자리 수가 증가함에 따라 계산 시간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합니다." factor() 함수는 기본적으로는 인수로 넣어진 숫자를 소인수 곱으로 분해하는 기능을 합니다. ※ 너무 큰 수의 분해에는 시간이 많이 소요되므로, 소수인지를 확인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면 isPrime() 함수를 쓰시는게 좋습니다. 2. factor(수식) 인수에 수식을 넣었을 때는 수식을 곱의 형태로 만들어주기도 합니다. 다만, 수식을 정확하게 내가 원하는 형태(꼴...
    • 131 nspire [TI-nspire] Fourier Transform Library 푸리에 변환 라이브러리 (ported from TI-92)
    • 세상의모든계산기 2024.11.19 - 00:45 926 6
    • 오리지널(TI-92/89) 라이브러리 https://allcalc.org/52455 Author: Lars Frederiksen E-mail: LTF@POST8.TELE.DK PS. Please do not ask for more programs. 포팅 - 진행중 아무리 찾아봐도 TI-nspire 용 fourier transform 라이브러리(프로그램)이 없고, TI-92/89 용으로는 단 하나 찾아지긴 했는데, 포팅하려고 보니 코드가 단순하지가 않네요. 진행 완료 - fourier() 함수 - libpub - fouriersub() 함수 - ifourier() 함수 - libpub - eval() 함수 - libpub - phi() 함수 // 원본은 pi() 인데, 제한이 있어 변경함 - lambda() 함수 미...
    • 130 nspire [TI-nspire] FormulaPro - 전기 공학 문제 풀이용 툴
    • 세상의모든계산기 2024.11.21 - 12:14 476 1
    • 원본 출처 : https://tiplanet.org/forum/archives_voir.php?id=6034 github : https://github.com/adriweb/EEPro-for-Nspire 설명서 pdf (영문) : https://education.ti.com/-/media/C024C65A3D5247D083021DCDA3E73369 ㄴ 프로그램이 간략하게 소개되었을 뿐 큰 도움이 되진 않으니, ㄴ 자세한 설명이 필요한 경우 TI-89/92 용 오리지널 프로그램인 EEPro 설명서(pdf)를 읽어보시는게 좋습니다. ㄴ https://education.ti.com/en-ph/guidebook/details/en/95B2DF8D3F5A47DE88257AE45C2EA867/89eepro 소개글 한국어 AI 번역 (ChatGPT) Formu...
    • 129 nspire [TI-nspire] 수식에 "|"(Constraint Operator) 조건식, 제약식을 붙이는 방법
    • 세상의모든계산기 2015.11.17 - 10:57 4112 4
    • 1. 조건식 또는 제약식이란? 수식에 따라붙는 조건식 또는 제약식 또는 제약 조건이란, 수식에 사용되는 문자를 특정한 조건으로 제약하는 보조수식을 의미합니다. 영어로는 constraint 라고 부릅니다. 확률에서 P(A|B) 를 "B일 때 A의 확률"로 해석하는 것과 동일한 맥락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nspire 에서도 세로줄 | Vertical line 을 제약식의 기호(Constraint Operator)로 사용합니다. 여러가지 조건을 하나의 식에 반복해 대입해 보려고 할 때 특히 유용하고, 식을 치환하여 다른 식으로 변형시키거나 정리할 수 있어서 여러모로 ...
    • 1 2 3 4 5 6 7 8 9
    • / 9 GO
    • TI
    • 세상의모든계산기
    • 사업자등록번호 703-91-02181
    • 세모계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