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 nspire
[TI-nspire] ÉTS 에서 만든 TI-Nspire 용 라이브러리 (Geo3D)
École de technologie supérieure (ÉTS)

ÉTS 는 캐나다 퀘벡주 몬트리올에 위치한 공과대학입니다.
ETS는 특히 응용 과학과 공학 분야에 중점을 두며, 산업과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면서 실용적인 기술 교육을 제공합니다.
이 학교는 주로 기술자들이나 공학 관련 직업을 목표로 하는 학생들을 위해 설계된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연구와 개발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습니다.
ETS는 다양한 공학 분야에서 학사, 석사, 박사 학위를 제공하며, 특히 실무 중심의 교육 방식을 통해 학생들이 현장에서 바로 활용할 수 있는 기술과 지식을 습득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http://seg-apps.etsmtl.ca/nspire/librairies.html
위 링크 들어가 보시면 총 4개의 라이브러리 파일이 있습니다.
잘은 모르지만,
모르는 사람이 봐도 상당히 공들여 만든 라이브러리로 보여집니다.
1. De Michel Beaudin, une librairie de fonctions et procédures utiles pour les cours MAT-144-145-165-265-472-805 et MEC-532.
2. Librairie geo3d : geo3d.tns (18 juillet 2014)

3. Library geo3d in ENGLISH : geo3d.tns (25 juin 2014)
4. Librairie signum : signum.tns (25 juin 2014)

2번 3번은 같은 라이브러리인데 언어만 다른 것으로 파악됩니다만,
2번의 경우 날짜가 좀 다른데, 2018년에 추가로 업데이트가 있었던 것 같기도 하고, 아닌 것 같기도 하고 그렇네요.
geo3d 라이브러리 목록에는 아래 함수들이 들어 있습니다.
댓글3
-
세상의모든계산기
샘플 파일 TracerSolides.tns 예제 일부 (18 juillet 2018).






-
세상의모든계산기
x=1, y=1, z=1 평면 그리기 - geo3d\polygon()
1. z=1 은 function 타입으로 입력합니다. z1(x,y) = 1
2. y=1, z=1 은 function 타입으로 입력할 방법이 없습니다.
플롯할 범위를 먼저 생각하고 꼭지점을 구합니다.
폴리곤은 삼각형 단위로 면을 채우는 기능이므로 사각형 평면을 만들려면 2개의 폴리곤이 각각 필요합니다.

ㄴ 점의 순서는 그렇게 중요하진 않은데, 추가적으로 이용을 하려면 중요할 수도 있겠습니다.
y1~y4 에 대해서도 같은 방식으로 처리를 한 다음에 g3, g4에 저장.
geo3d\putg(1,4) 를 실행하면 g1~g4에 대한 처리가 끝납니다.
그래프 페이지로 넘어가서, 해당 함수를 활성화하면 그래프가 표시됩니다.
ㄴ z=1은 하나의 색, x=1, y=1 은 두개의 색(삼각형)으로 처리되었습니다.
ㄴ 티 안나게 하려면 색은 수동으로 변경 설정하셔야 합니다.
세상의모든계산기 님의 최근 댓글
참고 - [공학용 계산기] 로그의 입력 (log, ln) (feat. 밑 입력이 안되는 계산기는?) https://allcalc.org/14995 2025 11.14 HP-39gII 에 ExistOS 설치하기 https://allcalc.org/38526 2025 11.07 1. 왜 검은색이 아닌 다른 색으로 보일까? (제공된 LUT 필터) 제가 제공해 드린 magenta_lens.cube LUT 필터는 540~560nm(녹색-노란색) 파장대의 색상을 '완전히 제거(검은색으로 만듦)'하는 대신, '다른 색상으로 왜곡/변환'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 원리: LUT(Look-Up Table)는 특정 입력 색상(Input RGB)을 미리 정해진 다른 출력 색상(Output RGB)으로 매핑하는 테이블입니다. 이 LUT는 540~560nm에 해당하는 RGB 값들이 들어오면, 검은색(0, 0, 0)이 아닌, 매우 어둡거나 채도가 낮은 특정 색(예: 어두운 올리브색, 갈색 등)으로 변환하라고 지시합니다. * 의도: * 현실적인 물리 필터 시뮬레이션: 실제 고가의 색약 보정 안경도 특정 파장을 100% 완벽하게 차단하지는 못합니다. 빛의 일부를 흡수하고 일부는 통과시키거나 변환하는데, 이 LUT는 그러한 현실 세계의 필터 효과를 더 비슷하게 흉내 냈을 수 있습니다. * 시각적 정보 유지: 특정 색을 완전히 검게 만들면 그 부분의 형태나 질감 정보가 완전히 사라집니다. 하지만 다른 어두운 색으로 대체하면, 색상 정보는 왜곡되더라도 밝기나 형태 정보는 어느 정도 유지되어 전체적인 이미지가 덜 어색하게 보일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스펙트럼 그림에서 해당 대역의 색이 갑자기 '다른 색으로 툭 바뀌는' 현상은, LUT 필터가 "이 파장대의 색은 앞으로 이 색으로 표시해!"라고 강제적으로 지시한 결과이며, 이것이 바로 이 필터가 작동하는 방식 그 자체입니다. 2. 왜 'Color Vision Helper' 앱은 검은색으로 보일까? 비교하신 'Color Vision Helper' 앱은 노치 필터의 원리를 더 이상적(Ideal)이고 교과서적으로 구현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 원리: "L-콘과 M-콘의 신호가 겹치는 540~560nm 파장의 빛은 '완전히 차단'되어야 한다"는 개념에 매우 충실한 방식입니다. * 구현: 따라서 해당 파장에 해당하는 색상 정보가 들어오면, 어떠한 타협도 없이 그냥 '검은색(RGB 0, 0, 0)'으로 처리해 버립니다. 이는 "이 파장의 빛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처리하겠다"는 가장 강력하고 직접적인 표현입니다. 2025 11.06 적용사례 4 - 파장 스펙트럼 https://news.samsungdisplay.com/26683 ㄴ (좌) 연속되는 그라데이션 ➡️ (우) 540 이하 | 구분되는 층(색) | 560 이상 - 겹치는 부분, 즉 540~560 nm 에서 색상이 차단? 변형? 된 것을 확인할 수 있음. 그럼 폰에서 Color Vision Helper 앱으로 보면? ㄴ 540~560 nm 대역이 검은 띠로 표시됨. 완전 차단됨을 의미 2025 11.05 빨간 셀로판지로도 이시하라 테스트 같은 숫자 구분에서는 유사한 효과를 낼 수 있다고 합니다. 색상이 다양하다면 빨강이나, 노랑, 주황 등도 테스트해보면 재밌겠네요. 2025 1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