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P 10BII+
[10BII] 계산기 초기화 Resetting
1. 계산기 초기화
- 계산기를 끄고, 배터리 커버를 엽니다.
- 배터리 사이에 있는 리셋 구멍에 페이퍼 클립을 펴서 부드럽게 바닥까지 찌릅니다.
- 1초정도 찌른 상태를 유지하고 페이퍼 클립을 제거합니다.
- 계산기 【ON】 버튼을 누릅니다.
2. 계산기 메모리 삭제
- 【ON】 키를 누르고 그 상태를 유지합니다.
- 【N】 키를 누르고 그 상태를 유지합니다.
- 【FV】 키를 누르고 그 상태를 유지합니다.
- 키 3개에서 손을 뗍니다.
- 메모리가 초기화되면, "All Clear" 문구가 화면에 표시되어야 합니다.
3. 각 기능별 메모리 초기화
| Resetting the TVM Keys | 【↗】【C MEM/C】【1】 |
| Clearing the Cash Flow Memory | 【↗】【C MEM/C】【0】 |
| Resetting the bond keys | 【↗】【C MEM/C】【7】 |
| Resetting the Break-even keys | 【↗】【C MEM/C】【4】 |
| Clearing Statistical Data | 【↘】【-M/C STAT】 |
| Reset display to default setting. | 【↘】【=/DISP】【2】 |
Resetting the TVM Keys
Press 【↗】【C MEM/C】【1】 to clear the TVM registers. This sets N, I/YR, PV, PMT, and FV to zero and briefly displays TVM CLR, followed by the current value in P/Yr.
Clearing the Cash Flow Memory
It is always a good idea to clear the cash flow memory before beginning. To clear cash flows, use 【↗】【C MEM/C】【0】. A brief message appears, CFLO CLR, to indicate the cash flow memory has been reset.
Resetting the bond keys
To reset the Bond keys to their default values, press 【↗】【C MEM/C】【7】. The message, BOND CLR flashes briefly on the screen to indicate the bond registers have been reset. To return to the default calculator screen, press M.
Resetting the Break-even keys
To reset the break-even keys to their default values, press 【↗】【C MEM/C】【4】. A brief message
flashes on the screen to indicate the break-even registers have been reset. To return to the
default calculator screen, press M.
Clearing Statistical Data
Clear the statistical data before entering new data. If you don't clear the statistical data, new information stored will be added to the current calculations. To clear all statistical data, press 【↘】【-M/C STAT】. The message STAT CLR flashes briefly and the display is cleared. The regression model is also reset to its default setting, LINEAR.
세상의모든계산기 님의 최근 댓글
2번 사진 3개 사진 공통적으로 구석(corner) 에 증상이 있다는 특징이 있네요. 영상 찾아보니 이 가능성이 가장 높은 듯 합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zxRBohepzwc ㄴ Liquid Crystal Leakage (액정 누설). ㄴ 손으로 밀어내니 주변으로 밀려나네요. 그래서 점으로 보이기도 하구요. 2025 10.29 500! 의 십진수 근사값 확인 500! = 1.22013682599111006870123878542304692625357434280319284219241358838 × 10^(1134) (참값, 울프람 알파) 2025 10.29 관련 라이브러리 https://allcalc.org/56263 sgn(x) 내장된 부호 함수(signum function)와 달리, 이 함수의 sgn(0)은 0을 반환합니다. 2025 10.29 라이브러리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제작자 추천) 1. mylib 폴더에 넣기 2. Actions ➡️ library ➡️ refresh libraries 실행 하기 2025 10.29 ChatGPT-5 기호(÷, /, :) 자체는 의미적으로 같은 “나눗셈”을 뜻하지만, 문맥(사람이 쓰는 수학 vs 컴퓨터/프로그래밍)에 따라 해석 우선순위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 1️⃣ 전통 수학 표기 — ÷, /, : 수학 교과서, 논문, 일반 문서 등에서는 셋 다 의미적으로 “나누기”로 간주됩니다. 즉, 48÷2(9+3), 48/2(9+3), 48:2(9+3) 은 같은 의미로 받아들여야 합니다. 모두 사람의 수학 관행적 해석이 적용되어 48 ÷ 2 × (9+3) = 288 로 처리되죠. 즉, 기호가 바뀌어도 결과는 바뀌지 않습니다. 🔹 2️⃣ 컴퓨터·프로그래밍 문맥에서 / 사용 시 컴퓨터는 “생략된 곱셈(implicit multiplication)”을 따로 구분하지 못합니다. 따라서 다음 두 식은 완전히 다르게 인식됩니다. 표현 파이썬 등에서 해석 결과 48 / 2*(9+3) ((48 / 2) * (9+3)) 288 48 / 2(9+3) ❌ 문법 오류 (생략된 곱셈 인식 불가) — 즉, 컴퓨터 언어에서는 생략된 곱셈이 허용되지 않기 때문에, /는 반드시 명시적 *와 함께 써야 합니다. 🔹 3️⃣ “:” 기호의 경우 현대 수학에서는 “비율”을 나타내는 기호로 쓰입니다. a:b = \frac{a}{b} 따라서 (27 : 3(1+2)3) 같은 표현은 모호하거나 비표준적으로 간주됩니다. 대부분의 경우 계산기로는 입력 자체가 불가능합니다. ✅ 정리 기호 의미 결과 변화 주로 쓰이는 문맥 ÷ 나누기 없음 초중등 수학, 일반 표기 / 나누기 없음 (단, 프로그래밍에서는 생략 곱 불허) 수학/컴퓨터 : 비율 (또는 나누기 의미로 혼용) 보통 계산식에서는 사용 안 함 비, 비율 표기 🔹 결론 48 ÷ 2(9+3), 48/2(9+3), 48:2(9+3) 는 “수학적 의미”로는 동일하게 81로 해석됩니다. 하지만 프로그래밍이나 수식 파서(context) 에서는 /만 유효하고, 생략된 곱은 허용되지 않으며, :는 아예 다른 의미(비율)로 인식됩니다. 2025 10.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