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상의 모든 계산기 자유(질문) 게시판 리뷰 ()
[벤치마크] SANDISK microSDHC UHS-1 Card 16GB (2015년형)
1. 제품 정보
SANDISK 사의 microSDHC 메모리 카드 입니다. 용량은 16GB (윈도우10에서 인식되는 사용 가능한 공간은 14.8GiB) 이구요. 2015년형으로 포장지에 SPEED up to 48 MB/s** 320x 라고 적혀 있습니다.
2. 벤치마크 결과
[N3010 노트북 리더기]
-----------------------------------------------------------------------
CrystalDiskMark 5.1.2 x64 (C) 2007-2016 hiyohiyo
Crystal Dew World : http://crystalmark.info/
-----------------------------------------------------------------------
* MB/s = 1,000,000 bytes/s [SATA/600 = 600,000,000 bytes/s]
* KB = 1000 bytes, KiB = 1024 bytes
Sequential Read (Q= 32,T= 1) : 19.791 MB/s
Sequential Write (Q= 32,T= 1) : 17.824 MB/s
Random Read 4KiB (Q= 32,T= 1) : 4.049 MB/s [ 988.5 IOPS]
Random Write 4KiB (Q= 32,T= 1) : 1.839 MB/s [ 449.0 IOPS]
Sequential Read (T= 1) : 19.502 MB/s
Sequential Write (T= 1) : 17.196 MB/s
Random Read 4KiB (Q= 1,T= 1) : 3.419 MB/s [ 834.7 IOPS]
Random Write 4KiB (Q= 1,T= 1) : 1.548 MB/s [ 377.9 IOPS]
Test : 1024 MiB [E: 0.0% (0.0/14.8 GiB)] (x5) [Interval=5 sec]
Date : 2016/07/29 15:56:07
OS : Windows 10 [10.0 Build 10586] (x64)
[Transcend Multi-Card Reader M3 - USB 2.0]
-----------------------------------------------------------------------
CrystalDiskMark 5.1.2 x64 (C) 2007-2016 hiyohiyo
Crystal Dew World : http://crystalmark.info/
-----------------------------------------------------------------------
* MB/s = 1,000,000 bytes/s [SATA/600 = 600,000,000 bytes/s]
* KB = 1000 bytes, KiB = 1024 bytes
Sequential Read (Q= 32,T= 1) : 19.189 MB/s
Sequential Write (Q= 32,T= 1) : 17.012 MB/s
Random Read 4KiB (Q= 32,T= 1) : 4.244 MB/s [ 1036.1 IOPS]
Random Write 4KiB (Q= 32,T= 1) : 2.300 MB/s [ 561.5 IOPS]
Sequential Read (T= 1) : 18.873 MB/s
Sequential Write (T= 1) : 15.307 MB/s
Random Read 4KiB (Q= 1,T= 1) : 3.371 MB/s [ 823.0 IOPS]
Random Write 4KiB (Q= 1,T= 1) : 2.126 MB/s [ 519.0 IOPS]
Test : 1024 MiB [G: 0.0% (0.0/14.8 GiB)] (x5) [Interval=5 sec]
Date : 2016/07/29 15:45:01
OS : Windows 10 [10.0 Build 10586] (x64)
[한성 노트북 BA45 3217 내장 리더기]
-----------------------------------------------------------------------
CrystalDiskMark 5.1.2 x64 (C) 2007-2016 hiyohiyo
Crystal Dew World : http://crystalmark.info/
-----------------------------------------------------------------------
* MB/s = 1,000,000 bytes/s [SATA/600 = 600,000,000 bytes/s]
* KB = 1000 bytes, KiB = 1024 bytes
Sequential Read (Q= 32,T= 1) : 25.086 MB/s
Sequential Write (Q= 32,T= 1) : 17.787 MB/s
Random Read 4KiB (Q= 32,T= 1) : 4.812 MB/s [ 1174.8 IOPS]
Random Write 4KiB (Q= 32,T= 1) : 2.049 MB/s [ 500.2 IOPS]
Sequential Read (T= 1) : 27.264 MB/s
Sequential Write (T= 1) : 19.293 MB/s
Random Read 4KiB (Q= 1,T= 1) : 4.083 MB/s [ 996.8 IOPS]
Random Write 4KiB (Q= 1,T= 1) : 1.621 MB/s [ 395.8 IOPS]
Test : 1024 MiB [] (x5) [Interval=5 sec]
Date : 2016/07/29 16:12:54
OS : Windows 10 [10.0 Build 10586] (x64)
세 리더기 모두에서 표기상 속도 48MB/s 는 나오지 않았습니다. 아무래도 USB 3.0 전용 리더기를 써야 해당 속도를 확인할 수 있을 듯 합니다.
댓글1
-
세상의모든계산기2016.07.29 - 17:40 #18588
NTFS 방식으로 포맷한 후에도 결과는 비슷합니다.
[N3010 - 내장Reader]
-----------------------------------------------------------------------
CrystalDiskMark 5.1.2 x64 (C) 2007-2016 hiyohiyo
Crystal Dew World : http://crystalmark.info/
-----------------------------------------------------------------------
* MB/s = 1,000,000 bytes/s [SATA/600 = 600,000,000 bytes/s]
* KB = 1000 bytes, KiB = 1024 bytesSequential Read (Q= 32,T= 1) : 19.815 MB/s
Sequential Write (Q= 32,T= 1) : 17.380 MB/s
Random Read 4KiB (Q= 32,T= 1) : 3.701 MB/s [ 903.6 IOPS]
Random Write 4KiB (Q= 32,T= 1) : 1.831 MB/s [ 447.0 IOPS]
Sequential Read (T= 1) : 19.714 MB/s
Sequential Write (T= 1) : 17.406 MB/s
Random Read 4KiB (Q= 1,T= 1) : 3.461 MB/s [ 845.0 IOPS]
Random Write 4KiB (Q= 1,T= 1) : 1.727 MB/s [ 421.6 IOPS]Test : 1024 MiB [E: 0.3% (0.0/14.8 GiB)] (x5) [Interval=5 sec]
Date : 2016/07/29 17:37:48
OS : Windows 10 [10.0 Build 10586] (x64)
세상의모든계산기 님의 최근 댓글
예시11) 선형 연립방정식에서 답이 false 로 나올 때 https://allcalc.org/55823 2025 10.22 approx(참 해) 값이 이상하게 튀는 것 같아서 AI를 이용해 (python 으로) 구해보았습니다. * python 의 유효자릿수가 nspire 의 유효자릿수(14자리~15자리)보다 더 길기 때문에 시도하였습니다. ** 원래는 wolfram alpha 로 구해보려고 했는데, 울프람에서는 수식 길이가 너무 길다고 거부하는 바람에 포기하였습니다. 그 결과, AI approx(참 해) 값은 정상 범주에 포함되었고, 이는 solve()로 구한 대부분의 결과값과 유사하였습니다. 그럼 nspire 의 approx(참 해)는 왜 튀었나? 참 해에 더하기,빼기,곱하기,나누기 가 너무 많이 포함되어 있다보니, 모두 계산하고 나면 오차가 누적&증폭되어 버리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오히려 solve의 numeric 한 접근보다도 더 큰 오차가 발생한 듯 하고, 그래서 적절한 해의 x 구간을 벗어나버린 듯 합니다. 그것이 처음의 solve 에서 false 를 이끌어낸 주 원인이 아니었을까요? (추정) 2025 10.21 그래프로 확인 그래프 함수로 지정하고, 매우 좁은 구간으로 그래프를 확대해 보면 불연속적인 그래프 모습이 확인됩니다. 이것은 한계 digits(15자리) 이상을 처리하지 못하기 때문일 것이구요. 다만 특이한 점은, 그래프상으로 교점에 해당하는 구간이 73.049507058477≤x≤73.049507058484 사이로 나오는데 -> 이 구간은 'solve에서 여러 방법으로 직접 구해진 해들'은 포함되는 구간입니다. -> 하지만, '참값인 해를 계산기로 구한 appprox 값 x=73.049507058547'은 포함되지 않는 구간입니다. 2025 10.21 tns 파일 첨부 sol_num_vs_exact.tns 2025 10.21 검증하면 1번 식을 x에 대해 정리하고, → 그 x 값을 2번 식에 대입해 넣으면 → 그 결과로 x는 사라지고 y에 대한 식이 되니, y에 대해 정리하면 참값 y를 얻음. 얻은 y의 참값을 처음 x에 대해 정리한 1번식에 대입하면 참 값 x를 얻음. 구해진 참값의 근사값을 구하면 x=73.049507058547 and y=23.747548955927 참 값을 approx() 로 변환한 근사값은 원래 방정식 모두를 만족할 수 없지만, linsolve() 로 찾은 근사값과, AI로 참 값을 근사변환한 값은 원래 방정식 모두를 만족할 수 있습니다. 2025 1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