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록 색약 보정 렌즈(안경) 를 컴퓨터로 시뮬레이션 해본다면?
색약 보정 안경 (렌즈)
엔크로마? 크로마젠? 이 대표적인 것으로 알고 있고, 요즘은 국내업체(달튼)도 있는 듯 합니다.
그 외에도 못들어본 회사 제품이 판매되는 상황으로 파악됩니다.
안경 외에 렌즈도 있고, 황금 나노입자 뭐 그런 렌즈도 개발했다는 기사도 보고 그랬습니다.
원리
https://scent.kisti.re.kr/site/main/archive/article/%EC%83%89%EC%B1%84%EC%9D%98-%ED%96%A5%EC%97%B0%EC%9D%84-%EB%8A%90%EB%81%BC%EA%B2%8C-%ED%95%98%EB%8A%94-%EC%83%89%EB%A7%B9-%EC%95%88%EA%B2%BD%EC%9D%98-%EB%B9%84%EB%B0%80;jsessionid=992FF37D50CB5787CC396E314AC707A1.scent_left

적록 색약 핵심 원인 = 2개 세포가 겹치는 구간이 많음 = 색 구분이 확실치 않음.
적록 색약 보정 렌즈 원리 = 가장 많이 겹치는 부분(550~570nm)의 색을 선택적으로 흡수하거나 반사해서 차단해버리자!
효과는 있는가?
유튜브 보면 안경 쓰자마자 눈물을 흘리는... 뭐 그런 감동적인? 연출 영상이 많이 있습니다.
반대로 사기다! 라고 주장하는 글도 있구요.
종합해서 판단해 보면
- 일부 (녹색)(붉은색) 구분이 확실해지는 것이 있다.
- 전반적으로 붉은 필터 낀 것처럼 보이는 부작용이 있다. (오래 끼고 있으면 눈이 적응되면서 붉게 못느끼게 된다? 뇌 내 자동 화이트밸런스 효과?)
- 붉은 색 계열이 너무 튀어 보인다. 구분이 어려워진다.
- 사람마다 다르다.
그런데 직접 사용해 보지 않으면, 알 수 없는 영역이라서 직접 써보고 싶긴 한데, 넘 비싸쥬?
(굳이 그 돈 주고?)
그래서 그런 효과를 PC(윈도우)에서 내 주는 프로그램을 만들어 봤습니다.
제가 만든 건 아니고 AI 선생님께 부탁드렸더니, 짠~ 하고 만들어 주셨습니다.
프로그램 소개
https://github.com/creeras/color_filter_app
여기 보시면 파이썬 코드가 있으니, 파이썬을 사용할 줄 아시는 분은 직접 실행하시면 됩니다.
파이썬이 어려우신 분은 EXE 파일로 만들어 둔 것이 있으니 다운받아 사용하시면 되구요.
https://github.com/creeras/color_filter_app/releases
사용법
1. 실행하시면 창이 2개 나옵니다. ⓐ 빨간 테두리 창, ⓑ preview 창. (파이썬 실행 콘솔창까지 하면 3개)
ⓐ 빨간 테두리 창에 있는 화면을 인식(캡쳐) ➡️ 필터 계산을 해서 색을 바꾼 다음에 ➡️ ⓑ preview 창에 띄움
2. 빨간 테두리 창의 위치/크기 조정
빨간 테두리창에 마우스 커서를 가져다 대면,
그 위치와 상황에 따라 크기 조절 아이콘 or 위치 조절 아이콘으로 변경됩니다.
크기 조절 아이콘 : 화살표가 4방향
위치 조절 아이콘 : 화살표가 2방향, 또는 (오른쪽 아래) 한방향 화살표
설명하기 애매한 감이 있는데,
위치 조절을 원하실 때는 좌측 상단 코너↖️로
크기 조절을 원하실 때는 우측 하단 코너↘️로
가시면 가장 확실합니다.
3. preview 창 크기/위치 조절
preview 창에는 【1:1】버튼이 있습니다. 누르시면 빨간 사각형과 같은 크기로 변경됩니다.
이후에 위치 조절해서 쓰시면 됩니다.
사용 결과 (이시하라 표)
https://kr.colorlitelens.com/color-blind-tests/ishihara-test/ishihara-color-blind-test.html












아... 이렇게 눈에 띄게 달라질 수 있구나 하는 느낌이 오실 겁니다.
일부 숫자는 약~간 애매하게 보일 수도 있는데, 
그런 숫자는 사진 저장된 폴더에서 탐색기 썸네일의 작은 사진으로 보니 살짝 구분이 쉬워지더라구요.

preview 도 작게 보는게 숫자 구분이 또렷해지는 그런 경향이 살짝 있습니다.
주의사항
현실과의 차이
이건 실제 안경(렌즈)의 효과와 같지 않습니다.
렌즈 효과와 비교해 보면서 최대한 비슷하게 만든 프로그램이 아닙니다.
이 효과만 보고 "아 색약안경 사러가야지!" 하진 마세요.
현실과 다를 수 있습니다.
"그냥 비슷한 효과를 내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 하고 AI에게 물어본 결과일 뿐입니다.
렌즈 효과가 어떤지 궁금하지 않더라도,
일반인들에게는 숫자가 어떤 식으로 다르게 보이는지 궁금한 (적녹) 색약인 분들을 위해 만든 프로그램일 뿐이고,
그 과정에서 색각 보정 안경과 비슷한 방향으로 접근한 것 뿐입니다.
계조 문제
필터 적용후 그라데이션 부분을 보시면 계조가 발생합니다. 등고선같은 층이 진다고 할까요?
세밀한 부분이 뭉개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프로그램상에서 개선할 수도 있는데,
저사양 컴에서는 과도한 리소스를 요구할 수 있어서 적용하지 않았습니다.
댓글3
- 
							
					
 - 
							
					세상의모든계산기
적용 사례 2 - 셔터스톡
https://www.shutterstock.com/ko/search/%EC%83%89%EC%95%BD%EA%B2%80%EC%82%AC?image_type=illustration


 - 
							
					세상의모든계산기
적용 사례 3 - 색상표
https://namu.wiki/w/%ED%97%A5%EC%8A%A4%20%EC%BD%94%EB%93%9C

적녹 색약 기준에서 필터 후 색깔을 느낌으로 표현하면
녹색 계열이 좀 차분? 묵직? 해지는 느낌
적색 계열이 전반적으로 조화를 이루지 못하고 튀는? 느낌
노랑이가 사라지는 느낌.
* 적색 계열에서 글씨가 살짝 안보이는 것은 계조 문제(프로그램 문제)일 수 있겠다는 생각
 
							
							
		
세상의모든계산기 님의 최근 댓글
적용 사례 3 - 색상표 https://namu.wiki/w/%ED%97%A5%EC%8A%A4%20%EC%BD%94%EB%93%9C 적녹 색약 기준에서 필터 후 색깔을 느낌으로 표현하면 녹색 계열이 좀 차분? 묵직? 해지는 느낌 적색 계열이 전반적으로 조화를 이루지 못하고 튀는? 느낌 노랑이가 사라지는 느낌. * 적색 계열에서 글씨가 살짝 안보이는 것은 계조 문제(프로그램 문제)일 수 있겠다는 생각 2025 11.04 적용 사례 2 - 셔터스톡 https://www.shutterstock.com/ko/search/%EC%83%89%EC%95%BD%EA%B2%80%EC%82%AC?image_type=illustration 2025 11.04 적용 사례 1 - 본문 링크 중 2025 11.04 2번 사진 3개 사진 공통적으로 구석(corner) 에 증상이 있다는 특징이 있네요. 영상 찾아보니 이 가능성이 가장 높은 듯 합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zxRBohepzwc ㄴ Liquid Crystal Leakage (액정 누설). ㄴ 손으로 밀어내니 주변으로 밀려나네요. 그래서 점으로 보이기도 하구요. 2025 10.29 500! 의 십진수 근사값 확인 500! = 1.22013682599111006870123878542304692625357434280319284219241358838 × 10^(1134) (참값, 울프람 알파) 2025 10.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