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니 PC (N100, Firebat AK2 PLUS) 설정 관련 => 최종 고장

23년 10월에 알리에서 구입했던 N100 기반의 미니 PC 관련 설정을 정리해 두려고 합니다.
- 16GB, 512GB 모델로 주문했고, 당시 주문액: ₩136,858 이었습니다. 지금은 더 오른 듯 합니다.
- 도착하고 보니 중국산 램(KINSOTIN, 2666MHz)에, 중국산 NVMe(Wicgtyp, N900-512) 라서 업그레이드 해서 주문한 것을 살짝 후회하기도 했습니다.
(보조용으로 돌리는 것이긴 하지만) 지금까지 11개월동안 안죽고 살아 있으니, 할 역할은 다 했다고 보여집니다.
- 내부에 USB-C 포트가 하나 있는데, 정상 작동한다는 분이 있으나, 제 껀 전원공급만 될 뿐 온갖 장치 연결해 봐도 인식이 안되더라구요.
- 최초 윈도우가 설치되어 있으나, 정품 아니고, 게다가 바이러스까지 심어져 있습니다. 제거는 용이한 편이지만, 클린설치 다시 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malzero 탐색/삭제 가능)
- 기본 세팅이 저전력에 맞추어져 있어, 유튜브 동영상 시청 용도로는 문제 없으나, 약간의 작업시 버벅임 있습니다.
AK2 PLUS메인 기능
CPU-인텔 N100 인텔® 재스퍼 레이크 셀러론 프로세서 N100, 4 코어 및 4 스레드. (최대 3.4GHz)
GPU : 인텔® UHD 그래픽
메모리 : 옵션 선택 8GB/16GB DDR4
저장공간 : 256GB/512GB M.2 NGFF(2280) 최대 2TB SSD
추가공간(옵션) : 2.5 "SATA 포트, 최대 2TB
풍부한 인터페이스 디자인
USB3.0 × 2
USB2.0 × 2
HDMI × 2 (두 개의 hdmi를 동시에 표시합니다.)
RJ45 × 1(1000m LAN)
1 * 오디오 잭 (HP 및 마이크)
네트워크
- WiFi 5,802.11 a/b/g/n/ac 2.4G/5G 더블 밴드
- 블루투스: 인텔 7265/ 3165/ RTL8821CE 지원 블루투스 4.2
무게:368g
크기: 222*152*68mm
BIOS 세팅 (CPU 성능 제한 해제)
- 기본 세팅이 저전력 위주라서 CPU 총 전력 사용량 제한이 걸려 있음.
- https://cafe.naver.com/dr1phone/145247 참고함 (읽으려면 카페 가입 필요) P8 이라는 제품에 대한 설명글임.
- https://svrforum.com/svr/1354127 참고
- 제한시 CPU TDP가 6~7 Watt 수준에서, 제한해제시 13~14Watt 수준으로 오른다고 함. (직접 잰 것 아님)
다만, 열도 같이 올라서 여름에는 90도 수준으로 오를 수 있음.
- 쓰로틀링이 걸릴 수도 있고, 최악의 경우 CPU 고장으로 이어질 수도 있습니다. 본인 책임하에 수정하세요.
- 확실히 버벅이는 것 줄어듦.
- 컴퓨터 켜기
- BIOS 진입
-
Advanced->CPU power management control:
Platform pl1 enable: enable ▶ disabled // 제한하는 옵션이라 꺼야 성능 UP 됩니다.
Platform pl2 enable: enable ▶ disabled // 상동
Power limit 4 override: enable ▶ disabled // 상동
-
Advanced->CPU power management control->View/Configure turbo options:
Power limit 1 override: enabled
Power limit 1: 10000 ▶ 15000
Power limit 2 override: enabled
Power limit 2: 10000 ▶
30000 괜찮은건가?15000 일단 해 보는 걸 추천. 안정되면 그 후에 더 알아보고 올리는 것 추천Energy efficient turbo: disabled

단, 이렇게 제한 해제를 하면 CPU 온도가 많이 오를 수 있습니다.
기본 쿨러가 코딱지만해서 쿨링 효과가 매우 떨어집니다.
리미트 해제하시려거든 쿨러를 보강하든, 뚜껑을 다 열고 쓰든 뭔가 하나는 하셔야 할 듯 합니다.
써멀구리스 재도포 안하시면 작업시 90도 이상 오를 수 있습니다.
댓글11
-
-
세상의모든계산기
내부 온도 관리

1. 써멀 구리스가 떡져 있고, 상태도 별로 좋지 않음. 열이 히트싱크로 흡수되지 못함.
2. 알미늄 재질의 히트싱크가 열을 이동시키는 능력도 떨어짐.
3. 쿨러도 쪼맨한데, 케이스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모두 모아서 내보내기에는 절대적 풍량이 적음.
4. 쿨러 속도 조절도 안됨.
- 써멀 재도포 필수
- 작업량이 많으면 뚜껑 열고 쓰는 것 고려. 추가 쿨러 장착 개조도 고려.
-
세상의모든계산기
디스크(M.2 SATA) N900-512

거의 1년을 서버 대용으로 풀로 켜 놨더니 사용 시간이 꽤 많습니다.
읽기/쓰기는 생각보다 많네요?
켜 놓은 시간에 비해서 실제로 쓰는 일은 적은 편인데 백그라운드 작업량 때문에 그런 건가??? 모르겠네요.
* D 드라이브는 외장 HDD임
-
세상의모든계산기
전력 소모
본문의 CPU Limit 제한 해제 후

본체 CPU만(HWiNFO64) 윈도우 부팅 중 20W 부팅 후 Idle 9W ~ 10W 3.3 ~ 3.4W 간단 작업시 20W ~ 24W 14W 3D 게임 구동시 20W ~ 25W 14W (Max) * 생각보다는 전력 소모가 큰 편. 그로 인해 항상 열이 많이 발생하는 건 아닐까?
-
세상의모든계산기
오늘 다시 보니,
커넥터 중에 눌려서 씹힌 것인지, 단선 위기인 선이 하나 보이네요.

-
세상의모든계산기
발열, 쿨러 개조 / 교체 정보
https://hidan.tistory.com/8 - 케이스 갈이 & 쿨러 추가
https://sir.kr/cm_free/1690973 - 개조 (바닥 구멍 추가)
https://gigglehd.com/gg/hard/14836613 - 개조 (바닥 쿨러 추가)
https://blog.naver.com/dolseok1/223328609504 - 발열 / 뒤집기 / SATA 가이드 제거 등
https://tokis.tistory.com/446 - 쿨러 소음
-
세상의모든계산기
고장남 - POST 진입 실패, 모니터 안나옴
직접 사용할 일이 없어져서, 고향집에 가져다 놓고 어댑터만 꼽아 두었습니다.
마지막으로 켠 것은 25년 6월쯤이 아니었을까 싶습니다. (이상증상은 없었구요)
이번 추석에 가서 켜 보니까, 화면이 아예 안나오더라구요.
집에 가져와서 분해해 살펴보니까
- 어댑터 12V는 정상
- 어댑터 꼽으면 바로 POWER 는 켜집니다.
ㄴ POWER ON -> Fan 돌아감 + 파워 LED 들어옴 + NVME에 LED 들어옴
ㄴ HDMI 1, 2 신호 전혀 안들어옴 (모니터 2대 확인)
ㄴ 키보드에 LED 안들어옴 (USB 5V 가 안들어오는 듯 함)
- 옆구리 버튼은 작동하지 않습니다. 길게 눌러도 꺼지지 않음.
하나씩 제거하면서 변수를 제거해 봤는데,
뭘 해도 상태가 똑같습니다.
보드쪽에 문제가 생긴 것 같습니다.


세상의모든계산기 님의 최근 댓글
fx-570 CW 는 아래 링크에서 https://allcalc.org/56026 2025 10.24 불러오기 할 때 변수값을 먼저 확인하고 싶을 때는 VARIABLE 버튼 【⇄[x]】목록에서 확인하고 Recall 하시면 되고, 변수값을 이미 알고 있을 때는 바로 【⬆️SHIFT】【4】로 (A)를 바로 입력할 수 있습니다. 2025 10.24 fx-570 CW 로 계산하면? - 최종 확인된 결과 값 = 73.049507058478629343538 (23-digits) - 오차 = 6.632809104889414877 × 10^-19 꽤 정밀하게 나온건 맞는데, 시뮬레이션상의 22-digits 와 오차 수준이 비슷함. 왜 그런지는 모르겠음. - 계산기중 정밀도가 높은 편인 HP Prime CAS모드와 비교해도 월등한 정밀도 값을 가짐. 2025 10.24 HP Prime 에서 <Home> 73.0495070344 (12-decimal-digits) // python 시뮬레이션과 일치 <CAS> 21자리까지 나와서 이상하다 싶었는데, Ans- 에서 자릿수를 더 늘려서 빼보니, 뒷부분 숫자가 아예 바뀌어버림. 버그인가? (전) 73.0495070584718691243 (21-digits ????) (후) 73.0495070584718500814401 (24-digits ????) 찾아보니 버그는 아니고, CAS에서는 십진수가 아니라 2진수(bit) 단위로 처리한다고 함. Giac uses 48 bits mantissa from the 53 bits from IEEE double. The reason is that Giac stores CAS data (gen type) in 64 bits and 5 bits are used for the data type (24 types are available). We therefore loose 5 bits (the 5 low bits are reset to 0 when a double is retrieved from a gen). 출처 : https://www.hpmuseum.org/cgi-bin/archv021.cgi?read=255657 일단 오차를 놓고 보면 16-decimal-digits 수준으로 보임. 2025 10.23 khiCAS 에서 HP 39gII 에 올린 khiCAS는 254! 까지 계산 가능, 255! 부터는 ∞ fx-9750GIII 에 올린 khiCAS는 factorial(533) => 425760136423128437▷ // 정답, 10진수 1224자리 factorial(534) => Object too large 2025 1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