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 수식 입력 및 (계산기) 버튼 입력
수식 입력
게시판 플러그인 변경으로 인하여
수식 입력 방식이 변경되었습니다.
1. 새로운 입력 방식 #1 (이미지 방식, FMath Editor)
에디터 상단에 (M) 아이콘 이용하시면 됩니다.
근데 마우스 클릭하다 보면 약~간 메롱한 면이 있네요.
지 맘대로 복사? 삭제? 비슷한게 되면서 입력한게 날아갈 때가 있는데
ctrl + z 로 뒤로가기 되니까 적당히 써가면서 입력하시면 됩니다.
Fmath 예시)
2. 새로운 입력 방식 #2 soo_equations
(M) 말고 하단(3번째 줄 마지막)에 보시면 f(x) 아이콘이 있습니다.
그거 눌러서 입력하시면 됩니다.
기본적으로 MathQuill 기능과 동일?하게 동작합니다.
- LaTeX 문법을 아시면 조금은 편하게 입력 가능합니다)
- Latex 곧바로 붙여넣기도 되긴 합니다.
- 특수문자 입력시 영어로 풀려버리는 듯 합니다.
Soo Equation 예시)
- 루트 줄간격이 안맞는 현상이 있는데... 무슨 이유인지를 모르겠네요. --> 기존 sketchbook 게시판 css 와 충돌 때문이었던 것 같습니다.
- 만일, 입력창에서는 문제없었는데, 글 작성 후 이상이 생긴다면 입력시 생성된 LATEX 코드만 복사해서 아래 3번MathJax 방식으로 입력하셔도 됩니다.
3. MathJax, LaTeX 문법 직접 입력
https://www.mathjax.org/#samples
LATEX 문법 코드가 있다면, 에디터 컴포넌트를 이용하지 마시고,
LATEX 문법 코드를 그대로 게시판에 붙여 넣으시면 됩니다.
3-1. 디스플레이 수식 = 한줄 전체 차지
LaTeX 코드 앞 뒤로 $$ 를 붙여 넣으시면 됩니다.
MathJax 예시) $$ \oint_{C} \vec{F} \cdot d\vec{s}, \lim_{n \to \infty} \sum_{k = 1}^{n} \dfrac{1}{k} $$
$$x_{12}=\frac{\left(-b\pm\sqrt{\left(b^2-4ac\right)}\right)}{2a}$$
(디스플레이 수식) 이건 한꺼번에 처리해서 루트 줄간격이 잘 맞아서 표시됩니다.
3-2. 인라인 수식 = 문서 사이에 삽입
두개가 아니라 $를 하나만 앞뒤로 넣으시면 됩니다.
MathJax 예시) 인라인 방식은 이런 식으로 $ \oint_{C} \vec{F} \cdot d\vec{s} $ 글씨와 글씨 사이에 삽입이 됩니다.
4. 기존 수식 (wiris)
어쩌다보니 wiris 가 작동하지 않게 되었는데...
그래서 기존에 입력하였던 수식이 깨져 보입니다.
제가 보는 족족 손을 볼 생각이긴 한데,
그래도 남아있다면 해당 글에 댓글 남겨주시면 처리반이 출동하겠습니다.
버튼 입력
계산기 버튼은 ckeditor - component 에서 입력하실 수 있습니다.
해당 아이콘을 클릭하시면
새 창이 뜨면서 몇가지 종류의 계산기 목록(tab)이 나오고,
버튼 이미지를 클릭해 게시판에 삽입할 수 있습니다.
댓글5
-
세상의모든계산기
MathJax
인라인 수식: $ \sqrt{a^2 + b^2} $ 디스플레이 수식: $$ \sqrt{a^2 + b^2} $$
ㄴ 위 코드를 복사해 본문이나 댓글에 입력하면
아래와 같이 나옵니다.
인라인 수식: $ \sqrt{a^2 + b^2} $
디스플레이 수식: $$ \sqrt{a^2 + b^2} $$ -
세상의모든계산기
수식 변환 사이트
https://webdemo.myscript.com/views/math/index.html#
마우스로 수식을 그려서 ⇒ 수식으로 변경할 때 사용
https://mathpix.com/image-to-latex
이미지 파일로 저장되어 있는 파일(or 화면을 캡쳐해 클립보드에 복사된 것)을 ⇒ 수식으로 변경할 때 편리합니다.
하지만 무료 계정은 1달에 10개까지만 변환이 가능합니다. 좀 복잡한 이미지 인식시킬 때나 써야 할 듯...
세상의모든계산기 님의 최근 댓글
낮에 TV에서 영화 '말모이' 해주더라구요. 그래서 한번 물어 봤습니다. 2025 10.10 마지막 발언이 마지막 힌트이자 문제의 핵심이군요. 처음 들은 달이 8월이었다면 (15일인지 17일인지 확신할 수 없어서) 마지막 대사를 할 수 없지만, 처음 들은 달이 7월이었다면 (선택지가 16일 하나라서 확신이 가능하므로) 마지막 대사를 할 수 있다. 대사를 했으니 7월이다. 이제 이해되었습니다. 지금 보니까 이해가 되는데, 당시에는 왜 이해가 안됐을까요? 세가지 전제 하에 문제를 풀면 A는 마지막 대화 2줄만으로 C의 생일을 알 수 없어야 정상인데, 무슨 이유에서인지 "그럼 나도 앎!"이라고 선언해 버립니다. 알게 된 이유를 대화 속에서 찾을 수는 없습니다. 이 편견에 사로잡혀 빠져나오지 못하고 다른 길로 계속 샜나봅니다. 2025 10.09 원래 식이 풀어진 상태에서는 두번째 인수 v가 분모, 분자에 섞여 있어서 계산기가 처리하지 못하는 듯 합니다. 이 때는 위에서와 반대로 분모 부분만 다른 문자(w)로 치환한 다음 completesquare(,v^2) 처리를 하면 일부분은 묶이는 듯 합니다. 하지만 여기서 처음 모양으로 더 이상 진행되진 않네요. 2025 10.08 전체 식에서 일부분(분모, 루트 내부)만 적용할 수는 없습니다. 번거롭더라도 해당 부분만 따로 끄집어 내서 적용하셔야 합니다. https://allcalc.org/30694#comment_30704 2025 10.08 분수의 분모 아닌 v만 w로 치환해 놓고, 결과를 completesquare 돌리면 앞부분은 묶이는 듯 합니다. 2025 1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