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ASIO 공통
[카시오 공학용계산기] 자연상수 e 의 입력 (feat. 오일러 수, 네이피어 상수)
1. 자연상수 e
자연상수 e 는 무리수이자 초월수로서 2.71828182845904523536... 의 값을 가집니다. 영문자 e 로 표기하는 이유는 오일러(Euler)의 이름에서 따 왔다고 하고, 그래서 오일러의 수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지수 계산법을 처음 도입한 존 네이피어를 기려서 네이피어 상수로 부르는 경우도 있습니다.
2. 계산기에서 입력 방법
그 중요성을 생각해 보면, e를 단독 배치할 법도 하건만, 생각보다는 잘 안쓰이기 때문인지, 보통의 공학용 계산기들에는 【ln】버튼에 꼽사리 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밑이 e인 log 와 (대칭적으로) 짝이 딱 맞으니까 이해는 갑니다만...
[fx-570ES]
- 【SHIFT】【ln】 : e■
e의 지수입력 꼴입니다.
한덩어리이므로 지수부만 떼어 삭제할 수 없습니다. ⇒ 같이 지워짐
지수부를 빈칸으로 남겨놓고 계산할 수 없습니다. ⇒ Syntax Error
- 【ALPHA】【×10x】 : e
e의 단독 입력 꼴입니다.
지수꼴(power of e) 와 e의 글꼴 모양은 똑같습니다. 하지만 구분해 쓰셔야 합니다.
당연히, 여기에는 【x■】지수버튼을 이용해 지수를 추가 입력할 수는 있습니다.
[fx-350MS]
- 【SHIFT】【ln】 : ex
기울어지지 않은 글꼴로 e 가 표시됩니다.
e 뒤에 지수를 의미하는 (^) 기호가 붙지 않습니다. e뒤에 바로 지수를 입력하면 됩니다.
지수입력를 생략하고 다른 연산기호를 바로 입력하면 그 전체값이 지수로 들어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지수는 반드시 입력해야 합니다.
* 오류/착각을 불러올 수 있는 매우 불친절한방식입니다.
- 【ALPHA】【ln】 : e
e기호 단독 입력 꼴입니다.
앞서 나온 지수입력(power of e) 꼴과 달리 두꺼운 기울어진 이탤릭체로 표시됩니다.
지수버튼 【^】을 이용해 지수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세상의모든계산기 님의 최근 댓글
오류 발생 https://www.youtube.com/watch?v=dcg0x5SjETY 위 영상의 문제의 함수를 직접 구해 보았습니다. 그래프로는 잘 확인이 되는데... fmin(), fmax() 함수로 직접 구해보니, 결과가 기대한 것과 다르네요. 구간을 넣지 않으니 fmim, fmax 둘 다에서 오류인 결과를 내놓습니다. 구간을 넣더라도, 적절하게 넣지 않으면, 답이 잘 안나오는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fmin 은 그나마 x=0을 기준으로 나누지 않더라도 답이 나오는 편이지만, fmax 는 -10~10 을 구간으로 넣을 때, 가운데 x=0 근방에서 그래프가 위로 솟아오르는 구간은 함수값을 확인하지 않는 듯 합니다. ㄴ fmax가 더 열등해서 그런 것은 아니고, 뒤집어진 모양에서는 반대로 fmin이 못찾습니다. 구간 범위가 커질 경우, 함수에 적용하여 계산하다가 숫자 허용 한계를 벗어나서 overflow 가 나서 오류가 발생할 수도 있는 듯 합니다. 뒤에 점을 넣으니 경고 문구가 추가로 나오긴 했는데, ⚠️ Questionable accuracy. When applicable, try using graphical methods to verify the results. 그래도 실망이네요. * 믿음직한 녀석은 아닌 듯 하니, 주의 표시 ⚠️가 나오든 안나오든, 사용에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가급적이면 그래프로 검증해 보시는게 좋겠습니다. 2025 10.26 예시 8-1 : 분수식 solve시 오류 예시, 분모에 들어간 X³을 X로 치환해 해결? https://allcalc.org/56074 2025 10.25 fx-570 CW 는 아래 링크에서 https://allcalc.org/56026 2025 10.24 불러오기 할 때 변수값을 먼저 확인하고 싶을 때는 VARIABLE 버튼 【⇄[x]】목록에서 확인하고 Recall 하시면 되고, 변수값을 이미 알고 있을 때는 바로 【⬆️SHIFT】【4】로 (A)를 바로 입력할 수 있습니다. 2025 10.24 fx-570 CW 로 계산하면? - 최종 확인된 결과 값 = 73.049507058478629343538 (23-digits) - 오차 = 6.632809104889414877 × 10^-19 꽤 정밀하게 나온건 맞는데, 시뮬레이션상의 22-digits 와 오차 수준이 비슷함. 왜 그런지는 모르겠음. - 계산기중 정밀도가 높은 편인 HP Prime CAS모드와 비교해도 월등한 정밀도 값을 가짐. 2025 1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