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 nspire
[TI-nspire] 사용자 함수와 변수의 지정 (저장) 및 삭제 function and variables
1. 함수명 / 변수명
[TI-nspire] 는 다른 계산기와 비교할 때 상당히 자유롭게 사용자 함수, 변수 지정이 가능합니다.
함수명, 변수명, 리스트{ }명, 행렬[ ]명 모두 큰 제약없이 알파벳과 숫자를 이용해 지정할 수 있습니다.
물론 아무 제약이 없는 것은 아니고, 약간의 제약 조건은 있습니다.
사용 가능한 변수명 예시 : "a1", "a1b", "a_b", "a_b_c", "a1_b", "ab_1", "ab__cd", "a.bc", "a1.bc", "i₁₂"
사용 불가능한 변수명
- 변수(함수)명 시작이 숫자 : "1a"
- 점(.)뒤에 바로 숫자 : "a.1"
- 점(.)이 둘 이상 : "a.b.c"
- 연산기호 포함 : "a-1" "a2"
- 내장함수명과 동일 : "abs"
2. 변수 지정 / 저장 방법 (3가지)
다음 3가지 방법으로 함수 또는 변수를 정의(할당)할 수 있습니다.
- define a=2
ㄴ 알파벳키로 직접 입력 / 【menu】【1】Action【1】Define
- a:=2
ㄴ 【?!▶】에서 찾아 입력 /Catalog에서 찾아 입력
ㄴ 단일 기호가 아니라 : 와 = 의 결합이므로 2개의 기호를 연속하여 입력
- 2→a
ㄴ 【ctrl】【var】sto→
모두 똑같은 기능을 하며, 결과에 차이는 없습니다.
다만 특정한 상황(프로그래밍 등)에서는 사용할 수 없는 방법이 있습니다. 그럴 때에는 다른 방법으로 바꿔서 사용하시면 됩니다.
3. 변수의 사용 및 확인 방법
※ 사용자 함수의 확인
【MENU】【1】【2】 (Action - Recall Definition) 명령으로 사용자 함수에 현재 정의되어 있는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리스트 및 행렬 변수의 개별요소 사용
4. 주의 사항
- 함수는 함수명 뒤에 괄호()를 꼭 붙여야 합니다.
반대로 변수 뒤에 괄호가 붙으면 변수가 아닌 함수로 취급을 하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 함수가 아니라 변수×(식) 인 경우에는 곱하기를 생략해서는 안됩니다.
예를 들어 a×(1+2)에서 곱하기를 생략하고 a(1+2) 로 입력하면, TI-nspire 에서는 a(3) 이라는 함수값으로 인식합니다.
키보드 입력을 1회라도 줄이려면 (1+2)a 꼴로 순서를 뒤집어 쓸 수는 있습니다만... 곱하기 넣는 습관을 장착하시는게 좋습니다.
- 지정방법 중에서 두번째 방법의 := 기호는 = 과 다른 명령입니다. 서로 구분하여 사용하여야 합니다.
'=' 연산자는 좌변과 우변이 같은지를 판단하여 결과를 출력합니다.
판단할 수 있을 때는 'true/false' 로 결과가 출력되고, 판단할 수 없을 때는 식을 간소화하여 '좌변=우변'꼴로 출력합니다.
* '==' 연산자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 대문자/소문자는 구분하여 사용할 수 없습니다.
- 동일한 변수명을 이용해 동시에 변수/함수/행렬변수 등을 정의할 수 없습니다.
- "e", "i", "j" 등의 단일 알파벳 문자도 변수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두꺼운 형태의 특수문자인 "e, 자연상수" "i, 허수기호" 와 구분됩니다. // j 는 허수기호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5. 삭제
함수명, 변수명을 삭제할 때에는 다음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 clearaz
└ 한개의 문자이면서 a~z 사이인 함수명, 변수명을 일괄 삭제합니다.
(예를 들면 a, b, x, y, z 같은 것들이 모두 삭제됩니다.)
- delvar 함수명, 변수명, ...
└ 함수들을 개별적으로 삭제할 수 있습니다.
└ 컴퓨터처럼 asterisk(*) 를 이용한 일괄처리는 불가능합니다. (예 : delvar *)
└ 이 때 함수명 뒤에 괄호() 는 붙이지 않습니다.
- 위의 두 명령어 이외에 모든 함수명을 한꺼번에 삭제하는 명령어는 없습니다.
(단문자가 아닌 변수의 갯수가 많을 때는) 모든 함수명을 삭제하기보다는 새 문서(Document, Ctrl+N)나 새 문제(Problem)를 만드는 것이 효율적입니다.
관련링크[TI-nspire] 초기화 Reset, Document / Problem / Page / Variables 도큐먼트에서 변수까지
- 변수가 삭제되거나 변수에 저장된 값이 변경되는 것을 막기 위해 lock 기능으로 변수를 잠글 수도 있습니다.
잠긴 변수를 다시 풀려면 "unlock 변수명" 을 실행합니다.
"Error: Variable is locked."
└ 잠긴 변수는 변수 리스트에서 자물쇠 표시가 생깁니다.
- "Error: Cannot accept change: Invalid input."
스프레드시트에서 다른 변수에 링크된 경우 삭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예시 => https://allcalc.org/55160
댓글15
-
1
세상의모든계산기
하시려는 작업 내용(과정)과 문제가 확실하지 않습니다.
- New Document (새 파일 열기)
- define f5(x) = x^2
- Save Document (a.tns 파일로 저장)
- 다른 파일(New Document 또는 다른 b.tns 파일) 열기
- 파일 a.tns의 f5(x) 함수 불러오기
이런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한 것인가요?
"사용자 정의 함수"는 한 파일 내부의 정의된 함수들을 지칭하며, 위의 경우에는 "라이브러리" 라고 부릅니다.
이때는 다른 방식으로 함수를 정의하여야 합니다.Define LibPriv 또는 Define LibPub 기능을 이용하시면 됩니다.
이와 관련한 글은 아직 사이트 내에 없으니 자세한 설명은 계산기 사용 설명서(guidebook)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2
감사합니다. 가이드북엔 라이브러리 함수를 이용하는 법은 있는데요, 함수를 만드는 설명은 없어요 ㅜㅜ
혹시 라이브러리 열어서 아래 보면 도움말(함수에 대한 설명) 있잖습니까. 그걸 작성하는 법 아시나요? 함수 작성하고 공용 라이브러리로 함수 불러내서 계산할 수 있는데, 설명이 없다보니 좀 힘들어서요 ^^;;
다른 분들을 위해 적자면 Priv = Private(해당 노트에서만 이용 가능??)인 것 같고, Pub = Publish(전체에서 이용 가능)인 것 같네요.수정-------2018 10 19 9:38
감사합니다. 가이드북엔 라이브러리 함수를 이용하는 법은 있는데요, 함수를 만드는 설명은 없어요 ㅜㅜ
-> 한글판에 없는 거지, 영문판에는 있네요.(TI-NSpire_SS_Guidebook_EN.pdf)
다른 분들을 위해 적자면 Priv = Private(해당 노트에서만 이용 가능??)인 것 같고, Pub = Publish(전체에서 이용 가능)인 것 같네요.
-> 아래 설명하신 대로 LibPriv는 카탈로그에 안 보이고 LibPub는 카탈로그에 보입니다. 대신 Priv는 일일히 손으로 쳐야 하고요. 안 보이니까 컨닝할 때 유용하겠네욥...
-
3
세상의모든계산기
Reference Guidebook 이라고 a 에서 z 까지 순서대로 모든 기능이 나와 있는 설명서가 있습니다.
거기 보시면 해당 기능에 대한 간략한 설명이 나오구요.생성은 그냥 하나하나 키패드로 입력하셔도 되구요.
메뉴 - 팝업 윈도우를 이용하셔도 됩다.
둘다 다른 파일에서 참고할 수 있는 라이브러리라는 공통점이 있구요,
차이는 카탈로그에 보이냐 안보이냐의 차이입니다.
Define LibPriv Var= ExpressionDefine LibPriv Function(Param1,Param2, ...)= Expression
Define LibPriv Function(Param1,Param2, ...)= Func
Block
EndFuncDefine LibPriv Program(Param1,Param2, ...)= Prgm
Block
EndPrgm
Operates the same as Define, except defines a private library variable, function, or program.
Private functions and programs do not appear in the Catalog. - 3
- 4
- 1
- 1
- 1
- 1
-
1
세상의모든계산기
일반 변수에 대해서는 BINUBALL 님 말씀처럼 하시는 방법 뿐이구요.
함수나 프로그램에 한해서는
Menu
ㄴ 1 Action
ㄴㄴ 2 Recall Definition
기능을 이용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세상의모든계산기 님의 최근 댓글
참고 https://allcalc.org/52065 TI NSPIRE CX CAS 복소수 관련 문제 문의 드립니다. 2025 09.28 Rectangular 설정시 ▶Polar 2025 09.28 Real or Cpmplex Format : Polar 설정시 2025 09.28 비교 AC-68U[ ID] Interval Transfer Bandwidth[ 4] 0.00-10.00 sec 475 MBytes 398 Mbits/sec sender[ 4] 0.00-10.00 sec 475 MBytes 398 Mbits/sec receiver 2025 09.24 비교 : AC-68U [ ID] Interval Transfer Bandwidth [ 4] 0.00-10.01 sec 65.0 MBytes 54.5 Mbits/sec sender [ 4] 0.00-10.01 sec 65.0 MBytes 54.5 Mbits/sec receiver 이상해서 다시 접속 C:\iperf-3.1.3-win64>iperf3.exe -c 192.168.68.36 -p 5000 -t 10 -f m -i 2 Connecting to host 192.168.68.36, port 5000 [ 4] local 192.168.68.217 port 12792 connected to 192.168.68.36 port 5000 [ ID] Interval Transfer Bandwidth [ 4] 0.00-2.00 sec 22.4 MBytes 93.7 Mbits/sec [ 4] 2.00-4.00 sec 24.5 MBytes 103 Mbits/sec [ 4] 4.00-6.00 sec 23.6 MBytes 98.9 Mbits/sec [ 4] 6.00-8.01 sec 24.2 MBytes 101 Mbits/sec [ 4] 8.01-10.00 sec 24.1 MBytes 102 Mbits/sec - - - - - - - - - - - - - - - - - - - - - - - - - [ ID] Interval Transfer Bandwidth [ 4] 0.00-10.00 sec 119 MBytes 99.7 Mbits/sec sender [ 4] 0.00-10.00 sec 119 MBytes 99.7 Mbits/sec receiver * 공유기 2.4G 연결된 장치가 많아서 연결속도/다운속도가 떨어지는 것이 아닌가 합니다. 2025 09.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