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상의 모든 계산기 자유(질문) 게시판 팁 & 정보 ()
[수리] 마우스 버튼 스위치 교체 (옴론 차이나 to 옴론 저팬)
사용중인 마우스는 RAZER Naga HEX 입니다. 번갈아가면서 쓴 것 같아서 정확한 기간을 말씀드리긴 어렵겠습니다만, 대략적으로는 2~3년 정도는 넘은 듯 합니다. 2~3년이라고는 해도, 평균적인 사용자에 비한다면 실 사용량은 많은 편에 속할 듯 합니다.
그런데 얼마 전부터 우클릭을 길게 할 때 클릭이 풀리면서 더블클릭되는 증상이 있었습니다. 버튼 스위치를 분해하여 닦아도 보았으나 별 차도를 보이진 않았습니다. 임시방편으로 마우스 하단의 나사를 약간 풀어준다거나 하는 식으로 조절을 하여 사용해 왔는데요, 그래도 가끔 한번씩은 증상이 나타났습니다.
부품을 갈아줄 생각으로 부속은 한달 전쯤에 구입하였는데, 차일피일 미루다가 오늘에서야 교체를 하였습니다.
<교체 전>
기존 부품이 옴론 차이나(D2FC-F-7N, 15Z2C41) 이고 갈아줄 부품이 옴론 저팬(D2F-01F, 1956RAE) 입니다.
저는 개당 1400원 주고 구입하였는데, 10개 이상 구매하면 더 저렴하고, 잘 찾아보시면 1000원 이하로 파는 곳도 있을 겁니다.
교체 도구 : 전기인두, 실납, 납 흡입기
<교체 후>
교체 직후 좌/우 클릭이 전혀 되지 않아 놀랐지만, 밑면의 나사의 조여짐 정도를 조절하여 문제를 해결 했습니다.
(옴론 차이나보다) 옴론 저팬의 버튼 높이가 더 높아서 흔히 발생할 수 있는 문제라고 합니다.
잠깐 사용해 본 소감은, 기존(옴론 차이나)에 비해 클릭이 묵직해졌다는 것입니다. 인터넷을 보니 압력이 조금 더 높아서 경우에 따라 더 안좋을 수도 있다고 합니다. 저는 느낌의 차이가 있을 뿐 불편함이 동반되어 호/불호를 가를 정도는 아니라고 생각하지만, FPS게임과 같이 빠르고 많은 클릭을 지속적으로 해야 하는 경우라면 손가락 피로를 가져올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좀 더 사용해 보고 불편한 점이 느껴진다면 댓글을 달아놓겠습니다.
세상의모든계산기 님의 최근 댓글
예시11) 선형 연립방정식에서 답이 false 로 나올 때 https://allcalc.org/55823 2025 10.22 approx(참 해) 값이 이상하게 튀는 것 같아서 AI를 이용해 (python 으로) 구해보았습니다. * python 의 유효자릿수가 nspire 의 유효자릿수(14자리~15자리)보다 더 길기 때문에 시도하였습니다. ** 원래는 wolfram alpha 로 구해보려고 했는데, 울프람에서는 수식 길이가 너무 길다고 거부하는 바람에 포기하였습니다. 그 결과, AI approx(참 해) 값은 정상 범주에 포함되었고, 이는 solve()로 구한 대부분의 결과값과 유사하였습니다. 그럼 nspire 의 approx(참 해)는 왜 튀었나? 참 해에 더하기,빼기,곱하기,나누기 가 너무 많이 포함되어 있다보니, 모두 계산하고 나면 오차가 누적&증폭되어 버리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오히려 solve의 numeric 한 접근보다도 더 큰 오차가 발생한 듯 하고, 그래서 적절한 해의 x 구간을 벗어나버린 듯 합니다. 그것이 처음의 solve 에서 false 를 이끌어낸 주 원인이 아니었을까요? (추정) 2025 10.21 그래프로 확인 그래프 함수로 지정하고, 매우 좁은 구간으로 그래프를 확대해 보면 불연속적인 그래프 모습이 확인됩니다. 이것은 한계 digits(15자리) 이상을 처리하지 못하기 때문일 것이구요. 다만 특이한 점은, 그래프상으로 교점에 해당하는 구간이 73.049507058477≤x≤73.049507058484 사이로 나오는데 -> 이 구간은 'solve에서 여러 방법으로 직접 구해진 해들'은 포함되는 구간입니다. -> 하지만, '참값인 해를 계산기로 구한 appprox 값 x=73.049507058547'은 포함되지 않는 구간입니다. 2025 10.21 tns 파일 첨부 sol_num_vs_exact.tns 2025 10.21 검증하면 1번 식을 x에 대해 정리하고, → 그 x 값을 2번 식에 대입해 넣으면 → 그 결과로 x는 사라지고 y에 대한 식이 되니, y에 대해 정리하면 참값 y를 얻음. 얻은 y의 참값을 처음 x에 대해 정리한 1번식에 대입하면 참 값 x를 얻음. 구해진 참값의 근사값을 구하면 x=73.049507058547 and y=23.747548955927 참 값을 approx() 로 변환한 근사값은 원래 방정식 모두를 만족할 수 없지만, linsolve() 로 찾은 근사값과, AI로 참 값을 근사변환한 값은 원래 방정식 모두를 만족할 수 있습니다. 2025 1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