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 nspire
[TI-nspire] 전원 Power On & Off / 대기 모드 Hibernate / 딥 슬립 Deep Sleep
1. 전원 On / Off
【on】 버튼을 눌러 기기를 켭니다.
├ 기기가 Stanby 상태일 때는 바로 화면이 바로 켜집니다.
├ 로고 화면(Progress Bar)이 나타나는 것은 OS가 새로 로딩됨을 의미합니다.
└ 최초 실행이라면 이후 언어와, 폰트크기를 묻는 창이 나타납니다.
【ctrl】【on】 버튼(=off)을 눌러 기기를 끕니다. (Standby 모드로 진입)
├ 마지막 사용중이던(Current) 모든 설정과 메모리 내용들은 (다시 켤 때) 그대로 유지됩니다.
└ 단, Reset 할 경우 Document로 저장하지 않은 설정과 내용은 사라집니다.
2. 끄기 Off (Standby / APD / Hibernate / Deep Sleep)
1. 【ctrl】【on】 및 APD (Automatic Power Down)
【ctrl】【on】 버튼으로 기기를 끄면 기기는 Standby 모드로 진입합니다. Standby 모드에서 다시 기기를 【on】 시키면 기기는 OS 재로딩을 거치지 않고 2~3초 후 바로 켜집니다.
켜진 상태에서 아무 동작이 없이 3분(기본 설정)이 지나도 기기는 자동으로 Standby 상태가 됩니다. 이는 APD 기능에 의한 것이며, 【ctrl】【on】으로 기기를 끈 것과 동일한 효과입니다. APD 시간 설정은 Handheld Setup - Power Standby 에서 변경할 수 있습니다. (1분 / 3분(기본) / 5분 / 10분 / 30분 중 선택)
2. Hibernate (동면 모드)
Hibernate(=동면) 기능을 설정하고 Standby 상태에서 Hibernate 설정 기간이 경과하면, 기기는 Standby모드에서 Hibernate 모드로 변경됩니다. 변경될 때 기기는 현재의 작업을 메모리에 저장하고, 다시 켜질 때 시스템 리부팅 후 저장된 작업을 다시 불러옵니다.
1일 / 2일 / 3일 / 4일(기본) / 5일 / Never(=동면되지 않음=Off시 계속 Standby 상태 유지)
Hibernate 상태에서는 (Standby 보다) 배터리 소모가 적기 때문에, 배터리를 오래 유지하려면 Hibernate 설정을 짧게 잡는 것이 좋습니다. 대신 동면상태에서 다시 켤 때 OS 리부팅 시간이 오래걸리는 단점이 있습니다.
3. Deep Sleep feature?
설명서(Handheld Getting Started)에 보면 Deep Sleep 기능에 대한 설명이 나옵니다. Nspire 기종 중 Hibernate 모드가 있는 기기는 Hibernate 가 Deep Sleep 을 대신한다고 보시면 될 것 같고, Hibernate 기능이 없다면 아마도 Deep Sleep 기능이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Hibernate 기능도 있고, 별도로 Deep Sleep 기능도 있다는 의미일 수도 있습니다. 제보 바랍니다.)
Deep Sleep 기능이 있는 모델에서는 Reset 버튼이 파란색(Blue)이라고 설명서에 적혀 있습니다.
- 끄기 : 기기 뒷면의 파란색 Reset 버튼을 4초 이상 누르고 있으면 Deep Sleep 모드가 됩니다.
- 켜기 : Deep Sleep 모드에서 기기를 다시 켜려면 【on】 버튼을 4초 이상 누르세요.
※ Deep Sleep 기능이 없는 모델에서는 Reset 버튼을 4초 이상 누른다 해도, Reset 버튼을 뗄 때 자동으로 재시작(Reboot) 되므로, 강제로 Deep Sleep 시킬 방법은 없습니다.
3. 배터리 관리법
세상의모든계산기 님의 최근 댓글
낮에 TV에서 영화 '말모이' 해주더라구요. 그래서 한번 물어 봤습니다. 2025 10.10 마지막 발언이 마지막 힌트이자 문제의 핵심이군요. 처음 들은 달이 8월이었다면 (15일인지 17일인지 확신할 수 없어서) 마지막 대사를 할 수 없지만, 처음 들은 달이 7월이었다면 (선택지가 16일 하나라서 확신이 가능하므로) 마지막 대사를 할 수 있다. 대사를 했으니 7월이다. 이제 이해되었습니다. 지금 보니까 이해가 되는데, 당시에는 왜 이해가 안됐을까요? 세가지 전제 하에 문제를 풀면 A는 마지막 대화 2줄만으로 C의 생일을 알 수 없어야 정상인데, 무슨 이유에서인지 "그럼 나도 앎!"이라고 선언해 버립니다. 알게 된 이유를 대화 속에서 찾을 수는 없습니다. 이 편견에 사로잡혀 빠져나오지 못하고 다른 길로 계속 샜나봅니다. 2025 10.09 (장*훈)님 (+10,000원) 계좌 후원(2025/10/09) 감사 드립니다. 2025 10.09 원래 식이 풀어진 상태에서는 두번째 인수 v가 분모, 분자에 섞여 있어서 계산기가 처리하지 못하는 듯 합니다. 이 때는 위에서와 반대로 분모 부분만 다른 문자(w)로 치환한 다음 completesquare(,v^2) 처리를 하면 일부분은 묶이는 듯 합니다. 하지만 여기서 처음 모양으로 더 이상 진행되진 않네요. 2025 10.08 전체 식에서 일부분(분모, 루트 내부)만 적용할 수는 없습니다. 번거롭더라도 해당 부분만 따로 끄집어 내서 적용하셔야 합니다. https://allcalc.org/30694#comment_30704 2025 1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