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EARCH

    통합검색
세모계
    • Dark Mode
    • GNB Always Open
    • GNB Height Maximize
    • Color
    • Brightness
    • SINCE 2015.01.19.
    • 세모계 세모계
    •   SEARCH
    • 세상의 모든 계산기
      • 자유(질문) 게시판
      • 계산기 뉴스/정보
      • 수학, 과학, 공학 이야기
      • 세모계 : 공지 게시판
        • 구글 맞춤검색
    • TI
    • CASIO
    • HP
    • SHARP
    • 일반(쌀집) 계산기
    • 기타계산기
    • by OrangeDay
  • 세상의 모든 계산기 계산기 뉴스/정보
    • 세상의 모든 계산기 계산기 뉴스/정보 ()
    • [공학용 계산기] = 와 ≒ ≈ 의 비교 (equal vs almost equal)

    • Profile
      • 세상의모든계산기
      • 2024.11.05 - 12:45 2016.02.15 - 00:30 139634 5

    1. equal vs almost equal

     

      = ≒ or ≈
    명칭 equal sign,
    equality symbol
    approximation sign, 
    approximately equal symbol
    의미

    같다
    equal to

    대략 같다
    almost equal to
    approximately equal to
    비고 방정식이나 함수의 정의를 나타내기 위해 자주 사용 ≒ 동양권(한국, 일본, 대만 등)에서 주로 사용
    ≈ 서양권에서 주로 사용. 더 보편적임.

     

     

    역사적 배경 : 출처 (위키) (Quora)

     

    등호 기호(=)는 1557년 로버트 레코드(Robert Recorde)에 의해 처음 소개되었습니다.

    그는 자신의 저서 "The Whetstone of Witte"에서 두 평행선이 같음을 의미한다고 설명했습니다.

    이 기호는 이후 수학에서 표준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 기호는 그 연원에 대해 웹 검색이 되지 않고 있고, 

    "≒" 기호는 1875년에 Anton Steinhauser 가 이와 유사한 ≐ 기호를 "Is nearly Equal to"로 사용했다는 것이 검색됩니다.

     

    여튼 두 기호는 여러가지 형태로 쓰이다가 비교적 최근에 정립된 기호로 판단됩니다. 

     

    학창시절

     

    학창시절... 너무 오래된 기억이라서 정확하진 않은데, 처음 배울 때 두가지 기호 모두에 대해 설명을 들었던 것 같긴 합니다. 

     

    처음 배운 이후로 물결(≈) 을 사용해 수식을 적으셨던 선생님은 한분도 안계셨던 것 같습니다. 

    저도 그 영향인지 평생 ≒ 만 사용했었구요. 

     

    여러분들은 어떠신가요?

     

     

    2. 계산기에서의 근사값 기호의 사용

     

    대부분의 계산기에는 【=】 기호만 있습니다. 기호 대신에 【EXE】 나 【enter】 등의 명령어 버튼이 등호 기능을 담당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이런 계산기에서 【=】 기호가 적힌 버튼을 누른다고 해서 항상 equal 한 결과가 나오는 것은 아닙니다.

    equal 한 결과를 낼 수 있다면 equal 한 결과를 도출하겠지만, 불가피한 경우에는 equal 이 아닌 almost equal 한 결과 ≒ 를 얻습니다.

     

    예를 들어 1÷3 을 계산하는데 그 결과로 ⅓ 을 저장하고 출력하지 못하는 계산기는

    ⅓ 대신 0.3333333333 처럼 일정한 자릿수까지 짤려진 근사값(approximation)을 구하게 됩니다.  

     

    특별한 계산기

    위에 설명드린 대부분의 계산기와 달리 근사값을 구하는 기능이 따로 구분된 계산기도 있습니다. 

    (그런데 보통은 ≒ 기호로 적기 보다는 물결표시 ≈ 로 적는 경우가 많습니다. 서구권에서 개발되었기 때문일까요?) 

     

    K-20160215-019259-p32.png [TI-nspire] K-20160215-021214-p32.png [HP Prime] 

     

    이러한 계산기는 대부분 C.A.S 기능이 있는 계산기들로서 참값으로 계산하하도록 하면 정확한 값을 최대한! 우선적으로 찾기 때문에 기호를 포함한 아주 복잡한 수식이 나오기도 합니다.

    간단한 수치만 필요한 상황에서 복잡한 수식으로 결과가 나오면 오히려 불편하기만 하므로, 이런 때에는 정확한 값을 찾지말고 대충 비슷한 값을 찾으라고 계산기에 강제로 명령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 참값 계산시보다 근사값 계산시 계산 시간이 단축되는 장점도 있습니다.  

    Attached file
    K-20160215-019259-p32.png 829Bytes 213K-20160215-021214-p32.png 1.8KB 232
    이 게시물을..
    N
    0
    0
    • 세상의모든계산기 25
      세상의모든계산기

      계산기는 거들 뿐
      혹은
      계산기를 거들 뿐

    세상의모든계산기 님의 최근 글

    [fx-570 CW] 문자 변수에 값 저장하기 15 1 2025 10.24 (복잡한 다항식 수식에서) 계산기 내부 유효 자릿수에 따른 approx() 오차 65 6 2025 10.22 [HP Prime] Solve 함수 27 1 2025 10.20 세모계 사이트에서 파일 업로드 에러 (Type 7) 발생할 수 있습니다. 88 2025 10.13 언어의 유형과 만남: 고립어, 교착어, 그리고 한본어 현상에 대한 탐구 (written by Gemini) 193 1 2025 10.09

    세상의모든계산기 님의 최근 댓글

    fx-570 CW 는 아래 링크에서 https://allcalc.org/56026 2025 10.24 불러오기 할 때 변수값을 먼저 확인하고 싶을 때는 VARIABLE 버튼 【⇄[x]】목록에서 확인하고 Recall 하시면 되고, 변수값을 이미 알고 있을 때는 바로 【⬆️SHIFT】【4】로 (A)를 바로 입력할 수 있습니다. 2025 10.24 fx-570 CW 로 계산하면?       - 최종 확인된 결과 값 = 73.049507058478629343538 (23-digits) - 오차 = 6.632809104889414877 × 10^-19 꽤 정밀하게 나온건 맞는데, 시뮬레이션상의 22-digits 와 오차 수준이 비슷함. 왜 그런지는 모르겠음.  - 계산기중 정밀도가 높은 편인 HP Prime CAS모드와 비교해도 월등한 정밀도 값을 가짐.  2025 10.24 HP Prime 에서 <Home> 73.0495070344 (12-decimal-digits) // python 시뮬레이션과 일치   <CAS> 21자리까지 나와서 이상하다 싶었는데,  Ans- 에서 자릿수를 더 늘려서 빼보니, 뒷부분 숫자가 아예 바뀌어버림. 버그인가? (전) 73.0495070584718691243 (21-digits ????) (후) 73.0495070584718500814401 (24-digits ????) 찾아보니 버그는 아니고,  CAS에서는 십진수가 아니라 2진수(bit) 단위로 처리한다고 함. Giac uses 48 bits mantissa from the 53 bits from IEEE double. The reason is that Giac stores CAS data (gen type) in 64 bits and 5 bits are used for the data type (24 types are available). We therefore loose 5 bits (the 5 low bits are reset to 0 when a double is retrieved from a gen). 출처 : https://www.hpmuseum.org/cgi-bin/archv021.cgi?read=255657 일단 오차를 놓고 보면 16-decimal-digits 수준으로 보임.  2025 10.23 khiCAS 에서 HP 39gII 에 올린 khiCAS는 254! 까지 계산 가능, 255! 부터는 ∞   fx-9750GIII 에 올린 khiCAS는  factorial(533) => 425760136423128437▷  // 정답, 10진수 1224자리 factorial(534) => Object too large 2025 10.23
    글쓴이의 서명작성글 감추기 

    댓글5

    • Profile 0
      세상의모든계산기
      2024.08.06 - 19:17 2024.07.14 - 21:06 #44303

      유사 기호


      ≠ : 같지 않음을 나타내는 기호로, 두 값이 동일하지 않음을 의미합니다. (U+2249)
      ≡ : 항등 기호로, 두 표현식이 항상 동일함을 나타냅니다. 주로 논리학 및 수학에서 사용됩니다. (U+003D)
      ∝ : 비례 기호로, 한 값이 다른 값에 비례함을 나타냅니다.


      https://math.stackexchange.com/questions/864606/difference-between-%E2%89%88-%E2%89%83-and-%E2%89%85

      • ≈ : ALMOST EQUAL TO (U+2248)
      • ≃ : ASYMPTOTICALLY EQUAL TO (U+2243)
      • ≅ : APPROXIMATELY EQUAL TO (U+2245)

      Some Common Mathematical Symbols and Abbreviations (with History) Isaiah Lankham, Bruno Nachtergaele, Anne Schilling (January 21, 2007)

      :=

      image.png

      Attached file
      image.png 72.9KB 14 mat67-Common_Math_Symbols.pdf 105.7KB 38
      댓글
    • Profile 0
      세상의모든계산기
      2024.08.06 - 18:55 2024.08.06 - 18:51 #45527

      https://en.wikipedia.org/wiki/Equals_sign

      https://en.wikipedia.org/wiki/Approximation#Typography

      댓글
    • Profile 0
      세상의모든계산기
      2024.08.06 - 21:42 2024.08.06 - 19:21 #45535

      A History of Mathematical Notations, 

      저자: Florian Cajori


      image.png

       

      image.png


      image.png

      image.png

      Attached file
      image.png 53.7KB 15 image.png 224.1KB 16 image.png 75.1KB 16 image.png 122.8KB 27
      댓글
    • Profile 0
      세상의모든계산기
      2024.08.06 - 21:54 2024.08.06 - 20:33 #45539

      https://mathshistory.st-andrews.ac.uk/Miller/mathsym/relation/

      image.png

       

       

      Cajori_Florian_A_History_of_Mathematical_Notations_2_Vols.pdf

      image.png

      Attached file
      image.png 26.1KB 17 image.png 167.3KB 17
      댓글
    • Profile 0
      세상의모든계산기
      2024.08.06 - 20:47 #45543

      ~ Tilde Notation


      https://blog.naver.com/kiminhovator/220312725898

       

      댓글
    • 댓글 입력
    • 에디터 전환
    댓글 쓰기 에디터 사용하기 닫기
    • view_headline 목록
    • 14px
    • 목록
      view_headline
    5
    × CLOSE
    기본 (0) 제목 날짜 수정 조회 댓글 추천 비추
    분류 정렬 검색
    등록된 글이 없습니다.
    • 세상의 모든 계산기 계산기 뉴스/정보
    • 세상의모든계산기
    • 사업자등록번호 703-91-02181
    • 세모계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