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상의 모든 계산기 자유(질문) 게시판 일반 ()
알리에서 HP 39gII 주문했습니다.
알리에서 이것저것 검색하다 눈에 띄어서 주문하고 말았습니다.
18.18$+0.83$ = 19.01$ 로 가격은 엔트리급인데, 그래핑 기능이 가능하니 가성비로는 이보다 좋을 수 없을 듯 합니다.
상품설명화면 메뉴에 중국어가 나와 있어서 중국어판인가 싶었는데 변경이 가능하다고 하는군요. (유니코드의 장점인 듯)
1:Language exchange:HP39GII, first press SHIFT, then press Home and then press F2, then select up and down to adjust Chinese and English.
https://en.wikipedia.org/wiki/HP_39/40_series#HP_39gII
HP 39gII[edit]
The HP 39gII (NW249AA) was released in October 2011. It is built around an 80 MHz Freescale (formerly SigmaTel) STMP3770 processor with ARM926EJ-S core and features 256 KB RAM and 128 MB flash memory (of which ca. 240 KB RAM and 80-105 MB flash are available to users). The high-resolution monochrome gray-scale LCD provides 256×128 pixels. Connectivity is provided through a USB-OTG Micro-AB connector. The BCD math libraries internally used by the calculator were rewritten in platform-independent C code run natively rather than System RPL code executed in an emulator. The Pascal-like programming language supported by the calculator is a predecessor of the HP Prime's HP PPL. The calculator is the first to support Unicode (UTF-16). Two variants with slightly different labeling of the a b/c key exist.[2]
Development of a "HP 39gII+", an improved variant of the calculator powerful enough to include a CAS, was almost finished when the underlying processor was abandoned by Freescale, causing the project to be abandoned as well.[3][4] Instead, the calculator concept was revised again and the specs further improved (f.e. color touchscreen, even more powerful processor), which eventually led to the release of the HP Prime in 2013.
[구글 번역]
HP 39gII [편집] HP 39gII HP 39gII (NW249AA)는 2011 년 10 월에 출시되었습니다. ARM926EJ-S 코어를 사용하는 80MHz Freescale (이전 SigmaTel) STMP3770 프로세서로 구축되었으며 256KB RAM 및 128MB 플래시 메모리 ( 사용자가 사용할 수있는 약 240KB RAM 및 80-105MB 플래시). 고해상도 흑백 그레이 스케일 LCD는 256 × 128 픽셀을 제공합니다. USB-OTG Micro-AB 커넥터를 통해 연결이 제공됩니다. 계산기에서 내부적으로 사용되는 BCD 수학 라이브러리는 에뮬레이터에서 실행되는 시스템 RPL 코드가 아닌 기본적으로 실행되는 플랫폼 독립적 인 C 코드로 다시 작성되었습니다. 계산기에서 지원하는 Pascal과 유사한 프로그래밍 언어는 HP Prime HP PPL의 전신입니다. 계산기는 유니 코드 (UTF-16)를 최초로 지원합니다. a b / c 키의 라벨이 약간 다른 두 가지 변형이 있습니다. [2] CAS를 포함 할 수있을만큼 강력한 계산기의 개선 된 변형 인 "HP 39gII +"의 개발은 Freescale이 기본 프로세서를 포기했을 때 거의 완료되어 프로젝트도 포기되었습니다. [3] [4] 대신 계산기 개념이 다시 수정되고 사양이 더욱 개선되어 (예 : 컬러 터치 스크린, 훨씬 더 강력한 프로세서) 결국 2013 년 HP Prime이 출시되었습니다.
참고 : https://en.wikipedia.org/wiki/Comparison_of_HP_graphing_calculators
영문 메뉴얼 : https://qzxx.com/wp-content/uploads/2019/12/HP_39gII_User_Guide_EN.pdf?spm=a2g0o.detail.1000023.15.9b93109edrPFDd&file=HP_39gII_User_Guide_EN.pdf
세상의모든계산기 님의 최근 댓글
낮에 TV에서 영화 '말모이' 해주더라구요. 그래서 한번 물어 봤습니다. 2025 10.10 마지막 발언이 마지막 힌트이자 문제의 핵심이군요. 처음 들은 달이 8월이었다면 (15일인지 17일인지 확신할 수 없어서) 마지막 대사를 할 수 없지만, 처음 들은 달이 7월이었다면 (선택지가 16일 하나라서 확신이 가능하므로) 마지막 대사를 할 수 있다. 대사를 했으니 7월이다. 이제 이해되었습니다. 지금 보니까 이해가 되는데, 당시에는 왜 이해가 안됐을까요? 세가지 전제 하에 문제를 풀면 A는 마지막 대화 2줄만으로 C의 생일을 알 수 없어야 정상인데, 무슨 이유에서인지 "그럼 나도 앎!"이라고 선언해 버립니다. 알게 된 이유를 대화 속에서 찾을 수는 없습니다. 이 편견에 사로잡혀 빠져나오지 못하고 다른 길로 계속 샜나봅니다. 2025 10.09 원래 식이 풀어진 상태에서는 두번째 인수 v가 분모, 분자에 섞여 있어서 계산기가 처리하지 못하는 듯 합니다. 이 때는 위에서와 반대로 분모 부분만 다른 문자(w)로 치환한 다음 completesquare(,v^2) 처리를 하면 일부분은 묶이는 듯 합니다. 하지만 여기서 처음 모양으로 더 이상 진행되진 않네요. 2025 10.08 전체 식에서 일부분(분모, 루트 내부)만 적용할 수는 없습니다. 번거롭더라도 해당 부분만 따로 끄집어 내서 적용하셔야 합니다. https://allcalc.org/30694#comment_30704 2025 10.08 분수의 분모 아닌 v만 w로 치환해 놓고, 결과를 completesquare 돌리면 앞부분은 묶이는 듯 합니다. 2025 1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