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상의 모든 계산기 자유(질문) 게시판 질문 ()
번식에 따른 개체수의 계산 (feat. 피보나치 토끼)
지식인에서 수학(?)문제를 봤는데 채택된 답변이 틀린 것 같아서 한번 올려 봅니다.
링크 : http://kin.naver.com/qna/detail.nhn?d1id=11&dirId=1113&docId=287076963
1. 어떠한 한쌍이 3달에 한 번 2마리를 꾸준히 낳는다.
댓글6
-
세상의모든계산기
여기서 주의해야 할 점 (가정)
1. 새끼를 낳을 수 있는 성체가 되기 위해서는 1년간 성장이 필요하다.
(태어난 직후, 생후 3개월차, 6개월차, 9개월차는 임신이 불가능)2. 태어나는 새끼는 암/수 정확히 1:1 의 비율을 유지한다? (홀수일 때 빼고)
3. 성체 개체수가 홀수일 때, 짝이 맞지 않는 1마리는 임신이 불가능 (암/수 구별없이)
4. 3년동안 (죽는 등의 이유로) 없어지지 않는다.
5. 태아는 개체수로 세지 않는다.
-
세상의모든계산기
ㄴ 프로그램 코드 일부 발췌
첫번째 열이 초기시점(month_0)의 개체수 (단위:쌍)
ㄴ 위에서부터 차례대로 성체(an) / 9개월차(bn) / 6개월차(cn) / 3개월차(dn) / 0개월차(en)
ㄴ 성체는 12개월 이상 모든 개체두번째 열은 3개월 후. 그 다음열은 그로부터 3개월 후...
-
세상의모든계산기
A(n)=A(n-1)+B(n-1)
B(n)=C(n-1)
C(n)=D(n-1)
D(n)=E(n-1)
E(n)=int(A(n-1))*(nb/2)그러면 이렇게 되나?
A(n)=A(n-1) + E(n-4) = A(n-1) + int(A(n-5))*(nb/2)
Sn = A(n) + B(n) + C(n) + D(n) + E(n)
= A(n-1) + int(A(n-5))*(nb/2) + int(A(n-4))*(nb/2) + int(A(n-3))*(nb/2) + int(A(n-2))*(nb/2) + int(A(n-1))*(nb/2)
= A(n-1) + (nb/2)* {int(A(n-5)) + int(A(n-4)) + int(A(n-3)) + int(A(n-2)) + int(A(n-1))}피보나치 비슷한(펜타나치?) 꼴이긴 한데... 딱 떨어지지 않아서 어렵네요.
-
-
세상의모든계산기
오리지널 피보나치 토끼
차이점 : 처음에 미성숙 토끼 1쌍으로 시작
세상의모든계산기 님의 최근 댓글
[TI-nspire] Error: Domain Error https://allcalc.org/52070 Degree -> Radian 2025 10.07 참고 https://allcalc.org/52065 TI NSPIRE CX CAS 복소수 관련 문제 문의 드립니다. 2025 09.28 Rectangular 설정시 ▶Polar 2025 09.28 Real or Cpmplex Format : Polar 설정시 2025 09.28 비교 AC-68U[ ID] Interval Transfer Bandwidth[ 4] 0.00-10.00 sec 475 MBytes 398 Mbits/sec sender[ 4] 0.00-10.00 sec 475 MBytes 398 Mbits/sec receiver 2025 09.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