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 BA II Plus
[BA II Plus] (e) 지수 계산이나 루트 그리고 사칙연산 어떻게 하나요?
0. 지수 그리고 루트 버튼 【yx】
제곱은 숫자 【8】 위의 【x2】을 이용하시구요.
그 외 일반적인 지수 계산은
숫자 【9】 위의 【yx】버튼을 이용합니다.
예)
2^3 = 8 입력시
【2】【yx】【3】【=】
루트의 경우에는
제곱근은 숫자 【7】위에 있는 제곱근 버튼을 이용하시고,
위에 있는 【yx】 버튼을 이용하되, 지수를 역수로 활용합니다.
2^(⅓) = 2의 세제곱근 = 1.2599210498948731647672106072782
【2】【yx】【(】【1】【÷】【3】【)】【=】
또는
【2】【yx】【(】【3】【1/x】【)】【=】
1. e의 지수 명령 버튼
숫자 7 왼쪽에 보시면 LN 버튼이 있고, 그 위에 ex 표시가 있습니다.
따라서 【2ND】 【LN】 조합이 지수 명령에 해당하는 버튼입니다.
1. 버튼 입력 순서
BA II Plus 에서의 【ex】 계산시
즉 x에 해당하는 값을 먼저 입력을 하고, 【ex】 버튼 조합을 누릅니다.
일반 계산기에서 루트 계산할 때 루트 안의 숫자를 먼저 입력하고 루트【√】 버튼을 누르는 것과 같은 순서입니다.
2. 예시
e(2+3) = 148.413
【(】【2】【+】【3】【)】【2nd】【LN】
40*e(0.05*0.23) = 40.4627
【4】【0】【×】【(】【.】【0】【5】【×】【.】【2】【3】【)】【2nd】【LN】【=】
3. 주의
밑에 해당하는 y를 먼저 입력합니다.
공학용 계산기처럼 전체 수식을 입력받고 ⇒ 사칙연산 법칙(PEMDAS, BOMDAS) 에 맞게 해석하여 연산 순서(Order of Operation)를 결정하지 않고,
괄호가 없는 대부분의 경우 일반 계산기처럼 먼저입력한 순서대로 계산합니다.
그러니 괄호를 매우 적극적으로 입력해야 정상적으로 계산이 됩니다.
댓글5
-
세상의모든계산기
그 외 간단한 사칙연산이 섞여있는 계산은?
BA II Plus 같은 재무용 계산기는
괄호 기능이 있지만, 그렇다고 산수시간에 배운 사칙연산의 순서를 따르지는 않습니다.
(괄호가 없다면) 일반계산기처럼 먼저 입력한 순서대로 계산해버립니다.
예를 들어
(20×50 + 1.73×0.83) ÷ 1.04 를 계산할 때
보이는 대로만 괄호를 한번 써서 계산하면
위가 아니라, 아래처럼 계산해 버립니다.
그러니 원하는 순서로 계산을 시키려면 괄호를 추가해 입력해야 합니다.
((20×50) + (1.73×0.83)) ÷ 1.04
- 1
세상의모든계산기 님의 최근 댓글
예시11) 선형 연립방정식에서 답이 false 로 나올 때 https://allcalc.org/55823 2025 10.22 approx(참 해) 값이 이상하게 튀는 것 같아서 AI를 이용해 (python 으로) 구해보았습니다. * python 의 유효자릿수가 nspire 의 유효자릿수(14자리~15자리)보다 더 길기 때문에 시도하였습니다. ** 원래는 wolfram alpha 로 구해보려고 했는데, 울프람에서는 수식 길이가 너무 길다고 거부하는 바람에 포기하였습니다. 그 결과, AI approx(참 해) 값은 정상 범주에 포함되었고, 이는 solve()로 구한 대부분의 결과값과 유사하였습니다. 그럼 nspire 의 approx(참 해)는 왜 튀었나? 참 해에 더하기,빼기,곱하기,나누기 가 너무 많이 포함되어 있다보니, 모두 계산하고 나면 오차가 누적&증폭되어 버리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오히려 solve의 numeric 한 접근보다도 더 큰 오차가 발생한 듯 하고, 그래서 적절한 해의 x 구간을 벗어나버린 듯 합니다. 그것이 처음의 solve 에서 false 를 이끌어낸 주 원인이 아니었을까요? (추정) 2025 10.21 그래프로 확인 그래프 함수로 지정하고, 매우 좁은 구간으로 그래프를 확대해 보면 불연속적인 그래프 모습이 확인됩니다. 이것은 한계 digits(15자리) 이상을 처리하지 못하기 때문일 것이구요. 다만 특이한 점은, 그래프상으로 교점에 해당하는 구간이 73.049507058477≤x≤73.049507058484 사이로 나오는데 -> 이 구간은 'solve에서 여러 방법으로 직접 구해진 해들'은 포함되는 구간입니다. -> 하지만, '참값인 해를 계산기로 구한 appprox 값 x=73.049507058547'은 포함되지 않는 구간입니다. 2025 10.21 tns 파일 첨부 sol_num_vs_exact.tns 2025 10.21 검증하면 1번 식을 x에 대해 정리하고, → 그 x 값을 2번 식에 대입해 넣으면 → 그 결과로 x는 사라지고 y에 대한 식이 되니, y에 대해 정리하면 참값 y를 얻음. 얻은 y의 참값을 처음 x에 대해 정리한 1번식에 대입하면 참 값 x를 얻음. 구해진 참값의 근사값을 구하면 x=73.049507058547 and y=23.747548955927 참 값을 approx() 로 변환한 근사값은 원래 방정식 모두를 만족할 수 없지만, linsolve() 로 찾은 근사값과, AI로 참 값을 근사변환한 값은 원래 방정식 모두를 만족할 수 있습니다. 2025 1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