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EARCH

    통합검색
세모계
    • Dark Mode
    • GNB Always Open
    • GNB Height Maximize
    • Color
    • Brightness
    • SINCE 2015.01.19.
    • 세모계 세모계
    •   SEARCH
    • 세상의 모든 계산기
      • 자유(질문) 게시판
      • 계산기 뉴스/정보
      • 수학, 과학, 공학 이야기
      • 세모계 : 공지 게시판
        • 구글 맞춤검색
      • 세상의 모든 계산기
        • 자유(질문) 게시판
    • TI
    • CASIO
    • HP
    • SHARP
    • 일반(쌀집) 계산기
    • 기타계산기
    • by OrangeDay
  • 세상의 모든 계산기 자유(질문) 게시판
    • 세상의 모든 계산기 자유(질문) 게시판 일반
    • SMPS등 회로 수리시, 뻥 방지 전구(회로) (feat. Chatgpt and deepseek)

    • Profile
      • 세상의모든계산기
        *.40.137.167
      • 2025.02.09 - 17:58 2025.02.09 - 16:32  789  2

    뻥방지 전구(과전류 보호 전구)의 원리

     

    SMPS(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 장치) 등의 전기장비 수리 후 테스트할 때 뻥방지 전구를 사용하는 이유는, 수리된 회로에 단락(쇼트) 또는 과부하 문제가 있을 경우 전원 투입 시 즉시 퓨즈가 나가거나 부품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입니다.

     

    smps_Figure_1.png

    ㄴ 쇼트 등 비정상 상태라서 SMPS 저항값이 1옴일 때를 가정하면, SMPS에 과전류(220A)가 흐르게 됨.

    ㄴ 파라미터 V_source = 220  # 공급 전압 220V, R_normal = 1000  # 정상 SMPS 저항(Ω) 1k옴,  R_fault = 1     # 비정상 SMPS 저항(Ω)

    ㄴ 그래프는 단순 참고용으로, 실제 현실과 다릅니다. 

     

     

     

    원리 및 동작 방식

    1. 직렬 연결 방식

      • AC 입력 전원과 SMPS 회로 사이에 전구(백열전구)를 직렬로 연결합니다.
      • 만약 SMPS가 정상이라면, 전구는 거의 빛나지 않고 미세한 발열만 합니다.
      • 만약 쇼트(단락)나 과부하가 있다면, 전구의 필라멘트가 밝게 빛나며 SMPS로 흐르는 전류를 제한합니다.
    2. 전류 제한 역할

      • 뻥방지 전구는 전류가 지나치게 많아지면 저항이 급격히 증가하는 성질을 가집니다.
      • 백열전구의 필라멘트는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성질을 가지므로, 과전류가 흐르면 순간적으로 저항이 증가하여 전류를 제한합니다.
      • 결과적으로 퓨즈가 끊어지거나 부품이 폭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3. 이상 여부 판별

      • 전구가 꺼져 있다면 → 정상 동작 (SMPS가 부하를 정상적으로 공급)
      • 전구가 순간 깜빡이고 꺼짐 → 정상 (정류 콘덴서 충전 후 정상 동작)
      • 전구가 계속 켜져 있음 → 쇼트 가능성 높음 (SMPS 1차측에서 이상 발생)
      • 전구가 매우 밝게 빛남 → 심각한 쇼트 (전원 투입 시 과전류 상태)

     

    smps_Figure_2.png

    ㄴ 직렬 연결이기 때문에

    ㄴ 전압 : 전체 회로에 걸리는 전압은 220V = 전구에 걸리는 전압 + SMPS에 걸리는 전압

    ㄴ 전류 : 전구와 SMPS 회로에는 동일한 전류가 흐름. 

    ㄴ 그래프는 단순 참고용으로, 실제 현실과 다릅니다. 

     

     

    사용하는 전구의 종류

    • 일반적으로 100W~200W 백열전구를 사용합니다.
    • LED 전구는 이런 특성이 없기 때문에 사용할 수 없습니다.
    • 전구의 전력(W)이 높을수록 저항값이 낮아져 초기 테스트 시 주의해야 합니다.

     

     

    SMPS 수리 후 뻥방지 전구 테스트 절차

    1. SMPS의 1차측 입력선(AC 전원선)과 직렬로 백열전구를 연결
    2. 전원을 켜고 전구의 밝기를 확인
    3. 전구가 순간 깜빡이고 꺼지면 → 정상 작동
    4. 전구가 계속 밝게 켜지면 → 쇼트나 이상 부품 확인 필요
    5. 정상 작동을 확인한 후, 전구를 제거하고 직접 AC 입력 테스트 진행

     

     

    장점

    • 과전류로 인한 1차 회로 손상을 방지
    • 퓨즈가 연속적으로 끊어지는 것을 막음
    • 쇼트 여부를 빠르게 판단 가능
    • 간단한 부품(백열전구)만으로 테스트 가능

     

     

    한계점

    • 전구의 저항 특성상 일부 회로에서는 오작동할 가능성 있음
    • 고출력 SMPS 테스트 시 너무 낮은 전구 전력 사용 시 동작 불안정. (장비 정상이어도 전구에 불이 켜짐)
    • 전구를 지나친 의존하면 근본적인 수리 문제를 놓칠 수도 있음
    • 전구와 장비가 전압을 나눠 가지기 때문에 220V에서 정상 운영이 되는지 확인하려면 전구를 반드시 제거하고 테스트를 해야 정확함. 

     

     

    💡 결론:
    뻥방지 전구는 SMPS 수리 후 초기 테스트에 유용한 도구이며, 쇼트 및 과부하를 빠르게 진단하는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전구를 통한 테스트만으로 모든 문제가 해결되지는 않으므로, 이후 오실로스코프 및 멀티미터를 활용한 추가 점검이 필요합니다.

     

     

    import matplotlib.pyplot as plt
    import numpy as np
    
    # 한글 폰트 설정 (Windows 환경)
    plt.rc('font', family='Malgun Gothic')  # 맑은 고딕 사용
    plt.rc('axes', unicode_minus=False)  # 마이너스 기호 깨짐 방지
    
    # 공통 파라미터
    V_source = 220  # 공급 전압 220V
    R_normal = 1000  # 정상 SMPS 저항(Ω)
    R_fault = 1     # 비정상 SMPS 저항(Ω)
    R_bulb_normal = 50   # 정상 작동시 전구 저항(Ω)
    R_bulb_fault = 200   # 과전류시 전구 저항(Ω)
    
    # 시나리오 1: 뻥방지 전구 없을 때
    def scenario1():
        I_normal = V_source / R_normal
        I_fault = V_source / R_fault
        
        plt.figure(figsize=(10,6))
        bars = plt.bar(['정상 상태', '비정상 상태'], 
                     [I_normal, I_fault], 
                     color=['green', 'red'])
        
        plt.ylabel('전류 (A)', fontsize=12)
        plt.title('뻥방지 전구 없을 때 전류 비교', fontsize=14)
        plt.ylim(0, 25)
        
        # 주석 추가
        for bar, label, resistance in zip(bars, ['정상', '비정상'], [R_normal, R_fault]):
            height = bar.get_height()
            plt.text(bar.get_x() + bar.get_width()/2., height,
                    f'{height:.2f}A\nR={resistance}Ω',
                    ha='center', va='bottom')
        
        plt.grid(axis='y', linestyle='--')
        plt.show()
    
    # 시나리오 2: 뻥방지 전구 있을 때
    def scenario2():
        # 정상 상태 계산
        I_normal = V_source / (R_normal + R_bulb_normal)
        V_smps_normal = I_normal * R_normal
        V_bulb_normal = I_normal * R_bulb_normal
        
        # 비정상 상태 계산
        I_fault = V_source / (R_fault + R_bulb_fault)
        V_smps_fault = I_fault * R_fault
        V_bulb_fault = I_fault * R_bulb_fault
        
        # 그래프 생성
        fig, (ax1, ax2) = plt.subplots(1, 2, figsize=(14,6))
        
        # 전압 분배 비교 (스택형 막대 그래프)
        labels = ['정상', '비정상']
        smps_voltages = [V_smps_normal, V_smps_fault]
        bulb_voltages = [V_bulb_normal, V_bulb_fault]
        
        ax1.bar(labels, smps_voltages, color='blue', label='SMPS 전압')
        ax1.bar(labels, bulb_voltages, color='orange', bottom=smps_voltages, label='전구 전압')
        ax1.set_title('전압 분배 비교')
        ax1.set_ylabel('전압 (V)')
        ax1.legend()
        
        # 각 전압 수치 표시
        for i in range(len(labels)):
            ax1.text(i, smps_voltages[i] / 2, f'{smps_voltages[i]:.2f}V', ha='center', color='white', fontsize=10)
            ax1.text(i, smps_voltages[i] + bulb_voltages[i] / 2, f'{bulb_voltages[i]:.2f}V', ha='center', color='white', fontsize=10)
        
        # 전류 비교
        ax2.plot(labels, [I_normal, I_fault], 
                marker='o', linestyle='--', color='green')
        ax2.set_title('전류 흐름 비교')
        ax2.set_ylabel('전류 (A)')
        ax2.grid(True)
        
        # 전류 값 및 저항 값 표시
        for i, (val, resistance) in enumerate(zip([I_normal, I_fault], [(R_normal + R_bulb_normal), (R_fault + R_bulb_fault)])):
            ax2.text(i, val+0.05, f'{val:.2f}A\nR={resistance}Ω', ha='center')
        
        plt.suptitle('뻥방지 전구 있을 때 동작 특성', fontsize=14)
        plt.tight_layout()
        plt.show()
    
    # 그래프 생성
    scenario1()
    scenario2()

     

    0
    0
    Attached file
    smps_Figure_1.png 40.4KB 11smps_Figure_2.png 34.7KB 12smps_Figure_3.png 88.8KB 11
    이 게시물을..
    • 세상의모든계산기 세상의모든계산기 Lv. 25

      계산기는 거들 뿐
      혹은
      계산기를 거들 뿐

    • 방정식을 매트릭스로 변환하는 방법강사무관

     댓글 2

      • Profile
      • 세상의모든계산기 (*.40.137.167) 2025.02.09 16:32 #comment_53987

        https://youtu.be/23Gj5YGP-DQ?si=gc-w4aYJaOA-jFM4

         

         

        0
        댓글
      • Profile
      • 세상의모든계산기 (*.40.137.167) 2025.02.09 17:50 #comment_53997

        https://youtu.be/eoZolwpEz4E?si=plRmqgZtNfOjuSlP

         

         

        0
        댓글
    • 댓글 입력
    • 에디터 전환
    댓글 쓰기 에디터 사용하기 닫기
    • 목록 목록
    • 방정식을 매트릭스로 변환하는 방법
    • 목록
    2



    전체 일반 377 질문 495 웃김 2 팁 & 정보 16 퀴즈 2 리뷰 11 퍼옴 & 링크 6 공지 1
    기본 (916) 제목 날짜 최근 수정일 조회 수 댓글 수 추천 수 비추천 수
    • "회원 로그인/가입 버튼 어딨나요?"
      2024.09.13 - 18:54 392392
    • [필독] 사이트 운영원칙 & 게시판 이용시 주의사항 (주제 / 제목 / 질문글)
       1
      2015.03.31 - 11:21 396523  1
    • [필독] 계산기 질문글 작성시 주의사항! (부제 : 바람직한 질문글 작성 요령)
       2
      2015.03.01 - 08:58 218733  2
    • 916 질문   TI NSPIRE CX CAS에서 극한값 오류 문의 드립니다.
    • 조니 2025.07.30 - 21:46  224 2
    • 안녕하세요. 세모계님 오랫만에 문의 드립니다. 다름 아니라 극한값 오류가 있어서 문의 드립니다. 간단한 식인데 극한 값을 못 찾네요. 그래프로 그려보니 플러스 무한대는 1 마이너스 무한대는 0인데 말이지요. 답변 가능하시면 풀이 부탁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915 질문   SHARP EL-5500X 계산기로 회귀직선식 구할때 수치오류가 뜹니다ㅜㅜ
    • 살려주세요 2025.07.27 - 18:07  222 1
    • 안녕하세요 바화기를 준비중인 학생입니다 bradford 준비를 위해서 공학용 계산기로 회귀직선식을 구하는법을 공부중에 있는데요 gpt를 통해서 mode>1)stat>1)a+bx>x>(x,y)>y를 차례대로 수행후 change를 누르고 alpha를 누른뒤 stat을 누르면 a,b,r값을 구할 수 있음을 알게 되었습니다. 문제는 엑셀을 통해서 구해본 값과 수치가 다릅니다. 바화기 작업형 후기에서 나온 그래프와 엑셀의 값은 일치하는데 공학용 계산기 값은 달라요 왜 이런지 알려주실 분을 구합니다.. 입력한 변수 값은 동일합니다 x: 0.02,0.04,0.06 y: 0.155,0.305,0...
    • 914 질문   샤프 EL-5500X 계산기에서 1차방정식....
    • 브루스 페인 2025.07.23 - 10:27  284 4
    • 건축설비기사 자격증을 준비중인대, 카시오 계산기 관련 유투버등 동영상은 많은대 샤프계산기는 정말 찾기 힘들고.. 간단한 1차 방정식인데도 편하게 설명해주는곳이 없어서 질문드립니다. 문1) 10(22-14)=X(22-(-10)) 에서 X값 구하는 경로 좀 알려주세요! 문2) (1/2.5)=(1/3.13)+(X/1.17) 에서 X값 구하는 경로... SOLVE 기능 사용하는데도 제가 해보니 엉뚱한 답이 나와서 문의 드립니다.. 고수님들 부탁 좀 드릴께요!!
    • 913 일반   Tetration, Power Tower Function 을 이용한 프렉탈 패턴 찾기 #mytetration
    • 세상의모든계산기 2024.05.25 - 18:33  2413 7
    • 관련 프로젝트 링크 https://github.com/DMTPARK/mytetration https://github.com/creeras/mytetration/tree/main/cuda https://tetration.org/original/Tetration/index.html 1. 테트레이션 Tetration 거듭제곱을 거듭하여 만들어지는 연산 --> 0차? 연산, 다음수, a' = a+1 --> 1차 연산, 덧셈, a+n = a+1+1+1+1+......+1 --> 2차 연산, 곱셈=덧셈을 거듭, a*n = a+a+a+a+......+a --> 3차 연산, 거듭제곱=곱셈을 거듭, ana^n = a*a*a*a*......*a --> 4차 연산, 거듭제곱을 거듭, an^n a = a^a^a^a^...^a (왼쪽에서 오른쪽 연산? 오른쪽...
    • 912 일반   시티즌 CT-600
    • 황금장신구 2025.07.01 - 14:58  343 1  1
    •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시티즌 CT-600입니다 산식체크기능이 있습니다. 아마 ct-500부터 적용된 기능으로 압니다. 현역으로 사용중입니다.
    • 911 질문   샤프 공학계산기 EL5100TS
    • 유니유니 2025.06.20 - 16:54  422 1
    • 계산기로 이식을 구할려고 하는데 사용법을 몰라서 부탁드립니다.
    • 910 질문   [TI-Nspire] 질문 delvar 변수 삭제시 오류 cannot accept change: invalid input
    • 크롱 2025.06.15 - 17:10  581 3
    • 안녕하세요 제가 새로운 calculator와 spreadsheet을 만들고 여러 함수들을 저장해 사용하고 있었는데 spreadsheet에 있는 값들고 var 안에 저장이 되더라구요. spreadsheet에 의해 저장된 값들은 없애고 싶은데 따로 방법이 없나요? delete Var을 해도 삭제가 되지 않습니다. 감사합니다.
    • 909 질문   Overwrite
    • 린 2025.06.13 - 13:57  481 1
    • 새로운 파일을 만들고 저장하는과정에서 같은 폴더에 저장했더니 overwrite가 떴고 yes를 눌렀더니 기존 폴더에있는게 모두 없어져버렸어요.. 복구할수있는방법이 없을까요? 다시입력하기엔 시간이없습니다..제발..
    • 908 질문   ti cx cas 새 폴더 만드는 방법
    • 신 2025.06.10 - 20:36  534 2
    • 혹시 My Documents 폴더 안에서 새로운 폴더를 만들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 907 질문   FX-570ES 질문드립니다.
    • 짜방 2025.06.10 - 01:25  574 1
    • 옛날 20년 전에 학교다닐때, 계산기에 모드인지, 쉬프트 모드 인지, 어디로 들어가서 몇번 누르면 [ ] <<이런게 뜨면서 01 누르고 들어가서 메모할 숫자나 공식 써두고, 02들어가서 또 하고 쭉쭉 섰었는데. 무슨 기능인지 생각이 안나는데 알수 있을까요?ㅠ
    • 906 질문   TI nspire cx cas 소프트웨어로 이미지 삽입할 때의 이미지 크기 문의
    • TI 2025.06.07 - 15:28  322
    • 전에 소프트웨어를 "Student 버전 무료 체험"으로 사용했었을 때는, 컴퓨터 화면을 스크린샷해서 ti 문서에 삽입했을 때 사진크기가 크게 삽입이 되었는데, 이번엔 "Teacher버전 무료 체험"으로 사용중인데, 똑같이 스크린샷해서 문서에 삽입해도 사진 크기가 훨씬 작게 삽입되어서, 일일이 사진크기를 드래그해서 키워줘야 되네요 ㅠㅠ 혹시 이런 차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사진을 더 크게 삽입되게 하기) 아니면, 사진을 마우스로 드래그해서 키우는 방법말고 단축키로 사진크기를 키우는 방법도 있으려나용
    • 905 질문   TI NSPIRE CX CAS에서 삼각함수를 TAYLOR 급수 말고 삼각함수의 급수로 표현이 가능할까요?
    • 조니 2025.05.21 - 20:17  1014 2
    • 안녕하세요. 세모계님 예를 들어서 SIN(X)를 TAYLOR 급수나 SERIES로 표현을 하는 것은 알고 있는데요 SIN 함수를 삼각함수의 합으로 표현이 가능할까요? 예를 들면 SIN(X)는 SIN(X)/2 + SIN(3*X)/3 + .... 이런 식으로 표현이 가능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TAYLOR 급수말고 삼각함수의 급수로도 표현이 가능한지 문의를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904 질문   Nspire
    • 김용환 2025.06.04 - 09:08  634 6
    • 안녕하세요. 이번에 nspire 계산기를 새로 샀습니다. 설정은 아무것도 안 만지고, degree만 rec으로 바꾸고, 10<30도를 입력하면, 제가 원하는 건 a+bi 형식으로 나오게 하고싶은데, 안되네요.. 또한 반대로 a+bi를 넣으면 20<30도 이런식으로 나오게 하고싶은데 설정 법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또한 angle을 바꾼다는 건 제가 각이 들어가는 곳에 라디안을 넣을지 도를 넣을지 결정하는 건가요? 계산기가 예를 들어 arcsin(x)면 x에는 각이 아닌 값이 들어가야 한다는 걸 안다는건지...궁금하네요
    • 903 질문   nspire 스프레드 시트 질문
    • 크롱 2025.06.04 - 02:22  594 3  1
    • 안녕하세요 TI nspire cx2를 사용중인데 스프레드 시트에서 다음 식에서 c열을 값을 순서대로 넣어서 normal cdf 값을 구하려고 하는데 Argument mismatch Two or more arguments must be of the same type 라고 계속 오류가 뜹니다. a[]/41 같이 단순한 식은 되는데 복잡한 식이라 계산이 되지 않는 걸까요? 해결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ㅠㅠ
    • 902 질문   nspire 계산기 극좌표 관련 질문입니다.
    • 김용환 2025.06.03 - 19:09  694 3
    • Radian으로 설정 후, 3+2j를 한 후, ->polar를 하면, e^j[(2/파이)-arctan(2/3)] 이런식으로 나옵니다.. 저 뒷부분의 아크탄젠트 부분도 파이로 나오게 할 수 없나요?
    • 901 질문   fx 570es plus 모델을 구입하였는데요.
    • 안녕하세요 2025.05.30 - 20:50  506 4
    • 안녕하세요. fx570es plus 모델을 구입했는데 지수에 미지수가 들어간 방정식은 풀지 못하는건가요?
    • 900 질문   fx570es plus 지수 입력할 때
    • 안녕하세요 2025.05.31 - 19:02  430 1
    • 안녕하세요. 만약 2의 3제곱을 입력하고 싶다고 가정하면 2 누르고 지수 버튼 누르고 3을 누르잖아요. 그런데 여기서 3을 누르면 바로 지수 입력 칸에서 벗어나지는게 아니라 화살표 ➡️ 버튼을 눌러야 일반 입력으로 돌아오더라고요. 지수에 숫자 하나 누르면 바로 일반 입력으로 됐으면 좋겠는데 그러한 세팅은 없는걸까요?
    • 899 질문   라플라스 계산오류
    • 형 2025.05.30 - 00:51  397 1
    • 여기서 어떤게 잘못된거인지 모르겠습니다 답은 첫번째인데 두번째로 했을때는 왜 이상하게 나오나요? 즉 둘의 어떤 차이로 이런 결과값이 다르게 나오나요
    • 898 질문   방정식을 매트릭스로 변환하는 방법
    • 강사무관 2025.05.24 - 13:31  378 3
    • 안녕하세요 전에도 도움받았습니다만 어디 물어볼 데가 없어 다시 찾아왔습니다 ㅎㅎ (1) 4S1*P-(5S1-2S2)*BL=0 (2) 2S2*P-(6S2-S1)*BL=0 이 두 방정식을 고유치문제로 (A*X=0) 푸려고 합니다 여기서 두 방정식을 행렬형태로 변환하고싶은데, 방정식을 S1, S2의 계수행렬인 A로 변환하는 기능은 없을까요? 문제풀다가 손으로 행렬변환 하다보면 실수하는 일이 잦아서 궁금해졌습니다.
    • 897 일반   라플라스 변환 숫자 이상
    • 형 2025.05.23 - 01:52  378 3
    • 해당 사진에서 라플라스변환했을때 16/s+12/s+0.6이 나오게 간편하게 만들고 싶은데 방법없을까요?
    1 2 3 4 5 6 7 8 9 10
    • 글쓰기
    • 세상의 모든 계산기 자유(질문) 게시판
    • 세상의모든계산기
    • 사업자등록번호 703-91-02181
    • 세모계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