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EARCH

    통합검색
세모계
    • Dark Mode
    • GNB Always Open
    • GNB Height Maximize
    • Color
    • Brightness
    • SINCE 2015.01.19.
    • 세모계 세모계
    •   SEARCH
    • 세상의 모든 계산기  
      • 자유(질문) 게시판  
      • 계산기 뉴스/정보  
      • 수학, 과학, 공학 이야기  
      • 세모계 : 공지 게시판  
        • 구글 맞춤검색  
    • TI  
    • CASIO  
    • HP  
    • SHARP  
    • 일반(쌀집) 계산기  
    • 기타계산기  
    • 세모계
    • by ORANGEDAY
  • CASIO
    • CASIO 570
    • [fx-570ES][fx-350ES] TABLE 표 작성하기 (부제:해를 구하는 또하나의 방법)

    • Profile
      • 세상의모든계산기
      • 2024.10.03 - 14:41 2016.04.04 - 09:55 6347 7

    1. TABLE 기능이란?

    1. TABLE MODE 로 변경 
    2. f(x)=(x에 방정식) 을 입력

      스크린샷 2024-10-03 144116.png

    3. x의 범위(=구간)를 입력
    4. x의 간격(=step) 을 입력

    위 과정을 통해서 방정식의 x에 따른 y값을 찾아주는 기능입니다. 즉, 특정 구간에서 방정식을 만족하는 (x,y) 순서쌍을 찾아주는 기능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테이블로 만들 수 있는 순서쌍은 1회당 30개가 한계입니다.

    (|END-START|÷STEP) < 30 을 만족해야 합니다. 그 이상의 간격으로 나누게 되면 ERROR (=Insufficient MEM) 가 발생합니다. 

     

    * [EX] 기종은 f(x)에 대해서는 45개의 순서쌍을, f(x)&g(x) 에 대해서는 30개의 순서쌍을 지원합니다. 


    ※ [MS] 모델에는 TABLE 기능이 없습니다. 

     

    2. Table 활용법 : Solve 대신 해를 찾기 (반복=노가다)

    계산기 한계로 인하여 Solve 기능으로도 해가 찾아지지 않는 방정식이 간혹 있습니다. 그런 방정식에서도 TABLE 기능을 이용하면 해를 찾을 수가 있습니다.

    solve와 비교한 단점

    • 해의 구간을 비교적 정확하게 알아야 노가다 횟수를 줄일 수 있음.
    • 해의 정확도(자릿수)를 한자리 늘리기 위해서 Table 기능을 1회 더 반복해야 함.
    • 불연속 함수일 때, 오류 가능성이 높음.

    이러한 단점을 극복할 수 있다면, 해를 찾는데는 문제가 없습니다.

     

    예) http://www.allcalc.org/11532#comment_17071

    1600 = 1+x360 - 1x 을 만족하는 해를 찾는 문제입니다. [fx-570ES Plus] 의 solve 로는 답이 잘 구해지지 않았습니다 (Can't Solve). 이걸 TABLE 기능으로 한번 구해보겠습니다. 

    1. TABLE 모드로 변경합니다. 
       
    2. f(x) = 를 입력합니다.
      f(x) 자리에 1600이 올 수 없으므로 1600을 우변으로 이항해 입력합니다. 
      f(x) = 우변-좌변
       
    3. 이제 반복할 차례입니다. 해는 잘 모르지만 0~1 사이에 있는 것은 거의 확실합니다.
      (법정 최고 금리 : 2021년 7월 7일부터 24%에서 20%로 인하)
      Start?=0, End?=1, Step?=0.1 로 넣습니다.
      K-20160404-348899-32p.png
      F(X) 값이 음수에서 양수로 변하는 구간, 혹은 반대로 양수에서 음수로 변하는 구간이 해의 구간입니다. 이 문제에서는 방정식 특성상 음수에서 양수로 변하는 구간이 해의 구간입니다. 그런데 음수가 하나도 나오지 않았습니다. 처음의 ERROR 가 음수에 해당하는 구간인데 공교롭게 분모=0이라서 음수 대신 ERROR 가 나오게 되었습니다. (일단 구간을 알았다고 치고... 다음 단계로)
       
    4. 이제는 구간 및 간격의 자릿수를 각각 (소숫점) 한자리씩 늘립니다. Start?=0, End?=0.1, Step?=0.01
      위 TABLE 표시 상태에는 ​【AC】 를 눌러 빠져나옵니다.  그리고 【=】 를 누르면 앞선 f(x) 입력을 그대로 가져갈 수 있습니다. 이번에도 음수가 보이지 않습니다. 한단계 더 진행합니다. 
       
    5. Start?=0, End?=0.01, Step?=0.001
      K-20160404-353247-32p.png
      드디어 F(X) 값에 음수가 등장하기 시작합니다. 그리고 0.006까지는 음수이다가 0.007부터 양수로 바뀌는 것을 알 수가 있습니다. 이 곳이 바로 해가 존재하는 구간입니다. 다음 단계로 넘어갑니다. 
       
    6. Start?=0.006, End?=0.007, Step?=0.0001
      K-20160404-354839-32p.png
      해의 구간이 0.0069~0.0070 사이임을 확인하였습니다. 다음 단계로
       
    7. K-20160404-355648-32p.png K-20160404-356061-32p.png
      이렇게 반복하여 해가 0.006956~0.006957 사이에 있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언제까지 반복할지는 구하려는 해의 정확도에 따라 알아서 결정할 일입니다)
       
    8. 실제 해를 구해보면 x=0.006956700480349... 인데, 틀리지 않았네요.
    Attached file
    K-20160404-348899-32p.png 463Bytes 66K-20160404-353247-32p.png 520Bytes 71K-20160404-354839-32p.png 491Bytes 51K-20160404-355648-32p.png 546Bytes 73K-20160404-356061-32p.png 549Bytes 78스크린샷 2024-10-03 144116.png 1.7KB 20
    이 게시물을..
    N
    0
    0
    • [fx-570] 1차 연립 방정식 풀기 (feat. 반복법 Iteration, Gauss-Seidel 가우스-자이델 방법)세상의모든계산기
    • 세상의모든계산기 25
      세상의모든계산기

      계산기는 거들 뿐
      혹은
      계산기를 거들 뿐

    세상의모든계산기 님의 최근 글

    [fx-570 CW] 문자 변수에 값 저장하기 16 1 2025 10.24 (복잡한 다항식 수식에서) 계산기 내부 유효 자릿수에 따른 approx() 오차 66 6 2025 10.22 [HP Prime] Solve 함수 27 1 2025 10.20 세모계 사이트에서 파일 업로드 에러 (Type 7) 발생할 수 있습니다. 90 2025 10.13 언어의 유형과 만남: 고립어, 교착어, 그리고 한본어 현상에 대한 탐구 (written by Gemini) 194 1 2025 10.09

    세상의모든계산기 님의 최근 댓글

    fx-570 CW 는 아래 링크에서 https://allcalc.org/56026 2025 10.24 불러오기 할 때 변수값을 먼저 확인하고 싶을 때는 VARIABLE 버튼 【⇄[x]】목록에서 확인하고 Recall 하시면 되고, 변수값을 이미 알고 있을 때는 바로 【⬆️SHIFT】【4】로 (A)를 바로 입력할 수 있습니다. 2025 10.24 fx-570 CW 로 계산하면?       - 최종 확인된 결과 값 = 73.049507058478629343538 (23-digits) - 오차 = 6.632809104889414877 × 10^-19 꽤 정밀하게 나온건 맞는데, 시뮬레이션상의 22-digits 와 오차 수준이 비슷함. 왜 그런지는 모르겠음.  - 계산기중 정밀도가 높은 편인 HP Prime CAS모드와 비교해도 월등한 정밀도 값을 가짐.  2025 10.24 HP Prime 에서 <Home> 73.0495070344 (12-decimal-digits) // python 시뮬레이션과 일치   <CAS> 21자리까지 나와서 이상하다 싶었는데,  Ans- 에서 자릿수를 더 늘려서 빼보니, 뒷부분 숫자가 아예 바뀌어버림. 버그인가? (전) 73.0495070584718691243 (21-digits ????) (후) 73.0495070584718500814401 (24-digits ????) 찾아보니 버그는 아니고,  CAS에서는 십진수가 아니라 2진수(bit) 단위로 처리한다고 함. Giac uses 48 bits mantissa from the 53 bits from IEEE double. The reason is that Giac stores CAS data (gen type) in 64 bits and 5 bits are used for the data type (24 types are available). We therefore loose 5 bits (the 5 low bits are reset to 0 when a double is retrieved from a gen). 출처 : https://www.hpmuseum.org/cgi-bin/archv021.cgi?read=255657 일단 오차를 놓고 보면 16-decimal-digits 수준으로 보임.  2025 10.23 khiCAS 에서 HP 39gII 에 올린 khiCAS는 254! 까지 계산 가능, 255! 부터는 ∞   fx-9750GIII 에 올린 khiCAS는  factorial(533) => 425760136423128437▷  // 정답, 10진수 1224자리 factorial(534) => Object too large 2025 10.23
    글쓴이의 서명작성글 감추기 

    댓글7

    • Profile 0
      세상의모든계산기
      2016.04.08 - 14:20 2015.10.22 - 23:50 #8882

      [fx-350ES] 예시

      MENU - TABLE 기능으로 이동합니다. 

      K-20151022-856898.png

      1. 식을 입력하고 
        K-20151125-519370.png
         
      2. 구간 (시작/끝) 입력
        K-20151125-519577.png K-20151125-519580.png
        └ 구간 시작 < 구간 끝 
         
      3. 간격 (STEP) 입력
        K-20151125-519599.png
        └ 간격은 항상 양수
         
      4. 해의 구간 확인
        K-20151125-519691.png
        └ 연속이라는 가정하에 해(x|f(x)=0)가 -4<x<-3 사이에 있음을 알 수 있음.
         
      5. 구간을 자세하게 나누어서 반복
        【AC】 를 누르면 f(x) 식 입력화면으로 돌아가는데, 구간/간격을 재설정해서 해의 범위를 좁혀감
        K-20151125-520096.png K-20151125-520409.png K-20151125-525536.png
        └ 해는 -3.0545와 -3.0550 사이 어딘가에 있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습니다. 

      ※ 한번에 해의 구간을 자세하게 구하지 못하는 이유는 
      한번에 TABLE 에 표현할 수 있는 순서쌍이 최대 30개뿐이기 때문입니다. 

      K-20151125-524814.png

      Attached file
      K-20151022-856898.png 542Bytes 131 K-20151125-519370.png 540Bytes 216 K-20151125-519577.png 481Bytes 131 K-20151125-519580.png 428Bytes 141 K-20151125-519599.png 420Bytes 132 K-20151125-519691.png 639Bytes 134 K-20151125-520096.png 685Bytes 129 K-20151125-520409.png 788Bytes 128 K-20151125-525536.png 778Bytes 121 K-20151125-524814.png 737Bytes 186
      댓글
    • Profile 0
      세상의모든계산기
      2021.09.01 - 13:16 2019.01.18 - 20:27 #25371

      [fx-570EX] 예시 http://www.allcalc.org/25354

      0˚~15˚ 까지 매 1˚ 마다 ? ㎜를 이동하여 최종 10 ㎜ 를 이동하려고 할 때, 매 ˚ 마다 이동할 위치를 표시하려면?

      fx-570EX_991EX_Emulator_2019-01-18_20-30-36.png 2019-01-18_20-31-08.png 2019-01-18_20-31-42.png 2019-01-18_20-31-55.png

      Attached file
      2019-01-18_20-31-55.png 2.0KB 82 2019-01-18_20-31-42.png 2.3KB 79 2019-01-18_20-31-08.png 1.6KB 88 fx-570EX_991EX_Emulator_2019-01-18_20-30-36.png 2.4KB 86
      댓글
    • 1
      0
      aaa
      2019.01.18 - 23:36 2019.01.18 - 22:24 #25389

      와.. .. 와..
      직접 해법 안찾아 주셨으면,

      100년이 가도 모를뻔 했습니다.
      세상에.. 

      계속 반복해서 여러가지 거리 각도 연습하고 있는데, 

      이제 방정식이 눈에 차츰 들어옵니다. 공부 안한지가 꾀되서 ㅎㅎ 살짝 머리가 굳었나 봅니다.

      식을 (10/15)X 를 대입해도 같은 값이 도출되네요. 아하.. ^^;

      너무너무 고맙습니다.

      댓글 수정 삭제
    • Profile 0
      임시닉네임
      2021.09.01 - 12:23 #34680

      해 찾기에 중간값 정리를 활용하셨나요?
      중간값정리.png

       

      Attached file
      중간값정리.png 214.4KB 66
      댓글
    • 1
      Profile 0
      세상의모든계산기
      2021.09.01 - 13:19 #34691
      그런 셈이죠.
      댓글
    • 0
      help
      2022.04.24 - 21:25 #36892
      3번과정에서
      x에 0.1과 0.2를 대입했을 때 오른쪽에 나오는 값은 뭘 의미하는 건가요? 숫자 같기도 하고 숫자가 아닌 것 같기도 하고..
      fx 350ES PLUS로 table 돌리다가 뭔지 모르겠어서 질문드립니다.
      댓글 수정 삭제
    • 1
      Profile 0
      세상의모든계산기
      2022.04.24 - 21:57 2022.04.24 - 21:54 #36899

      x에 대응하는 f(x) 값입니다.

      K-20160404-348899-32p.png

      f(0.1)=7×10^(15)
      f(0.2)=1×10^(29)

      원래는 15와 29가 10의 윗줄에 조그맣게 표시되어야 맞는건데,
      계산기 액정성능이 그리 좋지 않아서, 저렇게 애매하게 표시되고 있습니다.

      댓글
    • 댓글 입력
    • 에디터 전환
    댓글 쓰기 에디터 사용하기 닫기
    • view_headline 목록
    • 14px
    • [fx-570] 1차 연립 방정식 풀기 (feat. 반복법 Iteration, Gauss-Seidel 가우스-자이델 방법)
    • 목록
      view_headline
    7
    × CLOSE
    전체 9860 41 570 50 350 2 기타 11 공통 26
    기본 (133) 제목 날짜 수정 조회 댓글 추천 비추
    분류 정렬 검색
    • 93 9860 [fx-9860G] 공식 저장하기 4 - Graph Func & Solve 적용
    • 세상의모든계산기 2024.10.21 - 16:51 803 3
    • 1. fx-9860 시리즈에서 일반적인 함수 공식 저장하기 f(x) = x^2+2x+1 과 같이 x에 특정 값을 대입하면 즉시 계산이 되어 함수값이 도출되는 "함수 공식을 저장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 다른 방법들은 댓글 링크 참고 그런데 다른 방법들은 일반적인 함수꼴로 입력해야지만 사용하기 쉽게 되어 있습니다. 만약 방정식을 함수꼴로 변형하기 어려워 어쩔 수 없이 방정식 형태로 저장해 solve 로 풀어야 하는 경우라면 다른 공식 저장 방법은 그다지 유용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2. 방정식 저장하기 방정식을 저장하는 것은 e-A...
    • 92 9860 [fx-9860G] 공식 저장하기 1 - 함수 메모리 FMEM
    • 세상의모든계산기 2015.10.09 - 17:55 20807 6
    • 1. FMEM 이란? 가장 간단하게 함수(Function)를 정의하고 사용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RUN.MAT 모드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기타 모드에서도 일부 사용 가능한 듯) 장점 단점 저장/수정/사용이 쉬움 계산기 초기화시 내용이 사라짐 LineIO 설정에서만 사용가능 2. 사용 예시 먼저 문자를 이용하여 공식을 완성합니다. 【OPTN】【F6】【F6】【F3】으로 FMEM 을 찾습니다. 현재 화면에 띄워놓은 식을 【F1】 (STO) 으로 저장합니다. 적당한 번호에 저장합니다. (1번~20번까지 지정가능) 【1】【EXE】 ==Function Memory== 에 저장한 식들...
    • 91 570 [fx-570MS] 복소수 설정, 페이저 입력 및 변환 (극좌표, 직교좌표)
    • 세상의모든계산기 2015.12.17 - 19:49 16379 3
    • 1. (설정) 복소수 형식 (직교좌표, 극좌표) fx-570 에서는 복소수 모드(【MODE】 【2】 = CMPLX) 에서만 복소수를 다룰 수 있고 다른모드에서는 복소수&페이저 관련 계산을 할 수 없습니다. 계산을 위해 복소수&페이저를 입력할 때는 직교좌표나 극좌표 형식 아무 것이나 사용해도 상관 없습니다. 하지만, 그 결과값이 출력될 때는 사전에 설정된 형식으로 표시됩니다. 따라서 아래와 같이 원하는 출력형식을 미리 설정해 두십시오. 【MODE】【MODE】【MODE】【MODE】【MODE】【MODE】 (Disp) 【1】【▶】【▶】 2. 직교좌표와 극좌표간의 전...
    • 90 570 [fx-570] ES, EX 미분 기능 의 입력 및 계산, Differential Calculation
    • 세상의모든계산기 2024.09.03 - 17:23 448 2
    • 1. [fx-570 ES, EX] 의 미분기능이란? 도함수를 찾는 기능이 없기 때문에, 엄밀하게는 미분 계수(순간변화율)로 볼 수 없습니다. 엄밀하게는 '아주 짧은 구간(△x)에서의 함수의 평균 변화율을 구하는 기능'이라고 보는 것이 맞는 듯 합니다. 다만, 결과적으로 같을 수는 있습니다. 불연속구점이나 변화가 큰 값에서는 오차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삼각함수에서는 각도 설정을 반드시 Radian 으로 바꾸어야 합니다. 변수는 오직 X 로 고정되어 있으니, 다른 변수라면 x로 바꿔서 입력하세요. t에 대한 방정식의 미분계수나, t자리에 x를 대...
    • 89 350 [fx-350] 2차 방정식 해를 찾는 방법 - 2차 회귀식
    • 세상의모든계산기 2015.10.22 - 23:31 30474 3
    • 1. [fx-350] 시리즈의 한계 [fx-350] 기종은 EQN 모드도 없고, Solve 기능도 없기 때문에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방정식의 해를 구할 수가 없습니다. * 동급인 fx-82도 같습니다만, fx-95 시리즈에는 EQN기능이 들어가 있습니다. https://support.casio.com/global/ko/calc/manual/fx-82ESPLUS_85ESPLUS_95ESPLUS_350ESPLUS_ko/using_calculation_modes/equation_calculations.html 2. 2차 방정식의 해 - 근의 공식 (fx-350 시리즈에서는 이 방법이 최선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2차 방정식의 해를 찾아야만 한다면? 근의 공식을 이용하...
    • 88 9860 [fx-9860G] 행렬 Matrix 의 입력
    • 세상의모든계산기 2015.04.17 - 20:26 14539 3
    • 1. 행렬 모드의 구분? RUN.MAT 모드에서 행렬을 입력/수정/사용할 수 있습니다. CASIO 하위 모델과 다르게, 일반 계산모드와 행렬 모드가 분리되어 있지 않습니다. 2. MATRIX 관리 화면 계산기 화면의 왼쪽 아래에 ▶MAT 표시를 찾아 누릅니다. 【F3】 이거나 【F1】 입니다. 일반 계산모드에서 MATRIX 전용 하위 메뉴로 진입합니다. 여기서는 저장되어 있는 행렬 변수들을 관리(DATA 수정, 삭제 등)할 수 있습니다. ※ 【OPTN】 버튼을 눌렀을 때 나타나는 (삼각형이 없는) MAT 표시와 다릅니다. ▶MAT이 안보인다면 【EXIT】 버튼을 연타하...
    • 87 570 [fx-570 ES PLUS] VECTOR Calculation 벡터 계산
    • 세상의모든계산기 2015.03.20 - 13:05 3935 5
    • 1. 벡터 계산 모드 2. 기능 설명 (Manual 참고) 3. 예시 (Manual 참고)
    • 86 9860 [fx-9860][Add-In] Probability Simulation. 확률 모의 실험.
    • 세상의모든계산기 2024.10.16 - 18:30 239 1
    • PROB.g1a 이 애드인은 다음 시행을 시뮬레이션 합니다. - F1 : Coin Toss, 동전 던지기 - F2 : Dice Roll, 주사위 굴리기 - F3 : Spinner, 돌려돌려 돌림판 - F4 : Marble Grab, 주머니 속 구슬은? - F5 : Card Draw, 카드 뽑기 - F6 : Random Numbers, 로또 신이시여!!! 시뮬레이션 과정은 Table 과 Graph 로 확인할 수 있으며 결과는 List 변수에 저장할 수 있습니다. 세부 설정 : 각 게임에서【SHIFT】【MENU】를 눌러 SET UP 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ㄴ 예시 : Random Numbers * pseudo Random 생성을 위한 seed 는 1~99999 사이에서 ...
    • 85 9860 [fx-9860GIII][fx-9750GIII] PC에서 파일 전송하기
    • 세상의모든계산기 2024.10.16 - 18:55 454 1
    • GIII 모델은 더 이상 FA-124 를 이용해 파일 전송을 하지 않습니다. GIII 만의 전용기능으로, USB 메모리로 인식시켜 파일 관리를 할 수 있습니다. - USB 케이블로 계산기와 PC를 연결하면 계산기에 "Select Connection Mode" 선택 창이 뜹니다. F1 : (USB Flash) ㄴ PC와 데이터 file 을 전송하기 위한 모드입니다. F2 : (Projector) ㄴ 교육용 프로젝터에 연결해 계산기 화면을 출력하기 위한 모드입니다. F3 : (ScreenRecv) ㄴ PC Software 에 연결해 계산기 화면을 출력하기 위한 모드입니다. F2, F3 국내 사용자들은 쓸 일이 없습니다...
    • 84 570 [fx-570 ES] 온도 단위 (섭씨, 화씨)의 변환
    • 세상의모든계산기 2024.07.19 - 23:25 356
    • 1. 온도 단위 및 단위간 변환 https://allcalc.org/44585 ㄴ 온도 단위에 대한 기본 개념, 그리고 정석적인 변환식은 위 링크에서 확인하세요. 2. fx-570 시리즈에서 단위 변환 【SHIFT】【8】 을 누르면 CONVERSION Number 01~40? 화면이 나옵니다. 몇번이 무슨 기능인지를 계산기 기능으로 확인할 방법은 없습니다. (오직 암기 뿐) 37번 : ℉▶℃ 38번 : ℃▶℉ 예시) 【100】【SHIFT】【8】【38】【=】 입력
    • 83 9860 [설명서] ADVANCED QUANTITATIVE REASONING (고급 정량적 추론) with the Casio fx-9860GII
    • 세상의모든계산기 2024.10.03 - 16:10 302
    • CASIO에서 공식적으로 내놓은 사용 설명서는 아니구요. 다만, 상단에 CASIO EDUCATION 이라고 적혀 있는 걸 볼 때, 카시오의 후원정도를 받아서 대학교 박사(Dr)님께서 작성하신게 아닌가 싶습니다. 오리지널 파일 출처는 어딘지 모르겠네요. 검색해도 딱히 안나옵니다. 내용은 제목에서 보여지듯 통계 관련한 사용법이 주를 이루고 있습니다. 웹상 출처 : https://www.manualslib.com/manual/607293/Casio-Fx-9860gii.html 포함 내용 Probability (확률) How to Write Fractions in Natural Display (Natural Display에서 분수 입력) How ...
    • 82 570 [fx-570] 복소수 1차 연립방정식 해법 (feat. 반복법 Gauss-Seidel Method)
    • 세상의모든계산기 2015.10.22 - 17:19 10937 5
    • 1. EQN 및 행렬 기능의 한계 [fx-570ES PLUS] 계산기에는 연립방정식의 해를 구하는 EQN 기능이 있습니다만, 계수 및 해의 범위는 실수로 한정됩니다. 행렬(Matrix) 모드에서도 element에는 실수만 입력시킬 수 있습니다. 게다가 최대 행렬은 3×3 까지만 가능...ㅠㅠ 따라서, [fx-570ES (Plus)]에서 계산기 내장기능만으로는 계수나 해가 복소수인 연립방정식을 풀 수가 없습니다. 역행렬 공식을 (암기) 활용하여 구하는 방법은 있습니다. https://allcalc.org/43763 2. 반복법 (Gauss-Seidel Method) 하지만 반복법인 가우스-자이델 법을 ...
    • 81 9860 [fx-9860G] 각도(Angle)의 설정, 단위 입력 및 변환
    • 세상의모든계산기 2015.03.27 - 15:36 12171 1
    • 1. 각도의 사전 설정 【SHIFT】【MENU】 에서 방향 키로 Angle 항목을 찾아간 후 원하는 단위 선택 【F1】 Deg(도) 【F2】 Rad(호도, 라디안) 【F3】 Gra(그라디안) 2. 각도단위의 직접 입력 (사전 설정 단위을 무시함) 예시 설정은 radian 이더라도, 강제로 degree 단위로 입력 방법1 【OPTN】【F6】【F5】 (Angle) 화면하단에 나온 각도단위 표시를 입력(【F1】~【F3】) 방법2 CATALOG 에서 직접 찾아서 입력 주의! (DMS 단위) Degree 기호와 달리 DMS 단위기호(□)로는 강제 단위 인식이 불가능. (DMS단위)˚ 와 같이 추가로 Degree 단위...
    • 80 공통 [추천] 카시오 (엔트리급) 공학용 계산기 모델명 비교 분류 (fx-350 vs fx-570) MS, ES, EX
    • 세상의모든계산기 2015.02.04 - 22:18 26626 13
    • 1. 모델명 분류 등급 1-way Power 2-way Power functions (함수) 기타 유사모델 350 350ES(LR03), 82ES(R03) 300ES(LR44), 85ES(LR44) 249 83(LR03) 350 350ES PLUS, 82ES PLUS 252 350 350EX, 82EX 85EX 274 570 570ES 991ES(유럽), 115ES(북미) 403 570 570ES PLUS 991ES PLUS 417 570 570EX 991EX 552 └ [ES] 이후 도입된 "Natural-V.P.A.M" 은 교과서의 수학식에 가깝게 수식을 입력하는 기능입니다. 설정 변경을 통해 구형 모델인 [MS]와 같은 한줄 입력 방식(Line IO)으로 변경할 수도 있습니다. └ 구형인 [MS] 기종에서는 Math IO ...
    • 79 공통 2023년 카시오 계산기 카탈로그
    • 세상의모든계산기 2024.10.04 - 14:02 215
    • https://www.casio.com/content/dam/casio/global/calculator/scientific-calculators/catalog/2023_all.pdf 일본판 제외한, 글로벌용 팜플렛입니다. 1957년도에는 계산기를 사면 책상을 줬군요.
    • 78 9860 [fx-9860] 도분초(DMS)의 입력
    • 세상의모든계산기 2015.04.18 - 23:56 4542 1
    • 사용자 설명서 찾아가기 2장 매뉴얼 계산 3. 각도와 표시 형식 설정 4. 함수 계산 【OPTN】【ANGL】또는 【OPTN】【F6】▷【ANGL】 * 9860 시리즈 모델명이나, 버전에 따라 【OPTN】내 위치가 다를 수 있습니다. 각도/좌표변환, 도분초 입력/변환 계산(ANGL) - {˚} / {r} / {g} ... {도수법} / {호도법(라디안 단위)} / {Grad 단위}로 변환 - {˚ ’ ”} ... {도, 분, 초 입력시 시, 분, 초로 치환할 때 사용} - {$\overleftarrow{˚ ’ ”}$} ... {10진수의 수치를 도, 분, 초(시, 분, 초)로 변환해서 표시하고자 할 때 사용} 화면에 계산 결과가...
    • 77 9860 [fx-9860G] 보간법 풀이 예시 (feat. solve)
    • 세상의모든계산기 2017.10.27 - 09:35 4092
    • 1. 문제 Temperature Enthalpy A = 200K C = 1250 kJ/Kg B = 300K D = 1890 kJ/kg Temperature Enthalpy E = 250K X = ? kJ/kg 2. 풀이 MENU 에서 EQUA 모드로 진입 【F3】 Solver 선택 방정식 입력 Eq : (T-200)÷(T-300)=(E-1250)÷(E-1890) 변수 값 입력 T=250 변수 E로 이동 【F6】 SOLV 명령 실행 * REPT 으로 다른 온도 T에 대한 E 값 확인 가능. 3. 참고 [fx-9860G] solve 솔브 기능 및 함수 - EQUA 모드 or RUN MAT 모드 보간법 interpolation [fx-9860G] 통계 - 선형(1차) 회귀 곡선 구하기 (예제, 보간법)
    • 76 570 [fx-570 EX] 복소수 1차 연립방정식 해 구하기 (feat. MATRIX)
    • 세상의모든계산기 2017.10.24 - 08:56 24782 5
    • 1. 복소수 (선형) 연립방정식의 해를 구하는 방법 [fx-570 EX] EQN 모드 : 복소수 계수 입력 불가능 MATRIX 모드 : 복소수 계수 입력 불가능 Solve 명령 : CMPLX 모드에서 작동하지 않음 따라서 [fx-570 EX] 기종에서는 직접적인 방법(?)으로 복소수 연립방정식의 해를 구할 수 없습니다. 2. TRICK 하지만 아직 좌절하기에는 이릅니다. 4×4 행렬 입력이 가능한 [fx-570 EX] 기종에서는 행렬을 이용하여 위 문제를 풀 기회가 남아 있기 때문입니다. (fx-570 ES PLUS 기종은 3×3 행렬까지만 생성이 가능해서 불가능한 방법입니다) ㄴ 1열의 ...
    • 75 570 [fx-570] 1차 연립 방정식 풀기 (feat. 반복법 Iteration, Gauss-Seidel 가우스-자이델 방법)
    • 세상의모든계산기 2015.10.08 - 11:14 7005 7
    • 출처 : http://www.marco.com.my/my/doc/fx-570es.pdf 문제 다음 연립방정식을 Gauss-Seidel 법으로 풀어라. 5x1 - x2 + 3x3 = 6 4x1 + 7x2 + x3 = 2 2x1 + 3x2 + 10x3 = 9 첨자 입력이 안되므로 x1, x2, x3를 각각 A, B, C로 놓고 계산합니다. 식을 각각 A, B, C 에 대하여 정리합니다. (손으로 혹은 머리로) 정리된 식 3개를 계산기에 한꺼번에 입력합니다. 이 때 각각의 식 사이에 : 기호를 넣습니다. 식을 한꺼번에 입력해야 반복명령을 내릴 때 매우 편합니다. 알파벳 A, B, C 는 【ALPHA】 버튼을 누르고 해당 문자를 찾아서 클릭하...
    • 570 [fx-570ES][fx-350ES] TABLE 표 작성하기 (부제:해를 구하는 또하나의 방법)
    • 세상의모든계산기 2016.04.04 - 09:55 6347 7
    • 1. TABLE 기능이란? TABLE MODE 로 변경 f(x)=(x에 방정식) 을 입력 x의 범위(=구간)를 입력 x의 간격(=step) 을 입력 위 과정을 통해서 방정식의 x에 따른 y값을 찾아주는 기능입니다. 즉, 특정 구간에서 방정식을 만족하는 (x,y) 순서쌍을 찾아주는 기능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테이블로 만들 수 있는 순서쌍은 1회당 30개가 한계입니다. (|END-START|÷STEP) < 30 을 만족해야 합니다. 그 이상의 간격으로 나누게 되면 ERROR (=Insufficient MEM) 가 발생합니다. * [EX] 기종은 f(x)에 대해서는 45개의 순서쌍을, f(x)&g(x) 에 대해서...
    • 1 2 3 4 5 6 7
    • / 7 GO
    by OrangeDay
    • CASIO
    • allcalc.org
    • 세모계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