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 nspire
[TI-nspire] 복소수 Complex number, 페이저 Phaser 관련 기본 입력 및 기능
1. 설정하기 (Document Settings)
복소수 관련하여 설정할 것은 다음 두가지 항목 입니다.

- Real or Complex Format : Real / Rectangular / Polar
- Angle : Degree / Radian / Gradian
복소수를 다뤄야 하기 때문에 1.에서 Real 로 두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ㄴ Rectangular(직교좌표) 또는 Polar(극좌표) 형식 중 하나를 선택해 주세요. (최종 결과값 형식에 영향을 미칩니다)
각도 설정은 디그리 / 라디안 중 주로 사용하는 것으로 결정하시면 됩니다만...
가급적이면 라디안으로 두는 것이 좋습니다.
아래 스샷처럼 세팅에 따라 결과값 형식이 딱 정해져 있습니다.
본인 취향에 맞게 세부 세팅할 방법은 없습니다.

2. 복소수 및 페이저 기호의 입력
※
입력 주의사항
ⓐ [TI-nspire] 에서 허수 기호 i 는 알파벳 키
로 입력하지 않고, 특수문자키
(혹은 카탈로그키
)를 이용해서 입력하여야 합니다.
ⓑ 교과서/문제집 등에서 사용하는 허수기호 j 는 공학용 계산기에서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허수기호는 i 입니다.
i →j 로 변수j에 복소수 i값을 저장한 후 j를 대신 활용할 수는 있긴 합니다만... 그렇다고 결과가 허수단위로서 j에 대해 정리되는 것은 아닙니다.
ⓒ 각도 기호 ∠ 는 
(위에서 2번째줄)에서 찾아 입력합니다. (별도의 단축키는 없습니다)
∠ 기호를 이용한 극좌표 형식은 반드시 전체를 괄호로 묶어야만 합니다.
(r∠θ)
- 자연대수 e : 【ex】 키나 특수문자키
조합으로 입력합니다. 알파벳 【e】 가 아닙니다.
3. 복소수 형식간 변환 (극좌표 vs 직교좌표)
▶Polar, ▶Rect 의 입력방법들 (아래 중 택1)
ⓐ 각각 


▶Polar, 


▶Rect
ⓑ 각각 


(방향키 연타로 찾기) 


(방향키 연타로 찾기)
ⓒ 【▶】 (변환기호) 찾아 입력하고 알파벳 키로 직접 입력 : 가능은 하지만 번거로움
- Degree 모드일 때 (Document Setting에서)

- Radian 모드일 때

4. 관련 함수

- abs()
- angle()
- conj()
- imag()
- real()
- P►Rx()
- P►Ry()
- R►Pθ()
- R►Pr()
5. 참고
댓글18
-
세상의모든계산기
허수기호(i) 나 자연대수기호(e)의 입력 빈도가 많다면,
1문자 알파벳(변수)에 저장하여, 대체입력하는 방법도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
1
세상의모든계산기

극좌표 형식에서 arctan 로 답이 나오는 이유는 각도값이 무리수이기 때문입니다. (대부분의 경우)
근사값 형태로 강제 계산하시면 됩니다.
[TI-nspire] 계산 모드 : 근사값 vs 참값 Calculation Mode : Approx vs Exact
- 1
- 2
- 3
- 1
- 1
-
1
세상의모든계산기
복소수에서 가장 중요한 공식 중 하나는 오일러 공식입니다.
$ e^{i\theta} = \cos(\theta) + i\sin(\theta) $
좌변 $ e^{i\theta} $에서 θ는 단위가 '각도(degree)'가 아닌 그냥 실수(real number), 즉 라디안 값으로 해석되는 무차원수이며,
θ가 반드시 라디안(radian) 단위일 때만 정확히 성립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 e^{j(30˚)} $ 처럼 쓰는 것은 잘못된 기술입니다.
- 1
- 1
세상의모든계산기 님의 최근 댓글
적용사례 4 - 파장 스펙트럼 https://news.samsungdisplay.com/26683 ㄴ (좌) 연속되는 그라데이션 ➡️ (우) 540 이하 | 구분되는 층(색) | 560 이상 - 겹치는 부분, 즉 540~560 nm 에서 색상이 차단? 변형? 된 것을 확인할 수 있음. 그럼 폰에서 Color Vision Helper 앱으로 보면? ㄴ 540~560 nm 대역이 검은 띠로 표시됨. 완전 차단됨을 의미 2025 11.05 빨간 셀로판지로도 이시하라 테스트 같은 숫자 구분에서는 유사한 효과를 낼 수 있다고 합니다. 색상이 다양하다면 빨강이나, 노랑, 주황 등도 테스트해보면 재밌겠네요. 2025 11.05 안드로이드 앱 - "Color Vision Helper" 다운받아 본문 내용을 카메라로 찍어 보니, 본문 프로그램에서는 애매하게 보이던 부분에서도 구분이 완전 확실하게 되네요. 숫자 구분 능력 & 편의성 면에서 압도적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2025 11.05 적용 사례 3 - 색상표 https://namu.wiki/w/%ED%97%A5%EC%8A%A4%20%EC%BD%94%EB%93%9C 적녹 색약 기준에서 필터 후 색깔을 느낌으로 표현하면 녹색 계열이 좀 차분? 묵직? 해지는 느낌 적색 계열이 전반적으로 조화를 이루지 못하고 튀는? 느낌 노랑이가 사라지는 느낌. * 적색 계열에서 글씨가 살짝 안보이는 것은 계조 문제(프로그램 문제)일 수 있겠다는 생각 2025 11.04 적용 사례 2 - 셔터스톡 https://www.shutterstock.com/ko/search/%EC%83%89%EC%95%BD%EA%B2%80%EC%82%AC?image_type=illustration 2025 1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