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 89
[TI-89] 변수명으로 사용할 수 없는 문자열
1. CATALOG에 등록되어 있는 문자열
【CATALOG】 에는 모든 함수와 계산 관련 기능 그리고 일부 계산기 명령이 들어 있습니다. 이 모든 문자열을 그대로 문자열로 사용할 수는 없습니다. 문자열의 일부를 제거하면 사용할 수 있습니다만 바람직하지 않아 보입니다.
함수명의 괄호만 빼고 사용할 경우에는 "Missing (" 에러 메시지가 뜨고, 그 외의 명령어들은 "Syntax" 에러 메시지가 뜹니다.
2. 상수값으로 예약된 변수명 - 사용시 에러메시지가 뜨지는 않음
메모리 초기화 후에 [TI-nspire] 에서 rc를 입력하면 문자로 인식하여 rc를 반환하지만, [TI-89T] 에서는 숫자 '0'을 반환합니다. 다른 상수값을 변수 rc에 저장할 수는 있지만 변수로 해제?하는 것은 불가능한 듯 합니다. (ra, rb,rd 는 해당되지 않고 오직 rc만 그렇습니다)
* 참고 : 네이버 지식인
3. 기타 용도로 예약된 변수명 - 사용시 에러 발생

Error : "Invalid variable reference" 가 발생하는 변수명
"c1" 에서 "c99" 까지 등
4. 전체 예약된 변수명 리스트
| tbl | medx2 | tc | zeyeθ |
| Nx | medx3 | tmax | zeyeφ |
| Ny | medy1 | tmin | zeyeψ |
| Σx | medy2 | tplot | zfact |
| Σx² | medy3 | tstep | zmax |
| Σxy | minX | u1(n) - u99(n) | zmin |
| Σy | minY | ui1 - ui99 | znmax |
| Σy² | nc | znmin | |
| σx | ncontour | xc | zplstep |
| σy | ncurves | xfact | zplstrt |
| θc | nmax | xgrid | zscl |
| θmax | nmin | xmax | zt∅de |
| θmin | nStat | xmin | ztmax |
| θstep | ok | xres | ztmaxde |
| c1 - c99 | plotStep | xscl | ztmin |
| corr | plotStrt | xt1(t) - xt1(t) | ztplotde |
| diftol | q1 | ztstep | |
| dtime | q3 | y1'(t) - y99'(t) | ztstepde |
| eqn | R² | y1(x) - y99(x) | zxgrid |
| errornum | r1(θ) - r99(θ) | yc | zxmax |
| Estep | rc | yfact | zxmin |
| exp | regCoef | ygrid | zxres |
| eyeθ | regEq(x) | yi1 - yi99 | zxscl |
| eyeφ | seed1 | ymax | zygrid |
| eyeψ | seed2 | ymin | zymax |
| fldpic | Sx | yscl | zymin |
| fldres | Sy | yt1(t) - yt99(t) | zyscl |
| main | sysData | zθmax | zzmax |
| maxX | sysMath | zθmin | zzmin |
| maxY | t∅ | zθstep | zzscl |
| medStat | tblInput | z1(x,y) - z99(x,y) | |
| medx1 | tblstart | zc |
출처 : http://www.technicalc.org/tiplist/en/files/pdf/tips/tip1_3.pdf
세상의모든계산기 님의 최근 댓글
2번 사진 3개 사진 공통적으로 구석(corner) 에 증상이 있다는 특징이 있네요. 영상 찾아보니 이 가능성이 가장 높은 듯 합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zxRBohepzwc ㄴ Liquid Crystal Leakage (액정 누설). ㄴ 손으로 밀어내니 주변으로 밀려나네요. 그래서 점으로 보이기도 하구요. 2025 10.29 500! 의 십진수 근사값 확인 500! = 1.22013682599111006870123878542304692625357434280319284219241358838 × 10^(1134) (참값, 울프람 알파) 2025 10.29 관련 라이브러리 https://allcalc.org/56263 sgn(x) 내장된 부호 함수(signum function)와 달리, 이 함수의 sgn(0)은 0을 반환합니다. 2025 10.29 라이브러리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제작자 추천) 1. mylib 폴더에 넣기 2. Actions ➡️ library ➡️ refresh libraries 실행 하기 2025 10.29 ChatGPT-5 기호(÷, /, :) 자체는 의미적으로 같은 “나눗셈”을 뜻하지만, 문맥(사람이 쓰는 수학 vs 컴퓨터/프로그래밍)에 따라 해석 우선순위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 1️⃣ 전통 수학 표기 — ÷, /, : 수학 교과서, 논문, 일반 문서 등에서는 셋 다 의미적으로 “나누기”로 간주됩니다. 즉, 48÷2(9+3), 48/2(9+3), 48:2(9+3) 은 같은 의미로 받아들여야 합니다. 모두 사람의 수학 관행적 해석이 적용되어 48 ÷ 2 × (9+3) = 288 로 처리되죠. 즉, 기호가 바뀌어도 결과는 바뀌지 않습니다. 🔹 2️⃣ 컴퓨터·프로그래밍 문맥에서 / 사용 시 컴퓨터는 “생략된 곱셈(implicit multiplication)”을 따로 구분하지 못합니다. 따라서 다음 두 식은 완전히 다르게 인식됩니다. 표현 파이썬 등에서 해석 결과 48 / 2*(9+3) ((48 / 2) * (9+3)) 288 48 / 2(9+3) ❌ 문법 오류 (생략된 곱셈 인식 불가) — 즉, 컴퓨터 언어에서는 생략된 곱셈이 허용되지 않기 때문에, /는 반드시 명시적 *와 함께 써야 합니다. 🔹 3️⃣ “:” 기호의 경우 현대 수학에서는 “비율”을 나타내는 기호로 쓰입니다. a:b = \frac{a}{b} 따라서 (27 : 3(1+2)3) 같은 표현은 모호하거나 비표준적으로 간주됩니다. 대부분의 경우 계산기로는 입력 자체가 불가능합니다. ✅ 정리 기호 의미 결과 변화 주로 쓰이는 문맥 ÷ 나누기 없음 초중등 수학, 일반 표기 / 나누기 없음 (단, 프로그래밍에서는 생략 곱 불허) 수학/컴퓨터 : 비율 (또는 나누기 의미로 혼용) 보통 계산식에서는 사용 안 함 비, 비율 표기 🔹 결론 48 ÷ 2(9+3), 48/2(9+3), 48:2(9+3) 는 “수학적 의미”로는 동일하게 81로 해석됩니다. 하지만 프로그래밍이나 수식 파서(context) 에서는 /만 유효하고, 생략된 곱은 허용되지 않으며, :는 아예 다른 의미(비율)로 인식됩니다. 2025 10.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