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 계산기의 검산 Review 기능 (수정 Correct 기능)
일반 계산기의 검산 및 수정 기능은 계산의 정확성과 편리성을 높이기 위해 추가된 기능입니다.
이 기능들은 주로 사무용 계산기에서 자주 볼 수 있으며, 다음과 같은 역할을 합니다:
검산 기능 (Check Function)
검산 기능은 사용자가 입력한 계산 과정을 검토할 수 있게 해주는 기능입니다.
이 기능을 통해 사용자는 계산을 마친 후에 다시 한 번 입력값과 중간 계산값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기록 검토: 사용자가 입력한 모든 수식과 숫자를 저장하고, 이를 다시 확인할 수 있게 해줍니다.
2. 단계별 확인: 계산 과정에서 각각의 단계를 다시 볼 수 있어, 어디서 오류가 발생했는지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3. 결과 확인: 최종 결과뿐만 아니라 중간 계산 결과도 보여줍니다.
수정 기능 (Correct Function)
수정 기능은 계산 과정 중에 잘못 입력된 숫자나 수식을 바로잡을 수 있게 해주는 기능입니다.
이 기능을 통해 사용자는 계산을 처음부터 다시 할 필요 없이 특정 부분만 수정할 수 있습니다.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단계별 수정: 계산 과정 중에 특정 단계로 돌아가서 그 부분만 수정할 수 있습니다.
2. 입력 오류 수정: 숫자나 연산자를 잘못 입력했을 때, 전체를 지우지 않고 해당 부분만 고칠 수 있습니다.
3. 재계산: 수정된 부분을 반영하여 자동으로 재계산을 수행합니다.
검산 및 수정 기능의 장점
- 오류 감소: 계산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실수를 줄일 수 있습니다.
- 시간 절약: 잘못된 입력을 수정하기 위해 처음부터 다시 계산할 필요가 없습니다.
- 효율성 향상: 복잡한 계산을 보다 정확하고 빠르게 처리할 수 있습니다.
사용 예시
MJ-120D Plus / DJ-120D Plus 설명서 중 발췌
검산 기능
위의 수식을 입력하였다고 하면 일반계산기는 거기서 끝이지만,
검산(Review) 기능으로 이전의 키입력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수정 기능
해당 모델
1. CASIO : DJ-120D(구형), DJ-120D PLUS, // 구형은 원래 Non-K 타입(인데, 하위버전별로 다를 수도 있는 듯) vs 신형은 K 타입입니다.
ㄴ MJ-120D Plus, [사양] 크기: 12.6x14.8x2.8cm / 무게: 140g
ㄴ 스위치도 없고, 정사각에 가까운 짜리몽땅한 사이즈입니다. 그래도 무게는 좀 나가는 편
2. MJ-120D(구형), MJ-120D PLUS // 구형은 원래 Non-K 타입(인데, 하위버전별로 다를 수도 있는 듯) vs 신형은 K 타입입니다.
ㄴ [사양] 크기 144*192*344.6, 무게 205g
ㄴ 다 때려박은 느낌입니다. 카시오에 이 정도 기능에 2만원이면 가성비 매우 좋은 편에 속하는 것 같네요.
3. DJ-240D Plus
Size (D×W×H) 219×146×38 mm, Weight 260 g
사이즈가 좀 많이 많이 큽니다. 아이패드 미니 6 (195.4×134.8×6.3 mm 무게: 293g) 보다도 큽니다.
Insert/Delete 기능 나뉘어 있는 건 처음 보네요.
댓글2
-
세상의모든계산기
DJ(MJ)-120D는 K 타입인가? Non-K 타입인가?
https://allcalc.org:443/board_basic/2335#comment_48011
1. 설명서
https://support.casio.com/en/manual/manualfile.php?cid=004001003 (DJ-120D, MJ-120D)
https://www.casio.com/intl/support/calculators/manual/?model=DJ-120DPLUS
2. 영상
https://www.youtube.com/shorts/3_RIPrD9VXs (MJ-120Da 로 구형인데 뒤에 a 가 붙어있음. 뭐지?)
구형이니까 Non-K 타입이어야 하는데, 왜 K 타입이지? 뭐지?
-
세상의모든계산기
DJ-120D Plus, MJ-120D Plus 비프 음(Beep Sound) 끄기 / 켜기
- Recheck 비프음(아무 비프음 표시가 없음)을 끄려면 【AC】 키를 누른 다음 계산기가 삑 소리를 낼 때까지
【▶】 키를 계속 누르고 있으면 됩니다.
- Recheck 비프음을 다시 켜려면 이 단계들을 반복하세요.
절대 실수로라도 소리가 나면 안되는 분은 분해해서 부저로 가는 선을 잘라버리시는게 최선일 듯 합니다.
세상의모든계산기 님의 최근 댓글
4*4 행렬 계산이 가능한 fx-570EX 이후 계산기는 행렬 기능을 이용하는 방법도 있지만, 본문 방법이 더 편리한 것 같습니다. [fx-570 EX] 복소수 1차 연립방정식 해 구하기 (feat. MATRIX) https://allcalc.org/21582 2025 10.15 고장남 - POST 진입 실패, 모니터 안나옴 직접 사용할 일이 없어져서, 고향집에 가져다 놓고 어댑터만 꼽아 두었습니다. 마지막으로 켠 것은 25년 6월쯤이 아니었을까 싶습니다. (이상증상은 없었구요) 이번 추석에 가서 켜 보니까, 화면이 아예 안나오더라구요. 집에 가져와서 분해해 살펴보니까 - 어댑터 12V는 정상 - 어댑터 꼽으면 바로 POWER 는 켜집니다. ㄴ POWER ON -> Fan 돌아감 + 파워 LED 들어옴 + NVME에 LED 들어옴 ㄴ HDMI 1, 2 신호 전혀 안들어옴 (모니터 2대 확인) ㄴ 키보드에 LED 안들어옴 (USB 5V 가 안들어오는 듯 함) - 옆구리 버튼은 작동하지 않습니다. 길게 눌러도 꺼지지 않음. 하나씩 제거하면서 변수를 제거해 봤는데, 뭘 해도 상태가 똑같습니다. 보드쪽에 문제가 생긴 것 같습니다. 2025 10.14 다항식 나눗셈 (가장 정석적인 방법) (피제수, 나뉠 식) r1*r3 를 (제수, 나누는 식) r1+r3 로 직접 나누며, 여기서 r1을 변수로 취급합니다. 1. 몫 구하기: r1*r3 (나뉠 식)의 최고차항을 r1+r3 (나누는 식)의 최고차항 r1로 나눕니다. (r1*r3) / r1 = r3 <-- 이것이 몫(Quotient)이 됩니다. 2. 나머지 구하기: (원래 분자) - (몫 × 분모) 를 계산합니다. (r1*r3) - (r3 × (r1+r3)) = r1*r3 - (r1*r3 + r3^2) = -r3^2 <-- 이것이 나머지(Remainder)가 됩니다. 3. 결과 조합: 최종 결과는 `몫 + (나머지 / 나누는 식)` 형태로 씁니다. r3 + (-r3^2 / (r1+r3)) \[ \begin{array}{l} \phantom{r_1+r_3 \overline{) r_1 r_3}} r_3 \\ r_1+r_3 \overline{) \begin{array}[t]{@{}r@{}} r_1 r_3 \phantom{+r_3^2} \\ - (r_1 r_3 + r_3^2) \\ \hline -r_3^2 \\ \end{array}} \end{array} \] 2025 10.14 부분적 과정으로 분자(변수의 곱)를 다른 변수로 치환할 수 있다면 (r1*r3=a, r2*r4=b) 다항식에서도 강제 나눗셈 과정을 막을 수 있겠습니다만, 원래의 식에 적용시킬 수는 없어 의미가 없겠습니다. 2025 10.14 (r1*r3) / (r1+r3) 에서 원래라면 분자(r1*r3)에서 하나의 변수를 선택하여 그것을 기준으로 분모를 나누고 몫과 나머지로 분리하여 표현하는 것이 기본 원칙입니다만, 결과가 단항인 분수식일 경우 분자가 두 변수의 곱으로 표현되더라도 그것이 더 간단한 표현인 것으로 보고 그대로 두는 듯 합니다. 하지만 마지막 예시에서 보이는 것처럼 +1만 붙는 간단한 형식일지라도 다항식이 되는 순간 원래의 기본 원칙대로 대수의 나눗셈(r1*r3를 (r1+r3)로 나눔)이 강제 진행되어버리고 이를 막을 수 없는 듯 합니다. 2025 1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