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상의 모든 계산기 자유(질문) 게시판 퍼옴 & 링크 ()
위기십결(圍棋十訣) : 바둑 십계명 (<월간바둑>지 93년 4월호 발췌)
본문 출처 : http://service.tygem.com/pub/baduk/baduk_commonsense1_linkfile.html
바둑을 둘 때 항상 마음에 새기고 있어야 할 10가지 교훈, 즉 '바둑을 잘 두기 위한 10가지 비결' 혹은 '바둑의 십계명'이라고 보면 되겠습니다. 지금까지는 중국 당나라 때의 시인이자 당현종의 '기대조(棋待詔;황제의바둑 상대역을 맡는 벼슬의 일종)를 지냈던 바둑 고수 왕적신(王積薪)이이 위기십결의 저자로 알려져 있으나, 대만학자의 "송나라 때 유중보(劉仲甫)의 작품"이라는 새로운 학설이 제기됨으로써 현재 위기십결의 원작자가 누구냐하는 문제는 한중일 바둑사 연구가들의 과제로 남아있습니다.
1.부득탐승(不得貪勝)
너무 이기려고 욕심을 부려서는 안되는 것이니 바둑의 원리대로 두어라. 이기려는 마음이 지나치게 클 때 바둑실력도 그에 따라 상승하게 되면 참으로 좋겠습니다만 오히려 승리에만 목적이 있다면 오히려 자신의 실력 이하의 실수나 착각이 속출하는 것이 바둑입니다. '부득탐승'은 한편으로는 '반전무인'과 통하는 말로서 쉽게 말하자면 '어깨에 힘을 빼고 바둑을 두라'는 말로 이해하시면 될 것입니다. '큰승부에 명국없다'는 말도 '부득탐승'의 경구가 잘 실천되지 않기 때문에 나온다고 합니다.
2. 입계의완(入計宜緩)
적의 세력권(경계)에 들어갈 때는 무모하게 서둘거나 깊이 들어가지 마라. 누구나 남의 집은 커보이는 법입니다. 침입을 할 것인지 삭감을 할 것인지, 아니면 자신의 세력을 키울 것인지의 판단은 모두 '형세판단'에 따르는 것입니다. 그래서 입신인 프로9단들은 '형세판단은 감각,수읽기,전투력 등 각자가 지닌 기량의 총체적 표현'이라고 말합니다. 또한 기성 오청원9단은 '바둑은 조화'라고 했습니다. '입계의완'은 조화,중용,타협,절충,인내 등등을 한데 묶어 한 마디로 압축해서 표현한 말이라고도 볼 수 있겠습니다.
3. 공피고아(功彼顧我)
적을 공격할 때는 나의 능력 여부와 결점 유무 등을 먼저 살펴야 한다. 즉, 상대방의 공격에 앞서 스스로를 돌아 봐야 하며, 나에게 약점은 없는지 혹은 상대로부터 반격을 당할 여지는 없는지 등을 일단 확인한 후에 공격을 하라는 가르침입니다.
4. 기자쟁선(棄子爭先)
돌 몇 점을 희생하더라도 선수를 잡는 것이 중요하다. '하수는 돌을 아끼고 상수는 돌을 버린다'는 속담이 있듯이 이는 사석작전-버림돌 작전의 중요성을 갈파한 말이라고 하겠습니다. 또한 '기자쟁선'은 요석과 폐석을 잘 구분하라는 가르침을 포함하고 있는데, 소임을 다한 돌은 다소 돌의 수가 많더라도 가치가 적은 것이고, 비록 한 점이라도 상대방을 끊고 있는 돌이라든지 근거에 관련된 돌은 죽여서는 안되는 것입니다. 사석작전의 대가로는 조치훈9단과 중국의 섭위평9단 등이 특히 뛰어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5. 사소취대(捨小取大)
눈앞에 작은 이득을 탐내지 말고 大勢상의 요소를 취하라. 보기에는 쉽지만 막상 바둑판을 앞에 두고있으면 생각대로 되지 않는 것이 바둑입니다. 작은 이익은 눈 앞에 쉽게 보이고 큰 이익은 멀리 있어 잘 보이지 않는 경우가 많은 때문입니다. 이럴 때 냉정하게 미래를 내다 보고 작은 이익들을 과감히 먼저 포기하기란 정말이지 너무나도 어려운 일입니다.
6. 봉위수기(逢危須棄)
위험에 처할 경우에는 모름지기 버리던가 또는 시기가 올 때가지 보류하라. 곤마가 생기지 않도록 하는 것이 최상책입니다만, 바둑을 두다 보면 피차 곤마가 하나 둘 혹은 그 이상이 얽혀있는 경우가 다반사입니다. 살아가는 길이 있을 때는 마땅히 살려하 하지만, 도저히 살릴 가망이 없다면, 혹은 살더라도 여기저기서 그 삶의 대가를 지나치게 크게 지불해야 할 때에는 미련을 두지 말고 과감히 버리는 것이 차선책이 되는 경우가 드물지 않습니다. 그 결단의 시기는 빠를수록 좋겠지요.
7. 신물경속(愼勿輕速)
바둑을 경솔하게 빨리 두지 말고 한수 한수를 신중히 생각하면서 두어라. 감각을 훈련하는 데에는 속기로 많은 판을 두는 것도 한 방법이 되지만, 실제 대국에서는 무작정 빨리 두는 것이 능사는 아닙니다. 지나치게 빠른 속기는 필수불가결하게 착각과 실수를 동반하기 때문입니다. 최소한 자신이 둔 한수 한수 마다의 의미를 되새기면서 착수하는 습관을 가지도록 고수들은 충고하고 있습니다.
8. 동수상응(動須相應)
행마를 할 때는 모름지기 기착점들이 서로 연관되게, 호응을 하면서 이끌어 가는 방향으로 행마를 전개하라. 이미 착수되어진 돌들의 역할은 시시떄떄로 바뀌어 갑니다. 그래서 바둑은 살아 움직이는 유기체와 같다고들 하는 것입니다. 이 말의 깊은 뜻을 잘 음미하시고, 그 의미를 이해하신다면 어느덧 고수의 반열에 오르시게 될 것입니다.
9. 피강자보(彼强自保)
주위의 적이 강한 경우에는 우선 내 돌을 먼저 보살려라. 형세가 다소 불리하다고 해서 상대진영이 강한 곳에서 마구 뛰어들어 간다거나 내 돌의 약점이 많은 곳에서 무모한 싸움을 벌이는 것은 패국으로 가는 지름길입니다.
10. 세고취화(勢孤取和)
상대 세력 속에서 고립되어 있는 경우에는 신속히 안정하는 길을 찾아라. 피강자보와 같은 말로서 일단 승리를 위해서는 순간의 굴욕이나 웅크림은 참고 넘어가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 될 수도 있답니다.
원저작자 위기십결(圍棋十訣)의 원작자는 과연 누구인가?
부득탐승(不得貪勝), 사소취대(捨小取大), 세고취화(勢孤取和) 등 바둑의 불멸의 금언으로 통하는 위기십결의 원작자는 당(唐)대의 왕적신(王積薪)이 아니라 송(宋)대의 유중보(劉中甫)라는 주장이 새롭게 대두되면서 국제적으로 일어나고 있어 화제가 되고 있다.
지금까지 위기십결은 당대의 시인으로 현종의 기대소를 지낸 명수 왕전신이 지었다는 것이 한국뿐만 아니라 중국 일본 등 국제적인 정설로 인정되어 왔다. 중국의 경우 바둑사적인 '중국위기' 등에 '위기십결'의 원작자로 왕적신을 적고 있으며, 일본의 경우 기타니(木谷實) 九단등이 지은 '바둑의 연구' 등 대부분의 바둑출판물에서 왕적신설을 인정하고 있다. 이 왕적신 설을 부인하고 나선 사람은 대만의 바둑연구가 주밍위엔(朱銘源, 중국교육성 바둑편찬위원)씨이다.
주씨는 지난해 7월부터 10여 차례에 걸쳐 한국의 바둑문화연구가 이승우(李承雨, 충북운수연수원장)씨에게 편지를 통해 유중보설을 강력히 제기하였다. 주씨가 유중보설을 주장하게 된 것은 이승우 씨가 '청석기담(靑石棋談)'에서 왕적신을 '위기십결'의 원작자로 적은 것을 문제삼은 것. 이에 이승우씨는 즉각 일본의 바둑평론가 나카야마(中山琠之) 六단에게 확인을 요청하면서 위기십결의 원작자논쟁이 국제적으로 일기시작하였다.
주씨기 이승우 씨에게 보낸서신에서 밝힌 바에 의하면 현재 '위기십결'의 원작자가 왕적신이라고 적은 문헌은 명대 유중달(劉仲達)의 '유씨홍서(劉氏鴻書)'가 유일한데 여기서는 뚜렷한 근거없이 위기십결은 왕적신이 지었다고 한다. 이에 근거하여 송나라시대의 역사를 기술한 명(明)대의 '예문지(藝文誌)' 등에서 왕적신설을 차용했으며, 그 이후 한국 중국 일본은 '예문지'의 권위를 믿고 아무런 검증 과정을 거치지 않고 위기십결의 저자를 왕적신으로 인정했다는 것이다.
그러나 같은 명대의 진요문(陣耀文)이 지은 '천중기(天中記)'를 비롯해서 항세방(項世芳)이 지은 '옥국구현(玉局勾玄)',그리고 '사고전서(四庫全書)' 중 '추선유보(秋仙遺譜)' 편 등에서는 위기십결의 저자가 유중보임을 명확히 밝히고 있다. 이중에서 특히 '사고전서'는 중국의 역대서적을 총망라, 집대성한 문헌으로 권위와 신빙성이 높은 자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동양 각국에 왕적신설을 널리 유포된 것은 왕적신의 명성이 워낙 높아 일본의 바둑전문가들이 사료의 고증없이 무비판적으로 이를 수용했기 때문이라고 주씨는 해석하고 있다. 이에 대해 일본의 나카야마 六단은 "위기십결의 원작자가 왕적신이 아니라는 주씨의 주장에는 동감이나 유중보가 지었다고 단정하기는 어렵다. 조금 더 고증을 해 봐야겠다."며 유중보설에 대해서는 신중론을 펴고 있다. 또한 이승우씨는 "주씨의 자료는 신빙성이 높으려 논리의 일관성이 있다."라며 유중보설에 긍정적이 반응을 보이고 있다.
한편 이승우 씨는 제3자적 입장에서 중국측의 견해를 듣고자 현재 중국의 상해위기월간사에 확인을 요청하고 있다. 이에 따라 위기십결의 원작자 논쟁은 한국과 대만 그리고 일본에서 중국까지 바둑문화권으로 확산, 가열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이와 같은 논쟁을 두고 바둑계에서는 '사실의 확인과 함께 이를 계기로 바둑문화의 체계적 정립도 아울러 필요한 시점에 와 있다.'며 그 추이에 깊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월간바둑>지 93년 4월호 발췌
세상의모든계산기 님의 최근 댓글
수치해석 방법 method 를 강제로 선택할 수 있으면 좋을텐데... 위의 스샷을 보면 되는 듯 하면서도 아래 스샷을 보면 안되는 것 같기도 합니다. solve(Expr,[Var]) csolve(LstEq,LstVar) nSolve(Expr,Var,[Guess or Interval],[Method]) deSolve(Eq,[TimeVar],FncVar) linsolve(LstLinEq,LstVar) fsolve(Expr,Var,[Guess or Interval],[Method]) 2025 10.17 종합해서 답변을 드리면 HP Prime 에 solve 에서 변수명에 구간을 입력하면 수치해석 방식으로 bisection 을 사용함. 이 bisection 방식은 해의 좌-우 부호가 서로 바뀌어야만 해를 인식하고 해의 좌-우 부호가 같으면 해를 인식하지 못합니다. 이 때문에 본문 sin 의 예나 아래 사진의 예에서는 해를 인식하지 못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2025 10.17 Gemini-2.5-pro 답변 ✦ 현대 컴퓨터 대수 시스템(CAS) 계산기에 탑재된 solve 기능의 일반적인 내부 동작 원리에 대해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현대 CAS의 solve 기능은 단순히 하나의 알고리즘으로 작동하는 것이 아니라, 마치 '순수 수학자'와 '문제 해결 공학자'가 협력하는 것처럼, 여러 단계에 걸친 정교한 '하이브리드(Hybrid)' 방식으로 동작합니다. solve 함수의 작동 과정 1단계: 기호적 해법 (Symbolic Solver) - '순수 수학자'의 접근 계산기는 가장 먼저 방정식을 대수적으로, 즉 정확한 수학적 해를 찾으려고 시도합니다. 이 단계는 마치 사람이 공식을 이용해 문제를 푸는 과정과 같습니다. 1. 방정식 분석: solve 명령을 받으면, 시스템은 먼저 입력된 방정식의 구조를 분석합니다. (예: 이것이 다항식인가? 삼각방정식인가? 로그방정식인가?) 2. 규칙 기반 풀이: 분석된 구조에 따라, 시스템은 내장된 방대한 수학 규칙 라이브러리를 적용합니다. * 선형/이차 방정식: ax+b=c 나 ax²+bx+c=0 같은 형태는 이항, 인수분해, 근의 공식 등을 이용해 즉시 풉니다. * 고차 다항식: 인수분해, 조립제법 등의 규칙을 적용하여 유리수 해를 찾습니다. * 삼각방정식: sin(x) = 0.5 와 같은 경우, x = nπ + (-1)ⁿ * (π/6) 와 같이 주기성을 고려한 일반해 공식을 적용합니다. * 기타: 로그, 지수 법칙 등 해당 방정식에 맞는 대수적 풀이법을 총동원합니다. 3. 결과: 이 단계에서 해를 찾으면, 1.414... 와 같은 근사값이 아닌 √2 나 π/3 와 같은 정확한 기호 형태의 해를 반환합니다. > 강점: 수학적으로 완벽하고 정확한 해를 제공합니다. > 한계: 대수적인 풀이법이 알려져 있지 않은 방정식(예: cos(x) = x 또는 eˣ = x+2)은 풀 수 없습니다. --- 2단계: 수치적 해법 (Numerical Solver) - '문제 해결 공학자'의 접근 만약 1단계의 '순수 수학자'가 "이건 공식으로 풀 수 없어"라고 결론 내리면, solve 기능은 포기하지 않고 2단계인 '문제 해결 공학자'에게 문제를 넘깁니다. 이 단계의 목표는 정확한 해는 아니더라도, 매우 정밀한 근사해를 찾는 것입니다. 1. 반복적 탐색: 수치적 해법은 방정식을 직접 푸는 것이 아니라, 해가 있을 만한 지점에서부터 시작하여 반복적인 계산을 통해 해에 점점 더 가까워지는 방식을 사용합니다. * 적당한 값을 추측해서 대입해 봅니다. * 결과가 0보다 큰지 작은지에 따라, 다음 추측값을 어느 방향으로 수정할지 결정합니다. * 이 과정을 수없이 반복하여 오차가 거의 0에 가까워질 때까지 해를 좁혀나갑니다. 2. 핵심 알고리즘: 이때 사용되는 대표적인 알고리즘은 다음과 같습니다. * 뉴턴-랩슨법 (Newton-Raphson Method): 미분(접선)을 이용하여 매우 빠른 속도로 해에 수렴하는 강력한 방법입니다. * 이분법 (Bisection Method): 해가 존재하는 특정 구간을 계속 절반으로 나누어 범위를 좁혀나가는 방식으로, 속도는 느리지만 안정적으로 해를 찾을 수 있습니다. 3. 결과: 이 단계가 성공하면, 시스템은 0.739085133215 와 같이 소수점 아래 여러 자리까지 표현되는 매우 정밀한 부동소수점 형태의 근사해를 반환합니다. > 강점: 대수적으로 풀 수 없는 복잡한 방정식의 해도 근사적으로 찾아낼 수 있습니다. > 한계: 근사해이며, 알고리즘의 특성상 특정 조건(예: 해가 중근을 갖는 경우)에서는 해를 찾지 못하고 실패할 수도 있습니다. 결론: 왜 하이브리드 방식인가? 분석 → 기호적 풀이 시도 → (실패 또는 불가능 시) → 수치적 풀이로 전환 이처럼 현대 CAS의 solve 기능은 정확성(기호적 해법)과 범용성(수치적 해법)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기 위해 설계된 정교한 협력 시스템입니다. 먼저 가장 이상적인 '정확한 해'를 추구하되, 그것이 불가능할 경우 차선책으로 '정밀한 근사해'라도 찾아내어 사용자에게 최대한의 결과를 제공하는 것입니다. 2025 10.17 hp prime 이 solve 함수에서 해를 찾는데 어떤 방법(method)을 사용하는지 공식적인 무서로 정확하게 파악되진 않습니다. 2025 10.17 참고 x=guess 는 iterative 방식(일반적으로는 newton's method를 의미함)을 x=xmin .. xmax 는 bisection 방식을 사용하는 듯 합니다. // 구간지정 개념과는 차이가 있는 듯? 2025 1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