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상의 모든 계산기 자유(질문) 게시판 일반 ()
세월호 침몰, 진짜 원인이 밝혀지나? - 세월호 행적의 재구성(파파이스 감상문)
그동안 파파이스를 빼놓지 않고 보았다. 다른 볼만한 이유도 없지 않았으나, 무엇보다도 눈길이 갔던 것은 '미친 김감독'이라는 분이 나와서 말하는 세월호 관련 다큐멘터리 제작관련한 소식이었다.
그동안의 주장 중에서도 일부는 그럴듯 했지만, 일부는 이해가 잘 되지 않기도 했었는데, 오늘 마무리하는 내용을 보니까 아귀가 맞아가는 느낌이 확실하게 든다.
그 중에서 가정이 필요한 부분을 제외하고 일단 확실해 보이는 것을 정리해 본다.
1. 세월호 행적
- 사고당일 세월호의 행적은, 사고 원인 파악에 있어 가장 중요한 정보에 속한다.
- 세월호의 행적을 입증할 수 있는 DATA로는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다.
ⓐ 세월호 내부에서 외부(VTS)로 내보내는 AIS 위치 정보
ⓑ 세월호 외부에서 측정하는 각종 레이더 정보 (<가> 둘라에이스 레이더 정보, <나> 해군 레이더 정보)
ⓒ 세월호 탑승 승객의 스마트폰에서 측정한 GPS 위치 정보 (단, 갑판에 나와 있을 것 & GPS 위치를 기록하도록 설정되어 있을 것. 스마트폰 구글계정으로 로그인하고 https://www.google.com/maps/timeline 페이지에서 확인)
ⓓ 인공위성 사진 (국내건 해외건 간에 위성중에 찍힌 것이 있지 않을까? 예시링크, 구름 때문에 안보였을까?)
- 수집한 '2'의 여러 DATA 사이에 오차범위 밖의(=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경우, 문제가 있는 DATA를 제외시키고 행적을 파악하여야 한다. 그리고 추가로 차이가 발생한 원인을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 정부의 세월호 사고 조사에서 세월호 행적은 2-ⓐ 와 2-ⓑ 를 기반으로 작성되었다고 보임.
"해양수산부 산하 기관인 해양안전심판원은 지난 8월 진도 VTS의 유지보수 업체인 GCSC에 참사 당일 세월호의 레이더 항적을 분석해줄 것을 요청했다. GCSC는 한 달여의 분석 작업을 거친 항적자료를 지난달 해양심판원에 전달했다. 이 자료는 세월호의 레이더 항적을 기본으로 하고 AIS 항적과의 오차를 보정해 새로운 항적값을 뽑아내는 방식으로 만들어졌다." - 출처 뉴스타파 http://newstapa.org/19839
2-ⓐ의 문제점
- 데이터 누락 구간이 있음.
"해수부가 세월호 항적도 분석을 통해 지난 4월16일 오전 8시48분 37초에서 49분 13초 사이 36초 동안 세월호 AIS가 꺼져 항적이 복원되지 못했다고 주장하고 있는 것" - 뉴시스 기사 中
- 처음에는 없던 자료가 나중에 '복원'되었다며 새로 나타남 - 신빙성 있나?
"그러나 해양안전심판원이 사고 직후 진도VTS에서 제출받은 세월호 AIS 자료에는 해수부가 복원했다는 구간의 위치정보가 없는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 출처 국민TV http://news.kukmin.tv/news/articleView.html?idxno=5572
"새정치민주연합 김현미 의원은 해수부 소속기관인 해양안전심판원이 사고 직후인 16일 밤, 진도 VTS의 AIS를 확보한 사실을 확인했습니다. 해양안전심판원이 확보한 AIS 정보에는 8시 47분 35초부터 52분 30초까지, 4분 55초 동안의 기록이 없습니다." - 출처 국민TV http://news.kukmin.tv/news/articleView.html?idxno=5572
└ 같은 자료를 분석했는데, 처음에 없던 자료가 나중에는 나타났다? (사진 출처 : NEWS K)
- 둘라 에이스에서도 세월호 AIS가 보이지 않는 시점에 진도 VTS에는 AIS 정보가 있다?
"선박에서 자신의 위치를 전송하는 시스템인 AIS 신호가 세월호 사고 전후 꺼져있었다는 증언과 실제 정부 발표 AIS 데이터엔 켜져 있는 것으로 나타난 것도 검증 대상이다. 사고현장에 가장 먼저 도착한 문예식 둘라에이스 선장은 8시50분 세월호의 AIS가 꺼져있었다고 CNN과 인터뷰에서 밝혔다. 문 선장은 9시7분 구조요청을 받았을 때도 세월호 AIS가 꺼져있었다고 JTBC 탐사플러스에서 증언한 바 있다. 진도VTS 교신파일을 보면, 세월호 선원이 “저희가 육안으로 확인하는데 AIS를 볼 수 없는 상황인데 본선 선수에 있는 빨간 탱커 같은데 선명이 뭡니까”라고 교신한 것으로도 나와 있다. 자신이 AIS를 끄면 상대편 배의 선박 이름도 시스템에서 사라진다. 9시28분 드래곤에이스 선에서도 “세월호 AIS가 사라졌습니다. 침몰된 것 같습니다”라고 교신했다. 문제는 해수부 발표 항적 데이터엔 정작 이 시간대(8시50분 이후, 9시7분 이후, 9시28분대, 9시46분대)에 AIS가 모두 켜져 있었다는 것이다." 출처 미디어투데이 http://www.media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26729
2-ⓑ 의 문제점
- 2-ⓐ 와 항적이 불일치
'영점 오차'로 이해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 오차의 문제로 이해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면 'ⓐ 와 ⓑ둘 중 하나 아니면 ⓐ 와 ⓑ 둘 다' 조작되었음을 입증하는 것이다. 둘 중에 어느 것이 맞는지 해결하지 않고서는 항로 해석의 자료로 그 어떤 것도 사용할 수 없다. 그리고 둘 중 어느 것이 맞는지 어느 것이 틀린 것인지는 자료와 비교자료를 충분하게 가진자의 입장에서는 입증하기 비교적 쉬운 문제에 속한다. - 레이더에도 누락 구간이 있다? (혹은 있었다?)
일부러 지우지 않고서야??
2. '미친 김감독' 주장
김감독 왈 '해군 레이더상 나타난 위치를 그대로 SHIFTING 시켜서 병풍도 쪽으로 옮겨 봤더니'
- 병풍도 해저지형과 놀랄만큼 유사한 싱크로율을 보인다.
- 옮긴 후의 해군 레이더 위치좌표는, '둘라 에이스' 선장님이 세월호 사고 당일 현장에서 무선송신한 위치, 메모한 기록과 일치함. 옮기기 전 해군 레이더와, AIS상 위치좌표는 둘 다 일치하지 않음.
- 세월호가 (해군 레이더상, 그리고 복원된 AIS상) 급격하게 좌회전한 이유를 명확하게 설명할 수 있음.
(공식적인 항해기록, 선원들 증언에 의하면 좌회전은 있지도 않았고 있을 수도 없음)
3. 결론
- 정부에서 세월호 항적을 추적하는데 사용한 데이터는 '오염'되어 있을 가능성이 굉장히 높다고 볼 수 있어 결론도 믿을 수가 없음. 애시당초 문제가 있는 데이터들을 오차 수정이랍시고 짬뽕시켜서 결론을 내려서는 안됨.
- 미친 김감독의 주장에 상당한 신빙성이 있어 보이므로, 사실관계를 보다 명확하게 파악할 필요가 있음.
아직은 "이동시켜 보면"이라는 가정에 기반하고 있으므로, "이동시켜야 하는 절대적 이유"를 제시하여야 함. - 세월호 탑승자의 스마트폰 중에서 "GPS 위치 추적 기능"을 켜놓고 서버와 Sync시켜 데이터를 저장만 해 두었다면(참고 http://ccami.tistory.com/39), 바로 결론을 찾을 수 있을 것도 같음.
댓글9
-
세상의모든계산기
구글 안드로이드폰의 경우 '위치 기록 서비스'는 Default 켜짐이었던 것 같은데, 예전에 한번 이슈가 되고 꺼짐으로 바뀌었을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만약에 그렇다면 기록이 없을 가능성이 높겠네요. 일부러 켜는 경우는 드물테니까요.
만약 핸드폰 소유자가 돌아가신 경우라면, 확인을 위해 구글 ID 로그인이 필요할텐데... 그것이 어려울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
세상의모든계산기
2008년 한국어업기술학회지(Bulletin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Vol.44 No.3 pp.229-238 부산항에서 ARPA 레이더와 AIS에 의한 통항선박의 실시간 위치추적
Real-time position tracking of traffic ships by ARPA radar and AIS in Busan Harbor, Korea
이대재
Dae Jae Lee부경대학교 해양생산시스템관리학부
Division of Marine Production System Management, Pukyong National University
우리나라 부산항 VTS 관제구역을 통항하는 선박을 대상으로 ARPA 레이더에 의한 타선의 추적정보와 AIS에 의한 타선의 동적 정보를 상호 비교, 분석함으로써 이들 두 시스템에 대한 선박의 위치, 침로, 방위, 거리, 속력 등의 차이를 정량적으로 평가, 고찰하였다. 먼저 조사대상선박(MMSI 515347000)에 대한 ARPA 레이더와 AIS에 의한 추적정보를 토대로 이들 두 시스템에 의한 거리, 침로, 속력 등의 오차 범위를 산출하였다. 그 결과, 거리오차 범위는 -0.19nm-(+)0.19nm, 평균 거리오차는 0.1034nm로써, 그 추적거리의 오차율은 2.06%이었다. 침로오차의 범위는 -3.01°-(+)2.63°, 평균 침로오차는 0.018°로써, 추적침로의 오차율은 0.049%이었다. 속력오차의 범위는 -0.91-(+)0.94knots, 평균 속력오차는 -0.11knots로써, 추적속력의 오차율은 0.93%이었다. 또한, 추적대상 선박이 부산항 VTS 관제구역에서 직선 항로상을 gyro heading 41.4°, COG 37.2°, SOG 11.7knots로써 항주할 때, AIS 위치를 기준으로 추정한 ARPA 레이더 위치의 평균 편위량은 68.8m이었다. 이들의 결과로부터 외부의 주변장치에서 AIS의 VHF 통신망을 통해 ROT, COG, SOG 및 HDG 등의 정보가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경우, 현재 추적 중인 선박에 대한 미래의 통항상태를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AIS에 의해 실시간으로 제공되는 ROT 정보를 고려하여 radar tracking algorithm을 개발하면 추적 선박의 통항상태를 실시간으로 예측 가능하기 때문에 선교 당직자의 충돌회피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판된된다. 본 연구의 성과는 한척의 같은 선박임에도 불구하고, 당해 선박에 대한 ARPA 레이더 및 AIS의 추적정보가 서로 일치하지 않은 관계로 ECDIS나 ARPA 레이더 화면상에 마치 서로 다른 두 척의 선박이 존재하는 것처럼 나타나는 현상을 해결하기 위한 ARPA 레이더와 AIS 표적의 통합화(consolidation)의 기준을 설정하는 데 필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판단한다.(이 논문의 결론부분임)출처 : http://kosfic.chonnam.ac.kr/~haeyang/nori/korea_journal/journal_display.html?j_num=044-0003-014&j_cd=106120&upcount=1
-
세상의모든계산기
2-ⓐ 해수부 3차발표 2-ⓐ' 진도VTS 복원자료 2-ⓑ 해군 레이더 사이의 거리 비교
- 08:30:20 기준 809m~810m
(해군 레이더상 맹골도 앞바다에서 좌현 급변침이 일어난 직후) - 08:44:30 기준 248m
(김감독이 말하는 병풍도 진입하면서 급격하게 항로가 꺽인 시점)
경위도 좌표로 거리 계산하는 사이트 : http://www.movable-type.co.uk/scripts/latlong-vincenty.html#direct
- 08:30:20 기준 809m~810m
-
세상의모든계산기
1. A, B(혹은 A', B) 두 점 사이의 거리차이가 일정하지 않고 줄어들었다.
2. 810m 의 차이가 난다는 것도 굉장히 이상한데, 그 차이가 550m 나 줄어들었다는 것은 더 이상하게 보인다.
3. 해군 레이더의 점들과 AIS 의 점들이 정상적으로 찍혔다고 하면, 그 패턴으로 볼 때 99.999999999999%의 확률로! 같은 대상일 수 없다.
4. "적어도 둘 중 하나는 확실하게! 조작되었다" 혹은 "(둘 다 조작된 것이 아니라면) 적어도 둘 중 하나의 장치는 어떤 이유로든지 위치의 정확도를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를 생성하지 못한다" 라고 결론내릴 수 있다. 어떤 결론이든 DATA 둘 중 하나는 버려져야만 한다.
5. "DATA 둘 중 하나에 조작내지는 기기결함 등의 문제가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은 AIS DATA 로 보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판단된다.
-
세상의모든계산기
닻 문제라고 하기에는 닻이 너무 멀쩡해 보입니다.
그 큰 배를 한쪽으로 기울어뜨릴 정도의 힘이 반대편으로 작용하려면 닻이나 체인에 엄청난 힘이 작용했을 것이고, 그 힘에 저항하는 흔적이 남았을 것 같은데, 그런 흔적으로 볼만한 것이 눈에 띄지 않습니다.
- 닻 체인이 끊어지지 않고 매달려 있음. (사고를 일으키고나서 다시 닻을 감아 올렸다?)
- 닻 끝부분에 변형이 보이지 않음.
- 닻이 오르내리는 입구부분의 변형이 보이지 않음.
선체에 (앵커 체인에 의해) 긁힌 흔적이 보이지 않음.(다시 생각해 보니 이건 없는게 맞는 것 같습니다.)
-
세상의모든계산기
'자로'님의 sewolX 다큐멘터리를 본 이후 "사고 전후의 세월호 AIS 데이터 전체를 조작되었다고 의심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결론에 다다르게 되었습니다.'AIS 데이터 조작'이라는 결론을 내기 위해서는 논리적 비약이 필요했던 것이 사실입니다. 조작을 하기 위해서 있지도 않은 AIS 데이터를 생성해서 날려야 하기도 하고... AIS 데이터가 저장되는 서버를 해킹해서 데이터를 고쳐야 하기도 하고... 항해중 닻을 내려서 배를 침몰시킬 수 있다는 황당한 주장을 펼쳐야 하기도 하고...그에 비해 원래 AIS 시스템이 좀 허접하고, AIS 데이터 충돌/오류가 빈번하게 발생한다는 것을 인정하고 나면 많은 것들이 순조롭게 이해될 수 있습니다. 그러고 보면 뭔가 아귀가 맞는 느낌이 납니다. 물론 의심이 있는 상황에서는 그냥 넘겨버릴 수만은 없겠습니다만...미친 김감독님이 "AIS 조작" 을 파헤치는 데 상당히 많은 공을 들이신 걸로 아는데, 인정할 부분은 인정하고, 인정하지 못하는 부분은 공론화시켜 해소하는 작업을 하셔야 할 듯 합니다. 스스로의 판단만으로 결론을 내리려고 하셔셔는 안될 것 같습니다. 지금이야말로 용기가 필요한 때라고 봅니다.
세상의모든계산기 님의 최근 댓글
수치해석 방법 method 를 강제로 선택할 수 있으면 좋을텐데... 위의 스샷을 보면 되는 듯 하면서도 아래 스샷을 보면 안되는 것 같기도 합니다. solve(Expr,[Var]) csolve(LstEq,LstVar) nSolve(Expr,Var,[Guess or Interval],[Method]) deSolve(Eq,[TimeVar],FncVar) linsolve(LstLinEq,LstVar) fsolve(Expr,Var,[Guess or Interval],[Method]) 2025 10.17 종합해서 답변을 드리면 HP Prime 에 solve 에서 변수명에 구간을 입력하면 수치해석 방식으로 bisection 을 사용함. 이 bisection 방식은 해의 좌-우 부호가 서로 바뀌어야만 해를 인식하고 해의 좌-우 부호가 같으면 해를 인식하지 못합니다. 이 때문에 본문 sin 의 예나 아래 사진의 예에서는 해를 인식하지 못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2025 10.17 Gemini-2.5-pro 답변 ✦ 현대 컴퓨터 대수 시스템(CAS) 계산기에 탑재된 solve 기능의 일반적인 내부 동작 원리에 대해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현대 CAS의 solve 기능은 단순히 하나의 알고리즘으로 작동하는 것이 아니라, 마치 '순수 수학자'와 '문제 해결 공학자'가 협력하는 것처럼, 여러 단계에 걸친 정교한 '하이브리드(Hybrid)' 방식으로 동작합니다. solve 함수의 작동 과정 1단계: 기호적 해법 (Symbolic Solver) - '순수 수학자'의 접근 계산기는 가장 먼저 방정식을 대수적으로, 즉 정확한 수학적 해를 찾으려고 시도합니다. 이 단계는 마치 사람이 공식을 이용해 문제를 푸는 과정과 같습니다. 1. 방정식 분석: solve 명령을 받으면, 시스템은 먼저 입력된 방정식의 구조를 분석합니다. (예: 이것이 다항식인가? 삼각방정식인가? 로그방정식인가?) 2. 규칙 기반 풀이: 분석된 구조에 따라, 시스템은 내장된 방대한 수학 규칙 라이브러리를 적용합니다. * 선형/이차 방정식: ax+b=c 나 ax²+bx+c=0 같은 형태는 이항, 인수분해, 근의 공식 등을 이용해 즉시 풉니다. * 고차 다항식: 인수분해, 조립제법 등의 규칙을 적용하여 유리수 해를 찾습니다. * 삼각방정식: sin(x) = 0.5 와 같은 경우, x = nπ + (-1)ⁿ * (π/6) 와 같이 주기성을 고려한 일반해 공식을 적용합니다. * 기타: 로그, 지수 법칙 등 해당 방정식에 맞는 대수적 풀이법을 총동원합니다. 3. 결과: 이 단계에서 해를 찾으면, 1.414... 와 같은 근사값이 아닌 √2 나 π/3 와 같은 정확한 기호 형태의 해를 반환합니다. > 강점: 수학적으로 완벽하고 정확한 해를 제공합니다. > 한계: 대수적인 풀이법이 알려져 있지 않은 방정식(예: cos(x) = x 또는 eˣ = x+2)은 풀 수 없습니다. --- 2단계: 수치적 해법 (Numerical Solver) - '문제 해결 공학자'의 접근 만약 1단계의 '순수 수학자'가 "이건 공식으로 풀 수 없어"라고 결론 내리면, solve 기능은 포기하지 않고 2단계인 '문제 해결 공학자'에게 문제를 넘깁니다. 이 단계의 목표는 정확한 해는 아니더라도, 매우 정밀한 근사해를 찾는 것입니다. 1. 반복적 탐색: 수치적 해법은 방정식을 직접 푸는 것이 아니라, 해가 있을 만한 지점에서부터 시작하여 반복적인 계산을 통해 해에 점점 더 가까워지는 방식을 사용합니다. * 적당한 값을 추측해서 대입해 봅니다. * 결과가 0보다 큰지 작은지에 따라, 다음 추측값을 어느 방향으로 수정할지 결정합니다. * 이 과정을 수없이 반복하여 오차가 거의 0에 가까워질 때까지 해를 좁혀나갑니다. 2. 핵심 알고리즘: 이때 사용되는 대표적인 알고리즘은 다음과 같습니다. * 뉴턴-랩슨법 (Newton-Raphson Method): 미분(접선)을 이용하여 매우 빠른 속도로 해에 수렴하는 강력한 방법입니다. * 이분법 (Bisection Method): 해가 존재하는 특정 구간을 계속 절반으로 나누어 범위를 좁혀나가는 방식으로, 속도는 느리지만 안정적으로 해를 찾을 수 있습니다. 3. 결과: 이 단계가 성공하면, 시스템은 0.739085133215 와 같이 소수점 아래 여러 자리까지 표현되는 매우 정밀한 부동소수점 형태의 근사해를 반환합니다. > 강점: 대수적으로 풀 수 없는 복잡한 방정식의 해도 근사적으로 찾아낼 수 있습니다. > 한계: 근사해이며, 알고리즘의 특성상 특정 조건(예: 해가 중근을 갖는 경우)에서는 해를 찾지 못하고 실패할 수도 있습니다. 결론: 왜 하이브리드 방식인가? 분석 → 기호적 풀이 시도 → (실패 또는 불가능 시) → 수치적 풀이로 전환 이처럼 현대 CAS의 solve 기능은 정확성(기호적 해법)과 범용성(수치적 해법)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기 위해 설계된 정교한 협력 시스템입니다. 먼저 가장 이상적인 '정확한 해'를 추구하되, 그것이 불가능할 경우 차선책으로 '정밀한 근사해'라도 찾아내어 사용자에게 최대한의 결과를 제공하는 것입니다. 2025 10.17 hp prime 이 solve 함수에서 해를 찾는데 어떤 방법(method)을 사용하는지 공식적인 무서로 정확하게 파악되진 않습니다. 2025 10.17 참고 x=guess 는 iterative 방식(일반적으로는 newton's method를 의미함)을 x=xmin .. xmax 는 bisection 방식을 사용하는 듯 합니다. // 구간지정 개념과는 차이가 있는 듯? 2025 1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