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ASIO 570
[fx-570] CALC 기능 (Solve 기능과의 비교)
1. CALC 기능이란?
[fx-570] 시리즈에는 【CALC】 버튼이 있습니다.
【SHIFT】【CALC】 로 조합하여 누르면 SOLVE 기능이고,
【CALC】 만을 단독으로 누르면 CALC 기능입니다.
SOLVE와 같은 버튼으로 엮여있는 것을 보면 서로 비슷한 점도 있고, 서로 다른 점도 있음을 추정해 볼 수 있습니다.
CALC 기능을 한마디로 말하면
"임시로 사용할 수 있는 공식(=함수) 계산 기능"입니다.
함수에 사용된 변수값을 바꿔서 대입하면서 그에 따른 함수값을 쉽게 계산할 수 있습니다.
기능 진행 과정
- 수식(함수) 입력
- 【CALC】 입력
- 【미지수 값】【=】 입력하여 결과 확인
2. Solve 와의 비교
CALC | SOLVE | |
---|---|---|
MODE | COMP(실수) 모드 O CMPLX(복소수) 모드 O |
COMP(실수)만 가능 |
정리안된 수식입력 |
X | O |
목적 | 모든 변수값을 알 때 | 한 변수(x)의 해를 구할 때 |
3. 예시
(양의) 근의 공식 $y=\dfrac{-B+\sqrt{B^2-4 A C}}{2 A}$ 을 입력하고,
'A=1, B=2, C=3' 일 때와 'A=1, B=2, C=-1' 일 때의 근의 값을 각각 구하기
- 계산모드를 CMPLX로 변경 (이번 계산에서는 허수근이 나올 수 있으므로)
- 근의 공식 입력
y, A, B, C 등의 알파벳 변수는 【ALPHA】 키의 조합으로 입력
'=' (등호)는 【ALPHA】【CALC】로 입력. (【=】 키 아님)
'y=' 부분은 생략하고 우변만 입력할 수도 있음. - 공식 입력이 끝나면 【CALC】 버튼 입력. (【=】 키 아님)
- A, B, C 변수에 1,2,3을 각각 대입하여 공식 계산 결과를 확인합니다.
(A, B, C 알파벳 순서가 아니라 계산기에 먼저 입력된 변수부터 차례로 입력합니다)
【2】【=】【1】【=】【3】【=】
- A, B, C 변수값을 1,2,-1으로 각각 입력하고 결과를 다시 확인합니다.
【CALC】【=】【=】【(-)】【1】【=】
'Syntax Error'(EX기종에서는 'Math Error') 가 발생하였다면 결과값은 허수인데 CMPLX 모드가 아닌 COMP 모드에서 계산한 경우일 것입니다.
밖으로 나가서 【MODE】【2】 를 눌러서 CMPLX 모드로 바꾸면 허수 결과일 때에도 에러가 발생하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모드를 바꾸면 입력한 식이 초기화되기 때문에 처음부터 다시 입력해야 합니다.
arcsin(√(x)) 결과 값 반복해 구하기 [fx-570 EX, Radian]
- 【SHIFT】【sin】【√ㅁ】【x】
- 【CALC】
- 【.5】【=】【=】 : 결과 (1/4)π
- 【=】【.3】【=】【=】 : 결과 0.5796397404
4. 주의사항
- COMP 모드 뿐만 아니라 CMPLX 모드에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복소수 결과 가능.
- 공식의 길이 제한이 있습니다. [fx-570MS]에서는 79개의 키입력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 CALC이외의 다른 동작을 수행하거나, 모드를 바꾸거나, 계산기를 끄면 입력한 공식은 지워집니다.
세상의모든계산기 님의 최근 댓글
각 결과값의 비교 x y {x} 73.049507058553 23.747548955926 {y} 73.049507058479 23.747548955927 {x=1,y=1} 73.049507058477 23.747548955927 approx() 전처리 73.049507058479 23.747548955926 linsolve 73.049507058478 23.747548955926 2025 10.21 삼각함수로 구성된 방정식을 계산기가 소화하지 못하는 건가요? 원래 계산기 solve 함수가 삼각함수와 궁합이 나쁘지만, 이 경우의 삼각함수는 함수 내부에 변수가 들어가지 않기 때문에 함수라서 처리가 어려운 것이 아닙니다. 삼각함수 내부에 변수가 아닌 상수가 들어갔기 때문에 결과값도 상수일 뿐인데, numeric 한 상수로 처리하지 않고 symbolic 한 상수로 처리해 문제가 발생한 듯 합니다. 2025 10.21 답이 잘 나오지 않는 이유? solve는 답을 찾기 위해 내부적으로 여러 방식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가장 간단한 방식은 수치적 방법 numerical method 를 이용하는 것이구요. - 질문자님께서 하신 것처럼 숫자를 대입하거나 - 초기값을 입력하거나 - 계수 등으로 numerical 한 숫자가 들어가거나, 즉 소숫점이 직접 사용되거나 할 때 자동으로 numerical method 로 전환되어 계산됩니다. 그리고 결과에 ⚠️ 를 표시합니다. 그 의미는 적당한 수준(매우 작은 오차 수준)에서 답을 찾았으나, 재수가 없으면 오답일 수 있다는 경고입니다. 따라서 앞으로는 답이 안나올 때는 초기값을 넣는다거나 하는 방식으로 solve를 이용하시면 됩니다. 그럼 처음에 왜 false 가 나왔나를 생각해 보면 두가지 가능성이 있는데 ⓐ numerical method 가 아니라 exact 값을 구하려고 했는데 복잡해서 못구했다. ⓑ numerical method 를 썻지만, 검증해보니 안맞아서 false 로 처리했다. 그런데 ⓑ는 아닌 것 같습니다. numerical method 를 사용하면 사소한 오류가 있더라도 무시하고 답을 내놓잖아요? 그럼 ⓐ 가 맞다는 말인데, 지금까지 제가 아는 바로는 입력한 수식에 소숫점이 들어가면 자동으로 approx()처리를 한다고 알고 있었고, 이 solve() 에 방정식 들어가기 전에 (approx) 전처리가 된 것이 들어가니 numerical method로 처리될 줄 알았는데, 아무리 봐도 그게 아닌 것 같습니다. 2025 10.21 4. 마지막으로 연립방정식 전문함수인 linsolve() 를 이용해도 답이 나옵니다. 결과값은 {73.049507058478,23.747548955926} 입니다. 이번엔 {true, true} 가 나왔습니다. 2025 10.21 3. 본문에서 cos, sin 을 풀어서 decimal 형식으로 넣은 것처럼 처리해도 답이 도출됩니다. 개별적으로 입력하지 않더라도, 연립방정식 수식 전체를 approx() 로 씌우면 처리됩니다. 답은 나오지만 이 경우에도 {true, true} 는 나오지 않았습니다. 그런데, 원래의 연립방정식에 검증하면 {true, false} 이지만, approx() 결과값에 검증하면 {false, true} 로 나오는군요. 2025 1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