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 86, 84, 83
[TI-84] [TI-83] 페이저 계산 및 전환 Phaser Calculation & Conversion
1. r∠θ 페이저 형식의 부재
TI-83 TI-84 family 계산기는 (r, θ를 개별적으로 계산하는 기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r∠θ 형식의 입력 및 출력을 지원하지는 않습니다. 따라서 페이저의 계산을 위해서는 복소수를 직접 이용해야 합니다.
2. 페이저와 복소수의 관계
페이저를 쓰시는 분이라면 관계는 대략 아시리라 생각하고... 패스
3. 계산기의 설정 (Degree vs Radian 그리고 Rect vs Polar)
MODE 설정에서 보아야 할것은 두가지 입니다.
ⓐ 각도의 설정 (Radian vs Degree)
결과값에서 각도관련 항목을 Degree 단위로 보려면 Degree로, Radian 단위로 보려면 Radian 으로 놓으시면 됩니다.
ⓑ 복소수 형식의 설정 (a+bi vs re^θi)
계산결과를 직각좌표(Rectangular) 값으로 확인하려면 a+bi 를 선택하고, 극좌표(Polar) 값으로 확인하려면 re^θi 를 선택합니다.
ⓒ 소수점 자릿수가 너무 많아서 불편할 수 있으니 적당히 바꿔주는 것도 고려 대상
여기서 주의할 점은, 결과가 Degree 일 뿐이지, 입력을 Degree로 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 각도 표시˚까지 붙여줬지만 그냥 라디안으로 계산해버림 ┘
4.
팁(TIP)
입력시 radian 을 강제당하는 관계로 degree 를 변환하여 입력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습니다. 게다가 i 까지 붙여줘야 하다보니, 키 입력할 것이 많아서 번거롭습니다.
π÷180×i 를 임의의 변수에 저장하고 복소수의 Degree값에 변수를 곱해주면 손쉽게 페이저 입력이 가능해집니다. 트릭trick이니 꼭 따라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예) 【π】【÷】【180】【×】【2ND】【.】【STO→】【X,T,θ,n】 : X 에 저장

【X,T,θ,n】 (X) 키가 조합키가 아닌 단일키라서 저장한 예입니다. 평소 【X,T,θ,n】를 다른 기능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일반 변수 A~Z에 저장하셔야겠죠. A~Z 중에서 하나 고른다면 D가 제일 적당한 것 같습니다.
5. 계산 예시
ⓐ (13∠120˚) + (21∠-45˚)
【13】 【2nd】 【LN】 【120】 【X,T,θ,n】 【▶】 【+】 【21】 【2nd】 【LN】 【(-)】 【45】 【X,T,θ,n】 【ENTER】
└ 4번 Tip 적용시. TI-84 Plus SE 기준.
ⓑ (2∠30˚) × (3∠45˚)

6. 형식의 변환
【2ND】 【APPS】 ANGLE 메뉴에서
- 5:R▶Pr(
- 6:R▶Pθ(
- 7:P▶Rx(
- 8:P▶Ry(
을 사용하여 값을 하나씩 구할 수도 있습니다.하지만 두가지를 한꺼번에 변경하는 것이 보기 쉽습니다.
【2ND】 【0】 CATALOG 에서 아래 명령을 찾아 실행하시면 됩니다.
- 【8】 【▼12번】 ▶Polar
- 【×】 【▼12번】 ▶Rect

※ TI-84 Plus SE 기준
세상의모든계산기 님의 최근 댓글
오류 발생 https://www.youtube.com/watch?v=dcg0x5SjETY 위 영상의 문제의 함수를 직접 구해 보았습니다. 그래프로는 잘 확인이 되는데... fmin(), fmax() 함수로 직접 구해보니, 결과가 기대한 것과 다르네요. 구간을 넣지 않으니 fmim, fmax 둘 다에서 오류인 결과를 내놓습니다. 구간을 넣더라도, 적절하게 넣지 않으면, 답이 잘 안나오는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fmin 은 그나마 x=0을 기준으로 나누지 않더라도 답이 나오는 편이지만, fmax 는 -10~10 을 구간으로 넣을 때, 가운데 x=0 근방에서 그래프가 위로 솟아오르는 구간은 함수값을 확인하지 않는 듯 합니다. ㄴ fmax가 더 열등해서 그런 것은 아니고, 뒤집어진 모양에서는 반대로 fmin이 못찾습니다. 구간 범위가 커질 경우, 함수에 적용하여 계산하다가 숫자 허용 한계를 벗어나서 overflow 가 나서 오류가 발생할 수도 있는 듯 합니다. 뒤에 점을 넣으니 경고 문구가 추가로 나오긴 했는데, ⚠️ Questionable accuracy. When applicable, try using graphical methods to verify the results. 그래도 실망이네요. * 믿음직한 녀석은 아닌 듯 하니, 주의 표시 ⚠️가 나오든 안나오든, 사용에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가급적이면 그래프로 검증해 보시는게 좋겠습니다. 2025 10.26 예시 8-1 : 분수식 solve시 오류 예시, 분모에 들어간 X³을 X로 치환해 해결? https://allcalc.org/56074 2025 10.25 fx-570 CW 는 아래 링크에서 https://allcalc.org/56026 2025 10.24 불러오기 할 때 변수값을 먼저 확인하고 싶을 때는 VARIABLE 버튼 【⇄[x]】목록에서 확인하고 Recall 하시면 되고, 변수값을 이미 알고 있을 때는 바로 【⬆️SHIFT】【4】로 (A)를 바로 입력할 수 있습니다. 2025 10.24 fx-570 CW 로 계산하면? - 최종 확인된 결과 값 = 73.049507058478629343538 (23-digits) - 오차 = 6.632809104889414877 × 10^-19 꽤 정밀하게 나온건 맞는데, 시뮬레이션상의 22-digits 와 오차 수준이 비슷함. 왜 그런지는 모르겠음. - 계산기중 정밀도가 높은 편인 HP Prime CAS모드와 비교해도 월등한 정밀도 값을 가짐. 2025 1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