샤프 EL-W506T 는 Q-net (기사/기능사) 시험에서 사용 가능할까?
Q-net 에서 주관하는 시험은
시험 중 사용할 수 있는 계산기로 화이트리스트 제도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즉, 리스트에 있으면 --> 사용 가능
리스트에 없으면 --> 사용 불가
매우 엄격한 제도라고 볼 수 있죠.
엄격한 제도로 변경된 것은 계산기 차이로 인한 불공정성을 허용하지 않겠다는 의지로 보입니다.
* 나쁘게 말하면, "난 책임지는건 딱 질색이니까, 다 쳐내!"라는 의지의 발현이구요.
샤프 모델중 허용군에 포함되는 것은
5 | 샤프(SHARP) | EL-501~599 |
6 | " | EL-5100,5230,5250,5500 |
위와 같습니다.
추가로, * 허용군 내 기종번호 말미의 영어 표기(ES, MS, EX 등)는 무관하구요.
그렇다면...
기종번호 말미의 영어 표시가 아니고,
기종번호 앞의 영어 표시는 무관할까요? 유관할까요?
그에 대해서 공지사항에 따로 언급된 것은 없습니다.
제도 취지를 생각해 봤을 때,
명확하지 않으면 허용하지 않는 쪽으로 해석하는게 바람직해 보이긴 합니다.
다나와 페이지에도 국가기술자격시험: 불가 로 구분되어 있긴 하구요.
관리공단에 질문을 넣어 보았는데, 답변이 돌아오면 내용을 댓글에 추가해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댓글3
-
세상의모든계산기
민원제목 한국산업인력공단 Q-net 주관 시험, 계산기 허용 모델 질문 민원내용 Q-net 주관 시험에서 사용 가능한 계산기에 대한 공지사항은
홈페이지를 통해 알고 읽어서 알고 있습니다.
다만 약간 애매한 부분이 있어 질문 드리고자 합니다.
SHARP 계산기의 경우 일부 모델의 경우에
기종번호 숫자 뒤에 붙는 것 영어 이외에,
"기종번호 숫자 앞에 붙는 영어"가 있는 모델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SHARP EL-W506X 같은 모델입니다.
https://prod.danawa.com/info/?pcode=3784696&keyword=sharp+el-w506&cate=19238288
이런 모델 중 국내에 (정식 수입되어) 판매중인 것은 EL-W506X 뿐인 듯 보이지만,
해외에는 EL-W506T, EL-W516XG 등 다양한 모델이 있는 듯 합니다.
이렇게
1. 숫자는 허용 기종군에 포함되는데,
2. 숫자 "앞"에 접두어로 영어가 붙는 경우
사용 불가 모델인지? 사용 가능한 모델인지?
질문 드립니다.답변일 2024-09-20 19:12:38 처리결과
(답변내용)안녕하십니까?
귀하께서 국민신문고에 접수하신 민원(신청번호 1AA-2409-0231417)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검토하여 그 결과를 알려드립니다
[민원요지]
귀하의 민원은 공학용 계산기 허용기종에 대한 것으로 판단됩니다.
[민원답변]
귀하의 질의사항에 대해 검토한 의견은 다음과 같습니다.
공학용계산기 허용군은 공지문에 기재된 것처럼 기종번호 말미의 영어표기는 무관하나
귀하께서 문의하신 기종번호 숫자 앞에 영어가 붙는 모델은 메모리 및 저장 기능 등으로
인해 현재 허용군은 아님을 알려드리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맺음말]
기타 상기 답변과 관련한 문의는 한국산업인력공단 능력평가기획부 김세인(052-714-8658)으로 하시기 바랍니다.우리 공단 모든 임직원은 공정하고 청렴한 업무 수행을 약속드리며, 고객 매우 만족을 위해 최선을 다하는 한국산업인력공단이 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첨부파일 첨부파일 없음 - 1
-
세상의모든계산기
EL-W506T vs EL-5500X 성능 비교
외형 동일
Basic Description EL-W506T EL-5500X Display Type Dot Matrix = 좌동
96×32Number of Display Digits 16 ? Power Source Solar & Battery = Battery Type LR44 x1 = Automatic Power Down yes = Keys Plastic = Protective Case yes = Dimensions 166 x 80 x 15 mm = Weight 108 g = Mathematical Functions Built-In Functions 640 = Entry System Algebraic (D.A.L.) = 1/x, x², square root, % yes = Pi Key yes = GCD, LCM yes = Quotient and Remainder Calculation yes = Fractions yes = Function Table yes = Equation Solver (Newton) yes = System of Linear Equations yes = Matrix and Vector Calculations yes = Numeric Derivative and Integral yes = Complex Number Calculation yes = Training (DRILL) Function yes = Memory Multi-Line Playback yes = Last Answer Recall (ANS) yes = Memory Variables 9 = Notation and Decimal Places FSE Display (SCI, FIX, ENG) yes = 3-Digit Punctuation yes = Statistics 1-Variable Statistics yes = 2-Variable Statistics yes = Regression Calculations 7 = Mean, Standard Deviation yes = nCr, nPr, n! yes = Random Numbers yes = Trigonometric Functions Deg, Rad, Grad Modes yes = Sin, Cos, Tan, and Inverses yes = Hyperbolic Functions yes = Sexagesimal and Decimal Conversions yes = Rectangular and Polar Coordinates Conversions yes = Number Systems Bin, Pen, Oct, Hex, Dec yes = Logical Operation (AND, OR, NOT, NEG, XOR) yes = Scientific Functions Metric Conversions yes = Physical Constants yes = Color & Packaging Variants Box Grey 4974019887128 Blister Silver 4974019887005 자료 출처 : https://www.sharp-calculators.com/en/id/166-el-w506t
https://prod.danawa.com/info/?pcode=5074389#bookmark_product_information
EL-5500X 사용 설명서
세상의모든계산기 님의 최근 댓글
수치해석 방법 method 를 강제로 선택할 수 있으면 좋을텐데... 위의 스샷을 보면 되는 듯 하면서도 아래 스샷을 보면 안되는 것 같기도 합니다. solve(Expr,[Var]) csolve(LstEq,LstVar) nSolve(Expr,Var,[Guess or Interval],[Method]) deSolve(Eq,[TimeVar],FncVar) linsolve(LstLinEq,LstVar) fsolve(Expr,Var,[Guess or Interval],[Method]) 2025 10.17 종합해서 답변을 드리면 HP Prime 에 solve 에서 변수명에 구간을 입력하면 수치해석 방식으로 bisection 을 사용함. 이 bisection 방식은 해의 좌-우 부호가 서로 바뀌어야만 해를 인식하고 해의 좌-우 부호가 같으면 해를 인식하지 못합니다. 이 때문에 본문 sin 의 예나 아래 사진의 예에서는 해를 인식하지 못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2025 10.17 Gemini-2.5-pro 답변 ✦ 현대 컴퓨터 대수 시스템(CAS) 계산기에 탑재된 solve 기능의 일반적인 내부 동작 원리에 대해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현대 CAS의 solve 기능은 단순히 하나의 알고리즘으로 작동하는 것이 아니라, 마치 '순수 수학자'와 '문제 해결 공학자'가 협력하는 것처럼, 여러 단계에 걸친 정교한 '하이브리드(Hybrid)' 방식으로 동작합니다. solve 함수의 작동 과정 1단계: 기호적 해법 (Symbolic Solver) - '순수 수학자'의 접근 계산기는 가장 먼저 방정식을 대수적으로, 즉 정확한 수학적 해를 찾으려고 시도합니다. 이 단계는 마치 사람이 공식을 이용해 문제를 푸는 과정과 같습니다. 1. 방정식 분석: solve 명령을 받으면, 시스템은 먼저 입력된 방정식의 구조를 분석합니다. (예: 이것이 다항식인가? 삼각방정식인가? 로그방정식인가?) 2. 규칙 기반 풀이: 분석된 구조에 따라, 시스템은 내장된 방대한 수학 규칙 라이브러리를 적용합니다. * 선형/이차 방정식: ax+b=c 나 ax²+bx+c=0 같은 형태는 이항, 인수분해, 근의 공식 등을 이용해 즉시 풉니다. * 고차 다항식: 인수분해, 조립제법 등의 규칙을 적용하여 유리수 해를 찾습니다. * 삼각방정식: sin(x) = 0.5 와 같은 경우, x = nπ + (-1)ⁿ * (π/6) 와 같이 주기성을 고려한 일반해 공식을 적용합니다. * 기타: 로그, 지수 법칙 등 해당 방정식에 맞는 대수적 풀이법을 총동원합니다. 3. 결과: 이 단계에서 해를 찾으면, 1.414... 와 같은 근사값이 아닌 √2 나 π/3 와 같은 정확한 기호 형태의 해를 반환합니다. > 강점: 수학적으로 완벽하고 정확한 해를 제공합니다. > 한계: 대수적인 풀이법이 알려져 있지 않은 방정식(예: cos(x) = x 또는 eˣ = x+2)은 풀 수 없습니다. --- 2단계: 수치적 해법 (Numerical Solver) - '문제 해결 공학자'의 접근 만약 1단계의 '순수 수학자'가 "이건 공식으로 풀 수 없어"라고 결론 내리면, solve 기능은 포기하지 않고 2단계인 '문제 해결 공학자'에게 문제를 넘깁니다. 이 단계의 목표는 정확한 해는 아니더라도, 매우 정밀한 근사해를 찾는 것입니다. 1. 반복적 탐색: 수치적 해법은 방정식을 직접 푸는 것이 아니라, 해가 있을 만한 지점에서부터 시작하여 반복적인 계산을 통해 해에 점점 더 가까워지는 방식을 사용합니다. * 적당한 값을 추측해서 대입해 봅니다. * 결과가 0보다 큰지 작은지에 따라, 다음 추측값을 어느 방향으로 수정할지 결정합니다. * 이 과정을 수없이 반복하여 오차가 거의 0에 가까워질 때까지 해를 좁혀나갑니다. 2. 핵심 알고리즘: 이때 사용되는 대표적인 알고리즘은 다음과 같습니다. * 뉴턴-랩슨법 (Newton-Raphson Method): 미분(접선)을 이용하여 매우 빠른 속도로 해에 수렴하는 강력한 방법입니다. * 이분법 (Bisection Method): 해가 존재하는 특정 구간을 계속 절반으로 나누어 범위를 좁혀나가는 방식으로, 속도는 느리지만 안정적으로 해를 찾을 수 있습니다. 3. 결과: 이 단계가 성공하면, 시스템은 0.739085133215 와 같이 소수점 아래 여러 자리까지 표현되는 매우 정밀한 부동소수점 형태의 근사해를 반환합니다. > 강점: 대수적으로 풀 수 없는 복잡한 방정식의 해도 근사적으로 찾아낼 수 있습니다. > 한계: 근사해이며, 알고리즘의 특성상 특정 조건(예: 해가 중근을 갖는 경우)에서는 해를 찾지 못하고 실패할 수도 있습니다. 결론: 왜 하이브리드 방식인가? 분석 → 기호적 풀이 시도 → (실패 또는 불가능 시) → 수치적 풀이로 전환 이처럼 현대 CAS의 solve 기능은 정확성(기호적 해법)과 범용성(수치적 해법)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기 위해 설계된 정교한 협력 시스템입니다. 먼저 가장 이상적인 '정확한 해'를 추구하되, 그것이 불가능할 경우 차선책으로 '정밀한 근사해'라도 찾아내어 사용자에게 최대한의 결과를 제공하는 것입니다. 2025 10.17 hp prime 이 solve 함수에서 해를 찾는데 어떤 방법(method)을 사용하는지 공식적인 무서로 정확하게 파악되진 않습니다. 2025 10.17 참고 x=guess 는 iterative 방식(일반적으로는 newton's method를 의미함)을 x=xmin .. xmax 는 bisection 방식을 사용하는 듯 합니다. // 구간지정 개념과는 차이가 있는 듯? 2025 1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