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EARCH

    통합검색
세모계
    • Dark Mode
    • GNB Always Open
    • GNB Height Maximize
    • Color
    • Brightness
    • SINCE 2015.01.19.
    • 세모계 세모계
    •   SEARCH
    • 세상의 모든 계산기  
      • 자유(질문) 게시판  
      • 계산기 뉴스/정보  
      • 수학, 과학, 공학 이야기  
      • 세모계 : 공지 게시판  
        • 구글 맞춤검색  
    • TI  
    • CASIO  
    • HP  
    • SHARP  
    • 일반(쌀집) 계산기  
    • 기타계산기  
    • 세모계
    • by ORANGEDAY
  • 세상의 모든 계산기 수학, 과학, 공학 이야기
    • 세상의 모든 계산기 수학, 과학, 공학 이야기 수학 ()
    • exp() 함수 - 수학 및 프로그

    • Profile
      • 세상의모든계산기
      • 2024.07.17 - 16:48 2024.07.17 - 16:39 1247

    `exp()` 함수는 자연로그의 밑인 \( e \)를 밑으로 하는 지수 함수입니다.

    여기서 \( e \)는 약 2.71828로, 자연상수라고도 불립니다. 지수 함수는 다음과 같은 형태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 \exp(x) = e^x \]

     

    이 함수는 다양한 프로그래밍 언어와 수학 라이브러리에서 지원됩니다. 주로 사용하는 용도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수학적 계산**: 지수 함수는 미적분학, 확률론, 통계학 등 많은 수학적 계산에서 사용됩니다.
    2. **데이터 분석**: 로그 변환된 데이터를 역변환할 때 사용됩니다.
    3. **자연 성장 모델링**: 생물학적 과정, 금융 모델링 등에서 자연 성장 과정을 모델링할 때 사용됩니다.

    각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exp()` 함수를 사용하는 방법을 예로 들어보겠습니다:

     

    ### Python

    Python에서는 `math` 모듈과 `numpy` 모듈에서 `exp()` 함수를 제공합니다.

    ```python
    import math
    import numpy as np
    
    # math 모듈 사용
    result_math = math.exp(1)  # e^1
    print(result_math)
    
    # numpy 모듈 사용
    result_numpy = np.exp(1)
    print(result_numpy)
    ```

     

     

    ### C/C++

    C에서는 `math.h` 헤더 파일을 포함하여 `exp()` 함수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c
    #include <math.h>
    #include <stdio.h>
    
    int main() {
        double result = exp(1.0);  // e^1
        printf("%f\n", result);
        return 0;
    }
    ```

     

     

    ### Java

    Java에서는 `Math` 클래스에서 `exp()` 메소드를 제공합니다.
    
    ```java
    public class ExpExample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double result = Math.exp(1.0);  // e^1
            System.out.println(result);
        }
    }
    ```

     

     

     

    ### JavaScript

    JavaScript에서는 `Math` 객체의 `exp()` 메소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javascript
    let result = Math.exp(1);  // e^1
    console.log(result);
    ```

     

     

     

    이 외에도 다양한 언어와 라이브러리에서 `exp()` 함수를 지원하고 있으며, 이는 지수 함수의 기본적인 용도와 원리를 이해하는 데 중요합니다.

     

     


     

    그에 반해 공학용 계산기에서는 EXP 라는 함수를 꼭 e^지수승으로 사용하진 않습니다.

    예를 들어 

    【EXP】 fx-570MS(구형), fx-9860G 시리즈, EL-509W 등

    에서는 EXP 기호가 *10^지수승을 대신하는 기호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계산기 관련 내용에 한정하여 EXP가 e의 지수승인지 10의 지수승인지 꼼꼼하게 체크하시는게 좋습니다. 

     

    https://allcalc.org/14002

    Attached file
    image.png 1.5KB 19
    이 게시물을..
    N
    0
    0
    • 세상의모든계산기 25
      세상의모든계산기

      계산기는 거들 뿐
      혹은
      계산기를 거들 뿐

    세상의모든계산기 님의 최근 글

    세모계 사이트에서 파일 업로드 에러 (Type 7) 발생할 수 있습니다. 11 2025 10.13 언어의 유형과 만남: 고립어, 교착어, 그리고 한본어 현상에 대한 탐구 (written by Gemini) 65 1 2025 10.09 함수 Completesquare, 완전제곱식 변환 기능 71 1 2025 10.08 iptime 공유기 (AX2004T), 유선 핑 테스트 결과 (Ping Test) 363 11 2025 09.24 자동심장충격기, AED 내 주변에 설치된 곳 확인하기 237 1 2025 09.06

    세상의모든계산기 님의 최근 댓글

    4*4 행렬 계산이 가능한 fx-570EX 이후 계산기는 행렬 기능을 이용하는 방법도 있지만, 본문 방법이 더 편리한 것 같습니다. [fx-570 EX] 복소수 1차 연립방정식 해 구하기 (feat. MATRIX) https://allcalc.org/21582 2025 10.15 고장남 - POST 진입 실패, 모니터 안나옴 직접 사용할 일이 없어져서, 고향집에 가져다 놓고 어댑터만 꼽아 두었습니다.  마지막으로 켠 것은 25년 6월쯤이 아니었을까 싶습니다. (이상증상은 없었구요)   이번 추석에 가서 켜 보니까, 화면이 아예 안나오더라구요.    집에 가져와서 분해해 살펴보니까  - 어댑터 12V는 정상  - 어댑터 꼽으면 바로 POWER 는 켜집니다.  ㄴ POWER ON -> Fan 돌아감 + 파워 LED 들어옴 + NVME에 LED 들어옴  ㄴ HDMI 1, 2 신호 전혀 안들어옴 (모니터 2대 확인) ㄴ 키보드에 LED 안들어옴 (USB 5V 가 안들어오는 듯 함)  - 옆구리 버튼은 작동하지 않습니다. 길게 눌러도 꺼지지 않음.    하나씩 제거하면서 변수를 제거해 봤는데,  뭘 해도 상태가 똑같습니다.  보드쪽에 문제가 생긴 것 같습니다.  2025 10.14 다항식 나눗셈 (가장 정석적인 방법) (피제수, 나뉠 식) r1*r3 를 (제수, 나누는 식) r1+r3 로 직접 나누며, 여기서 r1을 변수로 취급합니다. 1. 몫 구하기: r1*r3 (나뉠 식)의 최고차항을 r1+r3 (나누는 식)의 최고차항 r1로 나눕니다. (r1*r3) / r1 = r3 <-- 이것이 몫(Quotient)이 됩니다. 2. 나머지 구하기: (원래 분자) - (몫 × 분모) 를 계산합니다. (r1*r3) - (r3 × (r1+r3)) = r1*r3 - (r1*r3 + r3^2) = -r3^2 <-- 이것이 나머지(Remainder)가 됩니다. 3. 결과 조합: 최종 결과는 `몫 + (나머지 / 나누는 식)` 형태로 씁니다. r3 + (-r3^2 / (r1+r3))   \[ \begin{array}{l} \phantom{r_1+r_3 \overline{) r_1 r_3}} r_3 \\ r_1+r_3 \overline{) \begin{array}[t]{@{}r@{}}    r_1 r_3 \phantom{+r_3^2} \\    - (r_1 r_3 + r_3^2) \\    \hline    -r_3^2 \\ \end{array}} \end{array} \] 2025 10.14 부분적 과정으로 분자(변수의 곱)를 다른 변수로 치환할 수 있다면  (r1*r3=a, r2*r4=b) 다항식에서도 강제 나눗셈 과정을 막을 수 있겠습니다만,      원래의 식에 적용시킬 수는 없어 의미가 없겠습니다.  2025 10.14     (r1*r3) / (r1+r3) 에서   원래라면 분자(r1*r3)에서 하나의 변수를 선택하여 그것을 기준으로 분모를 나누고 몫과 나머지로 분리하여 표현하는 것이 기본 원칙입니다만,    결과가 단항인 분수식일 경우 분자가 두 변수의 곱으로 표현되더라도  그것이 더 간단한 표현인 것으로 보고 그대로 두는 듯 합니다.   하지만 마지막 예시에서 보이는 것처럼 +1만 붙는 간단한 형식일지라도 다항식이 되는 순간  원래의 기본 원칙대로 대수의 나눗셈(r1*r3를 (r1+r3)로 나눔)이 강제 진행되어버리고 이를 막을 수 없는 듯 합니다.    2025 10.14
    글쓴이의 서명작성글 감추기 
    • 댓글 입력
    • 에디터 전환
    댓글 쓰기 에디터 사용하기 닫기
    • view_headline 목록
    • 14px
    • 목록
      view_headline
    × CLOSE
    전체 수학 64 확률통계 18 공학 13 물리학 2 화학 3 생물학 재무금융 10 기타 2
    기본 (0) 제목 날짜 수정 조회 댓글 추천 비추
    분류 정렬 검색
    등록된 글이 없습니다.
    by OrangeDay
    • 세상의 모든 계산기 수학, 과학, 공학 이야기
    • allcalc.org
    • 세모계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