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상의 모든 계산기 자유(질문) 게시판 일반 ()
[전기공사] 베란다에 노출 콘센트 추가하기
상황
1. 베란다에 콘센트가 설치되어 있지 않아, 노출 콘센트를 베란다 벽에 추가하려고 함.
2. 베란다 안쪽의 방 벽에 콘센트가 있음.
ㄴ 콘센트 내부에서 베란다 쪽으로 전선이 빠져나갈 구멍을 낼 수 있음.
정석 시공 방법
1. 시공 전 확인 사항
✅ 전기 차단: 분전반에서 해당 회로의 전원을 차단해야 함.
✅ 배선 가능 여부 확인: 기존 콘센트의 배선이 추가 콘센트에서 추가사용할 전력량을 감당할 수 있는지 확인.
✅ 배선 경로 결정: 벽면을 따라 배선을 할 것인지, 천장이나 바닥 몰딩을 활용할 것인지 검토.
2. 필요 자재 및 공구
📌 자재:
- 노출형 콘센트 박스
- 전선 (보통 2.5sq 단심 전선, 기존 배선과 동일 규격)
- 노출 배관 (CD관, 후렉시블 배관, 또는 몰드)
- 전선(배관) 고정용 클램프 (새들)
- 부싱 (CD관 끝부분 보호용)
- 콘센트 및 고정용 나사
📌 공구:
- 전선 스트리퍼
- 니퍼
- 드라이버
- 전동 드릴
- 멀티미터 (테스터기)
3. 시공 절차
1️⃣ 기존 콘센트 분해 및 전원 확인
- 분전반에서 해당 회로의 차단기를 내림.
- 멀티미터로 기존 콘센트에 전기가 흐르지 않는지 확인.
- 콘센트 커버를 제거하고 내부 전선을 확인.
2️⃣ 추가 콘센트 설치 위치 선정
- 벽면에서 적절한 위치(높이와 거리)를 정함.
- 노출형 콘센트 박스를 벽에 고정할 위치에 표시.
3️⃣ 배선 작업
- 기존 콘센트에서 전원선을 분기(병렬 연결)하여 추가 콘센트로 연결.
- 🔹 전선 연결 방식:
- 병렬 연결 (정석적인 방법)
- 기존 콘센트의 ‘L(라이브)’, ‘N(뉴트럴)’, ‘접지(G)’ 단자(쌍)에 추가 전선을 연결.
- 와이어 커넥터(WAGO) 사용 가능 (트위스트 후 절연 테이프 감기보다는 커넥터 사용 권장)
- 병렬 연결 (정석적인 방법)
- 🔹 전선 연결 방식:
- 배선을 보호하기 위해 CD관이나 몰드를 이용해 고정.
- 전선이 손상되지 않도록 벽면에 단단히 고정.
4️⃣ 콘센트 박스 및 배관 고정
- 추가할 노출 콘센트 박스를 벽면에 나사로 고정.
- 배관(몰드 또는 CD관)을 따라 전선이 안전하게 지나가도록 부싱을 설치.
- 전선을 추가 콘센트에 연결한 후, 콘센트 커버를 덮음.
5️⃣ 마무리 및 테스트
- 모든 연결부위를 다시 확인 후 단단히 고정되었는지 점검.
- 분전반에서 차단기를 올리고, 멀티미터로 전압 확인 (220V 정상 출력 확인).
- 테스트용 기기를 꽂아 정상 작동 여부 확인.
4. 추가 안전 사항
⚡ 전선 허용 전류 확인: 기존 콘센트 회로에 과부하가 걸리지 않도록 주의.
⚡ 접지 필수 확인: 접지선(G)이 올바르게 연결되었는지 점검.
⚡ 배관 보호: 노출 배관이 외부 환경(습기, 충격)에 강한 재질인지 확인.
이렇게 하면 정석적으로 베란다 바깥쪽에 콘센트를 추가할 수 있어. 🔧😊
댓글3
-
세상의모든계산기
전선 선택지는 여러 가지가 있어. 기존 배선과 추가할 콘센트의 부하(전류량), 설치 환경(실내/실외), 배선 방식(노출/매립)에 따라 적절한 전선을 선택해야 해.
1. 전선 종류별 선택지
① 단심 전선 (VS, H07V-U 등) – 기본 선택
✅ 2.5sq 단심 전선 (일반적인 콘센트 배선)
- 가장 일반적인 선택
- 강성이 있어 배관(몰드, CD관) 내 배선이 쉬움
- 20A 이하 부하에 적합
✅ 1.5sq 단심 전선 (소전력 기기용)
- 전류가 적게 필요한 경우(예: 조명, 소형 기기) 사용 가능
- 콘센트보다는 조명 배선에 더 적합
✅ 4sq 단심 전선 (고출력 기기 용도)
- 에어컨, 전열기구(온풍기, 히터) 등 고출력 기기를 연결할 경우
- 하지만 보통 일반 콘센트 추가에는 과한 선택
💡 단심 전선은 전선관(배관) 내 배선이 쉽고 깔끔하지만, 노출 배선에는 잘 사용되지 않음.
② 연선 (전기 코드처럼 유연한 다심 전선, H07V-R, H07V-K 등)
✅ 2.5sq 연선 (H07V-R / K)
- 구부리기 쉬워 작업성이 좋음
- 배관이 아닌 몰드나 케이블 트레이에 적합
- 단심보다 가격이 약간 높음
✅ 3C 연선 (L, N, 접지 포함된 3심 전선)
- 접지까지 포함된 3심 전선으로 추가 배선이 간편
- 노출 배선에 적합
💡 연선은 단심보다 유연해 배선이 쉽지만, 끝단 처리를 위해 압착단자를 사용하는 것이 좋음.
③ 시스 전선 (케이블 형태, VCT, VCTF, H05VV-F 등)
✅ VCTF 2.5sq × 3C (연질 비닐 코드)
- 플러그를 직접 연결해 이동식 콘센트 제작 가능
- 실내에서 노출 배선 시 깔끔함
✅ VVF 2.5sq × 2C / 3C (비닐절연 평행전선)
- 가정용 벽면 매립 배선에 주로 사용
- 단단해서 배관 없이 벽면 고정도 가능하지만, 노출 배선에는 잘 쓰지 않음
💡 시스 전선(VCTF, VVF 등)은 외부 보호층이 있어서 별도의 배관 없이 노출 배선 가능하지만, 인테리어적인 요소도 고려해야 함.
2. 시공 환경에 따른 추천
🔹 기본적인 배관 내 배선 →
2.5sq 단심 전선
(VS, H07V-U)
🔹 배관 없이 몰드 사용 →2.5sq 연선
(H07V-R / K)
🔹 완전한 노출 배선 →VCTF 2.5sq × 3C
(케이블 형태)
🔹 습기가 많은 환경(베란다 외부, 반옥외) →방수 케이블(VCT, H07RN-F 등)
결론
👉 일반적인 배관 내 배선이라면 2.5sq 단심 전선이 가장 정석적인 선택!
👉 유연한 배선이 필요하면 2.5sq 연선도 가능!
👉 몰드 없이 깔끔한 노출 배선을 원하면 **VCTF(코드형 전선)**을 고려해 볼 수 있음!💡 기존 배선 방식과 동일한 전선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안전한 방법이야! 🔧😊
-
세상의모든계산기
전선 연결 방식 세 가지(① 기존 콘센트 단자에 직접 연결, ② 와이어 커넥터 사용, ③ 전선 직접 연결 후 단자에 한 가닥만 연결)를 안전성과 허용 전류 관점에서 비교해 볼게.
1. 연결 방식별 개요
① 기존 콘센트 단자(쌍)에 추가 전선을 직접 연결
🔹 방법: 기존 콘센트의
L/N/G
단자(쌍)에 추가 전선을 함께 결선
🔹 특징:- 가장 직관적인 방법 (보통 콘센트 단자는 2가닥 정도 연결 가능)
- 추가 전선을 직접 연결하므로 접촉저항이 적음
- 단자에 허용된 전선 수 이상 연결하면 고정력이 약해져 접촉불량 위험
✅ 장점:
✔ 연결이 간단하고 추가 자재가 필요 없음
✔ 접점이 적어 전압 강하가 적고 신뢰성이 높음❌ 단점:
✖ 단자당 허용 가능한 전선 개수를 초과하면 접촉 불량 위험
✖ 전선이 단자에서 헐거워지면 과열 가능성 있음💡 사용 가능 조건: 콘센트 단자가 허용하는 범위(보통 2가닥) 내에서만 추가 연결하는 것이 안전함.
② 와이어 커넥터(WAGO) 사용
🔹 방법: 기존
L/N/G
에서 선을 따서 와이어 커넥터를 이용해 분기 후, 각각의 전선을 연결
🔹 특징:- 접촉 불량을 최소화하기 위해 스프링 압착 방식을 사용
- 다중 전선을 연결할 때 깔끔하고 유지보수 용이
✅ 장점:
✔ 접촉면이 균일하여 접촉저항이 낮음 → 발열 위험이 줄어듦
✔ 전선이 잘 풀리지 않아 안전함
✔ 유지보수가 쉬움❌ 단점:
✖ 추가 자재(커넥터)가 필요함
✖ 커넥터가 불량이거나 규격 미준수 시 접촉 불량 가능💡 사용 가능 조건: 여러 가닥을 연결할 경우 가장 안전한 방법이며, 특히 3개 이상 분기할 때 유리함.
③ 전선끼리 (트위스트+전기테이프) 직접 연결 후, 콘센트에는 1 가닥씩만 연결
🔹 방법: 기존
L/N/G
에서 추가 전선을 트위스트(꼬아서) 결선한 후, 한 가닥만 콘센트 단자에 연결
🔹 특징:- 전선 트위스트 후 납땜 또는 압착 단자를 사용하면 신뢰성 증가
- 직접 트위스트한 후 절연 테이프만 감으면 접촉 불량 가능성 있음
✅ 장점:
✔ 콘센트 단자에는 한 가닥만 들어가므로 고정력 높음
✔ 배선 정리가 깔끔함❌ 단점:
✖ 트위스트 후 절연이 잘못되면 접촉 불량 위험
✖ 트위스트 방식은 시간이 지나면서 느슨해질 수 있음
✖ 압착단자 없이 연결하면 접촉저항 증가로 발열 위험 있음💡 사용 가능 조건: 압착단자를 사용하거나 납땜하면 신뢰성이 높아지지만, 일반 가정 배선에서는 권장되지 않음.
2. 안전성과 허용 전류 비교
연결 방식 안전성 접촉 저항 허용 전류 영향 추천 여부 ① 기존 콘센트 단자(쌍)에 직접 연결 🔵 보통 (단자당 허용 전선 개수 준수 시) 🔵 낮음 🟢 영향 적음 (정격 유지됨) ✅ 추천 (2가닥 이하) ② 와이어 커넥터(WAGO) 사용 🟢 높음 (균일한 압착) 🟢 매우 낮음 🟢 영향 거의 없음 (정격 유지) ✅ 강력 추천 (3가닥 이상일 때) ③ 전선 트위스트 후 콘센트에 1가닥 연결 🟡 중간 (트위스트 상태에 따라 다름) 🟡 높을 수 있음 🔴 접촉 불량 시 과열 위험 ❌ 비추천 (압착 단자 없이 사용 시)
3. 결론 (가장 추천하는 방법)
✔ 가장 안전한 방법:
② 와이어 커넥터(WAGO) 사용
→ 여러 전선을 연결할 때 접촉 저항을 최소화하고 발열 위험이 적어 가장 추천!✔ 간단한 시공 방법:
① 기존 콘센트 단자에 직접 연결
→ 단자 허용 개수(보통 2가닥)를 초과하지 않는다면 문제 없음. 하지만 여러 가닥을 넣으면 접촉 불량 위험!❌ 비추천 방법:
③ 전선 트위스트 후 한 가닥만 연결
→ 트위스트만으로는 시간이 지나면서 느슨해질 가능성이 있고, 접촉 불량 시 발열 위험이 있음. 압착 단자 또는 납땜을 하지 않는다면 비추천!➡ 결론:
✅ 전선이 2가닥 이하라면 콘센트 단자에 직접 연결해도 괜찮음.
✅ 3가닥 이상이라면 WAGO 같은 와이어 커넥터를 쓰는 게 안전함!
✅ 트위스트 방식은 일반 가정 배선에서는 지양하는 게 좋음.💡 특히 전열기구(에어컨, 히터)를 연결하는 콘센트라면 접촉 불량으로 인한 발열이 위험할 수 있으니, 꼭 안전한 방법을 선택해야 해! 🔧😊
세상의모든계산기 님의 최근 댓글
예시11) 선형 연립방정식에서 답이 false 로 나올 때 https://allcalc.org/55823 2025 10.22 approx(참 해) 값이 이상하게 튀는 것 같아서 AI를 이용해 (python 으로) 구해보았습니다. * python 의 유효자릿수가 nspire 의 유효자릿수(14자리~15자리)보다 더 길기 때문에 시도하였습니다. ** 원래는 wolfram alpha 로 구해보려고 했는데, 울프람에서는 수식 길이가 너무 길다고 거부하는 바람에 포기하였습니다. 그 결과, AI approx(참 해) 값은 정상 범주에 포함되었고, 이는 solve()로 구한 대부분의 결과값과 유사하였습니다. 그럼 nspire 의 approx(참 해)는 왜 튀었나? 참 해에 더하기,빼기,곱하기,나누기 가 너무 많이 포함되어 있다보니, 모두 계산하고 나면 오차가 누적&증폭되어 버리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오히려 solve의 numeric 한 접근보다도 더 큰 오차가 발생한 듯 하고, 그래서 적절한 해의 x 구간을 벗어나버린 듯 합니다. 그것이 처음의 solve 에서 false 를 이끌어낸 주 원인이 아니었을까요? (추정) 2025 10.21 그래프로 확인 그래프 함수로 지정하고, 매우 좁은 구간으로 그래프를 확대해 보면 불연속적인 그래프 모습이 확인됩니다. 이것은 한계 digits(15자리) 이상을 처리하지 못하기 때문일 것이구요. 다만 특이한 점은, 그래프상으로 교점에 해당하는 구간이 73.049507058477≤x≤73.049507058484 사이로 나오는데 -> 이 구간은 'solve에서 여러 방법으로 직접 구해진 해들'은 포함되는 구간입니다. -> 하지만, '참값인 해를 계산기로 구한 appprox 값 x=73.049507058547'은 포함되지 않는 구간입니다. 2025 10.21 tns 파일 첨부 sol_num_vs_exact.tns 2025 10.21 검증하면 1번 식을 x에 대해 정리하고, → 그 x 값을 2번 식에 대입해 넣으면 → 그 결과로 x는 사라지고 y에 대한 식이 되니, y에 대해 정리하면 참값 y를 얻음. 얻은 y의 참값을 처음 x에 대해 정리한 1번식에 대입하면 참 값 x를 얻음. 구해진 참값의 근사값을 구하면 x=73.049507058547 and y=23.747548955927 참 값을 approx() 로 변환한 근사값은 원래 방정식 모두를 만족할 수 없지만, linsolve() 로 찾은 근사값과, AI로 참 값을 근사변환한 값은 원래 방정식 모두를 만족할 수 있습니다. 2025 1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