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P Prime] Solve 함수 사용법
solve 관련 기능은 CAS 모드에서 작동합니다.
1. solve
Syntax:
solve(Expr,[Var])
solve({Eq1, Eq2, ...}, [Var])
solve(Expr, Var=Guess)
solve(Expr, Var=Val .. Val2)
Returns a list of the solutions (real and complex) to a polynomial equation or a set of polynomial equations.
Example: solve(x^2‐3=1) returns {‐2,2}

2. 범위 (interval) 인자
pdf 설명서(manual 문서)에는 2개의 인자(Expr, [Var]) 만 나오지만, 3번째 인자로서 interval 내지 guess 를 추가하면 실질 적용됩니다.
계산기 내부 【Help】 화면에서는 이렇게 나옵니다.
The user is advised to supply a guess or define an interval in which to search for a solution to get the best results in cases where the solution is known to be approximate.
To supply a guess, use the syntax Var=Guess.
To supply an interval, use the syntax Var=Val1 .. Val2.
In the latter case, the search is confined to the closed interval [Val1, Val2].
해가 근사치로 알려진 경우 최상의 결과를 얻으려면, 사용자는 해를 탐색할 추정값(guess)을 제공하거나 구간(interval)을 정의하는 것이 좋습니다.
추정값을 제공하려면 Var=Guess 구문을 사용하십시오.
구간을 제공하려면 Var=Val1 .. Val2 구문을 사용하십시오.
후자의 경우(구간을 지정한 경우), 탐색은 닫힌 구간(closed interval) [Val1, Val2] 내로 제한됩니다.
Examples:
solve(x²-3=1) → {-2,2}
solve(x²-y²=0,x²-z²=0],[x,y,z]) → {[x,x,x],[x-x,-x],[x,x,-x],[x,-x,x]}
solve(x²-(LN(x)+5)=0,x=2) → 2.42617293082
solve(x²-(LN(x)+5)=0,x=2..3) → 2.42617293082

인터벌은 xmin .. xmax 형식으로 입력합니다.
원래는 띄어쓰기가 필요한데, 띄어쓰기가 없으면 자동 추가되는 듯 합니다.
이 때 Ans 형식이 { } 에서 [ ] 로 바뀌는 차이도 있습니다. '닫힌 구간에서 찾았다'는 표시일까요?
3. method, 수치해석 방식 인자?

이(바로 위) 예에서는 같은 2차 방정식인데도,
guess만 입력(x=2)하면 해 1 이 찾아지지만,
구간을 지정하면, 적절한 구간(-1 .. 2) 이더라도 해가 찾아지지 않고 빈칸만 나옵니다. [ ]
찾아지지 않는 이유가 정확한 문서로 나와 있는 것은 아닌데,
구간(interval) 입력시 수치해석 방법(method)으로 bisection(이분법) 방식으로 지정되기 때문인 듯 보입니다.
https://allcalc.org:443/board_hp/55715#comment_55751
* 이분법에서는 구간 양단에서 부호가 바뀌지 않으면 해가 찾아질 수 없습니다.
따라서 solve함수의 수치해석 방식을 지정해 주면 해결될 수도 있는데,
그 방식이 설명으로 나오지 않아 "100% 확신"은 없습니다.
그런데 마지막 인자로 ,3을 입력하면 해가 찾아지니
,3 으로 인해 iterative 방식(아마도 newton-raphson's method)이 지정되었다고
아니면 적어도 bisection 방식과는 다른 방식으로 지정되었다고 일단은 이해할 수 있겠습니다.
댓글1
-
세상의모든계산기
2^x = x^2 의 해
https://h30434.www3.hp.com/t5/Tablets-and-Mobile-Devices-Archive-Read-Only/hp-prime-calculator-Cannot-Solve-simple-equation/td-p/3606687


세상의모든계산기 님의 최근 댓글
HP-39gII 에 ExistOS 설치하기 https://allcalc.org/38526 2025 11.07 1. 왜 검은색이 아닌 다른 색으로 보일까? (제공된 LUT 필터) 제가 제공해 드린 magenta_lens.cube LUT 필터는 540~560nm(녹색-노란색) 파장대의 색상을 '완전히 제거(검은색으로 만듦)'하는 대신, '다른 색상으로 왜곡/변환'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 원리: LUT(Look-Up Table)는 특정 입력 색상(Input RGB)을 미리 정해진 다른 출력 색상(Output RGB)으로 매핑하는 테이블입니다. 이 LUT는 540~560nm에 해당하는 RGB 값들이 들어오면, 검은색(0, 0, 0)이 아닌, 매우 어둡거나 채도가 낮은 특정 색(예: 어두운 올리브색, 갈색 등)으로 변환하라고 지시합니다. * 의도: * 현실적인 물리 필터 시뮬레이션: 실제 고가의 색약 보정 안경도 특정 파장을 100% 완벽하게 차단하지는 못합니다. 빛의 일부를 흡수하고 일부는 통과시키거나 변환하는데, 이 LUT는 그러한 현실 세계의 필터 효과를 더 비슷하게 흉내 냈을 수 있습니다. * 시각적 정보 유지: 특정 색을 완전히 검게 만들면 그 부분의 형태나 질감 정보가 완전히 사라집니다. 하지만 다른 어두운 색으로 대체하면, 색상 정보는 왜곡되더라도 밝기나 형태 정보는 어느 정도 유지되어 전체적인 이미지가 덜 어색하게 보일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스펙트럼 그림에서 해당 대역의 색이 갑자기 '다른 색으로 툭 바뀌는' 현상은, LUT 필터가 "이 파장대의 색은 앞으로 이 색으로 표시해!"라고 강제적으로 지시한 결과이며, 이것이 바로 이 필터가 작동하는 방식 그 자체입니다. 2. 왜 'Color Vision Helper' 앱은 검은색으로 보일까? 비교하신 'Color Vision Helper' 앱은 노치 필터의 원리를 더 이상적(Ideal)이고 교과서적으로 구현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 원리: "L-콘과 M-콘의 신호가 겹치는 540~560nm 파장의 빛은 '완전히 차단'되어야 한다"는 개념에 매우 충실한 방식입니다. * 구현: 따라서 해당 파장에 해당하는 색상 정보가 들어오면, 어떠한 타협도 없이 그냥 '검은색(RGB 0, 0, 0)'으로 처리해 버립니다. 이는 "이 파장의 빛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처리하겠다"는 가장 강력하고 직접적인 표현입니다. 2025 11.06 적용사례 4 - 파장 스펙트럼 https://news.samsungdisplay.com/26683 ㄴ (좌) 연속되는 그라데이션 ➡️ (우) 540 이하 | 구분되는 층(색) | 560 이상 - 겹치는 부분, 즉 540~560 nm 에서 색상이 차단? 변형? 된 것을 확인할 수 있음. 그럼 폰에서 Color Vision Helper 앱으로 보면? ㄴ 540~560 nm 대역이 검은 띠로 표시됨. 완전 차단됨을 의미 2025 11.05 빨간 셀로판지로도 이시하라 테스트 같은 숫자 구분에서는 유사한 효과를 낼 수 있다고 합니다. 색상이 다양하다면 빨강이나, 노랑, 주황 등도 테스트해보면 재밌겠네요. 2025 11.05 안드로이드 앱 - "Color Vision Helper" 다운받아 본문 내용을 카메라로 찍어 보니, 본문 프로그램에서는 애매하게 보이던 부분에서도 구분이 완전 확실하게 되네요. 숫자 구분 능력 & 편의성 면에서 압도적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2025 1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