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EARCH

    통합검색
세모계
    • Dark Mode
    • GNB Always Open
    • GNB Height Maximize
    • Color
    • Brightness
    • SINCE 2015.01.19.
    • 세모계 세모계
    •   SEARCH
    • 세상의 모든 계산기  
      • 자유(질문) 게시판  
      • 계산기 뉴스/정보  
      • 수학, 과학, 공학 이야기  
      • 세모계 : 공지 게시판  
        • 구글 맞춤검색  
    • TI  
    • CASIO  
    • HP  
    • SHARP  
    • 일반(쌀집) 계산기  
    • 기타계산기  
    • 세모계
    • by ORANGEDAY
  • 세상의 모든 계산기 수학, 과학, 공학 이야기
    • 세상의 모든 계산기 수학, 과학, 공학 이야기 수학 ()
    • 직교 좌표계 vs 극좌표계의 시각적 비교

    • Profile
      • 세상의모든계산기
      • 2024.10.30 - 15:37 2024.10.27 - 18:21 533 4

    1. 두 개의 극좌표 함수가 있습니다. 

     

    r(θ) = 1
    r(θ) = 1 - cos(θ)

     

     

    2. 직교좌표계에서 표시.

     

    Rectangular Coordinate = 카르테시안 좌표계 Cartesian coordinate system

    image.png

     

    각 축이 서로 수직(직각)으로 만남. 

    각 축의 값이 커지거나 작아지는 것은 일직선 위에서 발생

     

     

    3. 극좌표계에서 표시

     

    Polar Coordinate

    import numpy as np
    import matplotlib.pyplot as plt
    
    # t의 범위 설정 (0부터 2π까지)
    t = np.linspace(0, 2 * np.pi, 100)
    
    # 극좌표 함수 정의
    r1 = np.ones_like(t)  # r(t) = 1
    r2 = 1 - np.cos(t)    # r(t) = 1 - cos(t)
    
    # 극좌표 그래프 그리기
    fig = plt.figure(figsize=(12, 6))
    
    # r(t) = 1 그래프
    ax1 = fig.add_subplot(121, projection='polar')
    ax1.plot(t, r1, label='r(t) = 1', color='b')
    ax1.fill(t, r1, color='blue', alpha=0.2)  # 그래프 아래 영역 채우기
    ax1.set_title('Polar Plot of r(t) = 1', va='bottom')
    ax1.set_ylim(0, 2)  # 반지름 범위 설정
    ax1.legend()
    
    # r(t) = 1 - cos(t) 그래프
    ax2 = fig.add_subplot(122, projection='polar')
    ax2.plot(t, r2, label='r(t) = 1 - cos(t)', color='r')
    ax2.fill(t, r2, color='red', alpha=0.2)  # 그래프 아래 영역 채우기
    ax2.set_title('Polar Plot of r(t) = 1 - cos(t)', va='bottom')
    ax2.set_ylim(0, 2)  # 반지름 범위 설정
    ax2.legend()
    
    # 그래프 보여주기
    plt.tight_layout()
    plt.show()

     

    image.png

     

    극좌표계의 구조

    1. 각도 축: 극좌표계에서tt 축(각도 축)은 원점을 기준으로 하는 방향을 나타냅니다. 각도는 일반적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측정되며, 0에서 2π까지 변화합니다.

    2. 반지름 축: r 축(반지름)은 원점으로부터의 거리로, 특정 각도에 따라 뻗어 있습니다. 반지름은 원점에서 시작하여 외부로 나아가며, 주어진 각도 t에서의 반지름 r 값에 따라 점이 위치하게 됩니다.

    3. 동심원: 극좌표계는 다양한 반지름에 대해 중심이 같은 원을 그리는 "동심원" 형태로 되어 있습니다. 즉, 반지름 r의 값에 따라 같은 각도 t에서 원의 크기가 결정됩니다.

     

     

    4. 비교

     

    • 직교좌표계에서는 x축과 y축이 수직으로 만나며, 각 축이 서로의 기준을 이루는 데 반해,
    • 극좌표계에서는 각도와 반지름이 서로 독립적인 성질을 가지며, 각도는 방향을, 반지름은 거리를 나타내게 됩니다.
    Attached file
    image.png 38.7KB 25image.png 153.5KB 29polarcord_integral.tns 7.6KB 49
    이 게시물을..
    N
    0
    0
    • 세상의모든계산기 25
      세상의모든계산기

      계산기는 거들 뿐
      혹은
      계산기를 거들 뿐

    세상의모든계산기 님의 최근 글

    언어의 유형과 만남: 고립어, 교착어, 그리고 한본어 현상에 대한 탐구 (written by Gemini) 9 1 2025 10.09 함수 Completesquare, 완전제곱식 변환 기능 25 1 2025 10.08 iptime 공유기 (AX2004T), 유선 핑 테스트 결과 (Ping Test) 278 11 2025 09.24 자동심장충격기, AED 내 주변에 설치된 곳 확인하기 174 1 2025 09.06 욕실 변기 - 필밸브 구조 - Fill Valve, Diaphragm 153 2025 08.28

    세상의모든계산기 님의 최근 댓글

    낮에 TV에서 영화 '말모이' 해주더라구요. 그래서 한번 물어 봤습니다. 2025 10.10 마지막 발언이 마지막 힌트이자 문제의 핵심이군요.   처음 들은 달이 8월이었다면 (15일인지 17일인지 확신할 수 없어서) 마지막 대사를 할 수 없지만, 처음 들은 달이 7월이었다면 (선택지가 16일 하나라서 확신이 가능하므로) 마지막 대사를 할 수 있다. 대사를 했으니 7월이다.    이제 이해되었습니다.   지금 보니까 이해가 되는데, 당시에는 왜 이해가 안됐을까요? 세가지 전제 하에 문제를 풀면 A는 마지막 대화 2줄만으로 C의 생일을 알 수 없어야 정상인데, 무슨 이유에서인지 "그럼 나도 앎!"이라고 선언해 버립니다. 알게 된 이유를 대화 속에서 찾을 수는 없습니다. 이 편견에 사로잡혀 빠져나오지 못하고 다른 길로 계속 샜나봅니다. 2025 10.09 (장*훈)님 (+10,000원) 계좌 후원(2025/10/09) 감사 드립니다. 2025 10.09 원래 식이 풀어진 상태에서는 두번째 인수 v가 분모, 분자에 섞여 있어서 계산기가 처리하지 못하는 듯 합니다. 이 때는 위에서와 반대로 분모 부분만 다른 문자(w)로 치환한 다음 completesquare(,v^2) 처리를 하면 일부분은 묶이는 듯 합니다.  하지만 여기서 처음 모양으로 더 이상 진행되진 않네요.      2025 10.08 전체 식에서 일부분(분모, 루트 내부)만 적용할 수는 없습니다. 번거롭더라도 해당 부분만 따로 끄집어 내서 적용하셔야 합니다.  https://allcalc.org/30694#comment_30704 2025 10.08
    글쓴이의 서명작성글 감추기 

    댓글4

    • Profile 0
      세상의모든계산기
      2024.10.27 - 19:00 2024.10.27 - 19:00 #51550

      참고 : BallPen.blog, 내 나이의 빛깔 - 극좌표계


      https://ballpen.blog/%EA%B7%B9%EC%A2%8C%ED%91%9C%EA%B3%84-polar-coordinate-system/

      댓글
    • Profile 0
      세상의모든계산기
      2024.10.27 - 19:21 2024.10.27 - 19:03 #51553

      극좌표계에서의 면적 요소 \(dA\)


      1. 부채꼴 형상:
      - 극좌표계에서 \(r\)와 \(\theta\)의 변화에 따라 만들어지는 면적 요소는 부채꼴의 형태를 가집니다. 그러나 이 부채꼴은 작아질수록 사각형에 가까워집니다.

       

      2. 사각형 근사:
      - 부채꼴의 끝부분이 작아질 때, 이를 사각형으로 근사할 수 있습니다. 이때 사각형의 한 변은 \(dr\) (거리에 해당), 다른 변은 \(r \, d\theta\) (각도 변화에 따른 아크 길이에 해당)입니다.

       

      image.png

       

      3. 면적 계산:
      - 따라서 미소 면적 요소는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
      \[
      dA = r \, dr \, d\theta
      \]
      - 여기서 \(r \, d\theta\)는 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를 나타내고, \(dr\)는 나머지 변의 길이를 나타냅니다.
      - 즉, 사각형의 면적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
      dA \approx (r \, d\theta) \cdot (dr) = r \, dr \, d\theta
      \]

       

      4. 순서 변경:
      - 이 면적 요소는 \(dA = r \, dr \, d\theta\)로 쓸 수 있으며, 순서를 바꿔서도 쓸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dA = r \, dr \, d\theta\)는 \(dA = dr \cdot r \, d\theta\)와 같이 쓸 수 있습니다. 이는 곱셈의 교환 법칙에 따라 가능하며, 적분할 때에도 상관없이 사용됩니다.

      Attached file
      image.png 43.4KB 17
      댓글
    • Profile 0
      세상의모든계산기
      2024.10.27 - 19:26 2024.10.27 - 19:25 #51559

      극좌표 함수의 형태로 나타나는 이중적분


      극좌표 함수에서 \(dA = r \, dr \, d\theta\) 형태로 나타낼 수 있는 이중적분 \(\int \int f(r, \theta) \, r \, dr \, d\theta\)는 면적을 계산하는 방식입니다.

      이 계산식에서 \(r\)과 \(\theta\)의 변화에 따른 미소 면적의 총합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이중적분의 의미

      1. 미소 면적의 총합:
         - 극좌표계에서 \(dA\)는 미소 면적 요소를 나타냅니다. \(r\)이 변화하고, \(\theta\)도 변화할 때, 각 미소 면적 \(dA\)를 모두 합산하여 전체 면적을 구하는 것이 이중적분의 목적입니다.
         - 즉, \(\int_0^{\theta_{\text{max}}} \int_0^{r_{\text{max}}} f(r, \theta) \, r \, dr \, d\theta\)와 같이 표현되는 이중적분은 각 \(r\)에 대한 함수 값 \(f(r, \theta)\)와 면적 요소 \(r \, dr\)를 곱한 후, 이를 \(\theta\)에 대해 적분하여 총 면적을 구하는 과정입니다.

       

      2. 변화에 따른 적분:
         - \(r\)와 \(\theta\)가 각각의 구간에서 변화할 때, 그 변화에 따른 미소 면적을 구해 적분하는 것이므로, \(t\)의 총 변화(여기서는 \(\theta\)로 표현됨)에 따른 미소 면적의 총합으로 볼 수 있습니다.

       

      결론

      결국, 극좌표에서의 이중적분은 각 점의 미소 면적 \(dA\)를 합산하여 전체 면적을 구하는 과정입니다.

      이때 \(r \, dr \, d\theta\)는 면적 요소로 작용하며, 이는 각각의 \(r\)과 \(\theta\)의 변화에 따른 총 면적을 반영합니다.

      따라서 \(\int \int f(r, \theta) \, r \, dr \, d\theta\)는 미소 면적의 총합으로 볼 수 있습니다. 잘 이해하셨습니다!

      댓글
    • 1
      Profile 0
      세상의모든계산기
      2024.10.27 - 19:52 2024.10.27 - 19:40 #51562

      이중적분 \(\int_0^{2\pi} \int_0^{\sin(t)} \sqrt{1 - r^2} \cdot r \, dr \, dt\)에서 \(t\)의 변화에 따라 그래프의 변화를 연속적으로 보여주면


      import numpy as np
      import matplotlib.pyplot as plt
      from matplotlib.animation import FuncAnimation
      
      # 설정
      t_values = np.linspace(0, 2 * np.pi, 100)  # t의 변화 범위
      
      # 그래프 초기화
      fig, ax = plt.subplots(figsize=(8, 8))
      ax.set_xlim(-1.5, 1.5)
      ax.set_ylim(-1.5, 1.5)
      ax.set_aspect('equal')
      ax.set_title('Area under the curve for varying $t$')
      ax.set_xlabel('$x$')
      ax.set_ylabel('$y$')
      
      # 그래프에 사용할 점과 면적 표시
      line_r, = ax.plot([], [], color='blue', label='$r(t) = \sin(t)$')
      ax.legend()
      
      # 면적 다각형 리스트
      area_patches = []
      total_area = 0  # 총 면적 초기화
      area_text = ax.text(-1.4, 1.2, f'Total Area: {total_area:.2f}', fontsize=12)
      
      # 애니메이션 업데이트 함수
      def update(frame):
          global total_area  # 총 면적을 전역 변수로 설정
          t = t_values[frame]
          r = np.linspace(0, np.sin(t), 100)  # r 값 생성
          x = r * np.cos(t)  # x 좌표
          y = r * np.sin(t)  # y 좌표
      
          # 면적을 나타내는 다각형 생성
          area_patch = plt.Polygon(np.column_stack((x, y)), closed=True, color='lightblue', alpha=0.5)
          ax.add_patch(area_patch)  # 다각형 추가
          area_patches.append(area_patch)  # 면적 목록에 추가
      
          # 면적 계산 (부채꼴 면적 계산)
          segment_area = 0.5 * (np.sin(t) ** 2) * t  # t에 따른 면적
          total_area += segment_area  # 총 면적 업데이트
      
          # 선 업데이트
          line_r.set_data(np.array([0, x[-1]]), np.array([0, y[-1]]))
      
          # 면적 합계 텍스트 업데이트
          area_text.set_text(f'Total Area: {total_area:.2f}')
      
          return area_patches, line_r, area_text
      
      # 애니메이션 생성
      ani = FuncAnimation(fig, update, frames=len(t_values), blit=False, repeat=False)
      
      # 진행 표시줄 추가
      progress_ax = fig.add_axes([0.15, 0.1, 0.7, 0.05])  # 위치 조정
      progress_bar = plt.barh([0], [0], color='gray', height=0.1)  # 진행 표시줄
      progress_ax.set_xlim(0, len(t_values))
      progress_ax.set_ylim(-0.5, 0.5)
      progress_ax.axis('off')  # 축 숨기기
      
      # 진행 표시줄 레이블 추가
      start_label = progress_ax.text(-1, 0, 'Start: $t=0$', fontsize=10, ha='center')
      end_label = progress_ax.text(len(t_values)+1, 0, 'End: $t=2\pi$', fontsize=10, ha='center')
      
      # 애니메이션 프레임 업데이트
      def update_progress(frame):
          progress_bar[0].set_width(frame)  # 진행 표시줄 업데이트
          return progress_bar
      
      # 진행 표시줄 애니메이션
      ani_progress = FuncAnimation(fig, update_progress, frames=len(t_values), blit=False, repeat=False)
      
      plt.show()

       

      animation10.gif

      Attached file
      animation10.gif 594.6KB 17
      댓글
    • 댓글 입력
    • 에디터 전환
    댓글 쓰기 에디터 사용하기 닫기
    • view_headline 목록
    • 14px
    • 목록
      view_headline
    4
    × CLOSE
    전체 수학 64 확률통계 18 공학 13 물리학 2 화학 3 생물학 재무금융 10 기타 2
    기본 (0) 제목 날짜 수정 조회 댓글 추천 비추
    분류 정렬 검색
    등록된 글이 없습니다.
    by OrangeDay
    • 세상의 모든 계산기 수학, 과학, 공학 이야기
    • allcalc.org
    • 세모계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