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EARCH

    통합검색
세모계
    • Dark Mode
    • GNB Always Open
    • GNB Height Maximize
    • Color
    • Brightness
    • SINCE 2015.01.19.
    • 세모계 세모계
    •   SEARCH
    • 세상의 모든 계산기
      • 자유(질문) 게시판
      • 계산기 뉴스/정보
      • 수학, 과학, 공학 이야기
      • 세모계 : 공지 게시판
        • 구글 맞춤검색
    • TI
    • CASIO
    • HP
    • SHARP
    • 일반(쌀집) 계산기
    • 기타계산기
    • by OrangeDay
  • 세상의 모든 계산기 계산기 뉴스/정보
    • 세상의 모든 계산기 계산기 뉴스/정보 ()
    • [공학용 계산기] 결과이상/에러 상황에서 확인할 것들. Check List

      • 2025.02.18 - 20:32 2015.02.23 - 00:21 21932 2

    계산기 결과가 이상하다고 생각된다면 가장 먼저 계산기 초기화를 시켜보세요.

    그래도 문제가 계속된다면 아래 내용을 하나씩 확인해 보시면 되겠습니다.

     

    1. 각도 (Radian Vs Degree) 설정 확인

    문제 원인

    • ⓐ 각도 설정한 대로 입력하지 않음.
    • ⓑ 각도 단위를 모름

    확인할 내용

    • 대부분의 공학용 계산기는 이 스샷처럼 현재의 각도설정값을 표시함 (D/R/G)
    • 화면에 (각도단위) 표시가 없는 계산기라면 cos(90) 을 입력하여 계산
      결과 = 0 이면 현재 Degree 모드
      결과 = -0.44807... 이면 Radian 모드  
      결과 = 0.156434... 이면 Gradian 모드

    참고 링크

    • https://www.allcalc.org/4217 : 공학용 계산기의 각도설정
    • https://www.allcalc.org/4813 : 각도의 단위 비교 설명

     

    2. 괄호 ( ) 의 잘못된 사용 or 미사용

    문제 원인

    • ⓐ 괄호를 반드시 쳐줘야 하는데 빼먹음
    • ⓑ 괄호의 쌍이 맞지 않음​

    확인할 내용

    • "괄호를 더 쳐야 하는건가??" 의문스러운 부분에 모두 괄호를 쳐 보세요. 
      (삼각함수(각도의 앞뒤)) :  sinx 는 sin(x)로, tan2(x) 또는 tan(x)^2 는 (tan(x))^2 로
      (
      분모의 앞뒤), (분자의 앞뒤) : (a×b+1)÷2π 는 (a×b+1)÷(2π)로, 1÷2i 는 1÷(2i) 로
      (지수)의 앞뒤 : 2^-3*π 는 2^(-3*π) 로
      로그(진수) 의 앞뒤
    • 특히 한줄로 식을 입력(Line IO)하는 경우에는 더욱 주의하여야 합니다.
    • 괄호의 앞 뒤 쌍을 잘 맺어 주어야 합니다. 
    • 식이 길어 너무 복잡하다고 느껴지신다면 부분계산후 변수에 저장 ⇒ 변수를 이용해 계산하시면 편리합니다.

    참고 링크

    • https://www.allcalc.org/10629 : 괄호 이야기
    • https://www.allcalc.org/8406 : 변수 메모리(부분계산 방법)

     

    3. 잘못된 곱하기 생략 (Improper implied multiply)

    문제 원인 

    • 생략하면 안되는 곱하기를 생략함 (일부 기종 한정)

    확인할 내용

    • [TI-nspire] 처럼 다문자 변수명이 가능하거나, 변수명과 함수명이 분리없이 사용된다면 주의하세요.
      예) a(2+1)  (2+1)a 또는 a×(2+1)

    참고 링크

    • https://www.allcalc.org/10174 : [TI-nspire] 에러 : 잘못된 곱하기의 생략

     

    4. 음수기호 (negative sign) 착각

    문제 원인

    • 음수부호(Negative Sign)를 써야 할 자리에 빼기명령(Subtract Operator)을 사용

    확인할 내용 

    • 버튼안에 괄호【(-)】로 묶여서 표시된 것이 음수부호(Negative Sign)입니다.
      계산기에 따라 다른 표시를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 Neg)
    • 괄호없이 그냥 【-】 로 적힌 것은 빼기 명령 Subtract Operator 입니다.
    • 잘 못 입력하더라도 상황에 맞게 자동으로 마이너스를 음수기호로 변환해주는 계산기도 있지만, 그냥 에러가 나는 계산기도 많습니다. 두개를 구분하여 사용해야 하는 이유입니다. 

    관련 링크

    • https://www.allcalc.org/5876

     

    5. 기타 설정의 확인 

    문제 원인

    • 문제가 없는데 문제가 있는 것으로 착각

    확인할 내용

    • 설정상의 문제로 답이 원하지 않는 형식으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예) 1.20130E-7 
    • 자릿수 문제나, 각도 문제, 좌표 표시 방법의 문제 등이라면 설정을 다시 확인하여 보세요.

    참고 링크

    • https://www.allcalc.org/2383 결과에 E가 뭐죠? ▶ 숫자(자릿수)의 표기법 Display Digits

     

    6. 범위 (Limit) 한계

    문제 원인

    • 계산기 취급 한계를 벗어난 너무 크거나 너무 작은 수를 다룸

    확인할 내용

    • 계산기마다 한계(limit)값이 다르므로 설명서에서 반드시 확인하여야 합니다. 
    • 한계의 종류에는 최대한계, 최소한계, 유효자릿수 한계 등이 있습니다.
    • 오류가 발생하면 오히려 좋은데, 오류인 결과를 문제 없는 결과인 것 마냥 표시하면 더 심각해집니다. 

    참고 링크

    • https://allcalc.org/6925 [공학용 계산기] 계산기의 가장 큰 수는? 자릿수 한계 (feat. 팩토리알)         

     

    7. (허수나 자연상수 등) 기호 vs 알파벳 구분

    문제의 원인

    • 기호의 착각 : 복소수(i)나 자연대수(e) 등과 같이 특정 기호를 입력해야 할 것을 일반 알파벳으로 입력

    확인할 사항

    • 알파벳 【i】 혹은 알파벳 【j】 는 단순히 변수를 가르키는 문자일 뿐 허수 기호가 아닙니다. 
    • 알파벳 【e】 도 마찬가지로 자연대수가 아닙니다. 
    • 기호로 사용되는 문자는 알파벳과 달리 두껍거나 이탤릭체로(기울어져) 표시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8. 변수값의 영향 or (사용 불가능한) 예약변수명

    문제의 원인

    • ⓐ 이미 저장되어 있던 변수값이 영향을 미침
    • ⓑ 잘못된 변수명을 사용함

    확인 사항

    • 변수에 다른 값이 이미 들어가 있는 것은 아닌지 확인하고, 가급적 변수를 초기화하여 사용
    • 변수가 의심되는 경우 다른 변수로 바꾸어 사용

     

    ※ 원인 파악이 안되는 경우

    수식을 최소 단위로 나누어서 부분부분 문제가 없는지 체크하시고, 문제가 없으면 부분을 조합하여 전체 식을 계산해보시는게 좋겠습니다.

    Attached file
    K-20150411-411998.png 2.5KB 203
    이 게시물을..
    N
    0
    0
    #결과가 이상해요 #faq
    • 세상의모든계산기 25
      세상의모든계산기

      계산기는 거들 뿐
      혹은
      계산기를 거들 뿐

    세상의모든계산기 님의 최근 글

    [fx-9860] 커서 모양 설명 10 2025 10.28 SHARP EL-738XT, TVM Solver 항목 입력 순서에 따라 결과값이 달라진다면? 25 2 2025 10.26 CASIO 모델명 fx-290A(?) fx-375ES A(?) 27 2025 10.26 fmax =함수의 최대값일 때의 x값, fmin =함수의 최소값일 때의 x값 34 1 2025 10.26 분수식 solve시 오류 예시, 분모에 들어간 X³을 X로 치환해 해결? 28 2025 10.25

    세상의모든계산기 님의 최근 댓글

    ChatGPT-5 기호(÷, /, :) 자체는 의미적으로 같은 “나눗셈”을 뜻하지만, 문맥(사람이 쓰는 수학 vs 컴퓨터/프로그래밍)에 따라 해석 우선순위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 1️⃣ 전통 수학 표기 — ÷, /, : 수학 교과서, 논문, 일반 문서 등에서는 셋 다 의미적으로 “나누기”로 간주됩니다. 즉, 48÷2(9+3), 48/2(9+3), 48:2(9+3) 은 같은 의미로 받아들여야 합니다.   모두 사람의 수학 관행적 해석이 적용되어 48 ÷ 2 × (9+3) = 288 로 처리되죠. 즉, 기호가 바뀌어도 결과는 바뀌지 않습니다. 🔹 2️⃣ 컴퓨터·프로그래밍 문맥에서 / 사용 시 컴퓨터는 “생략된 곱셈(implicit multiplication)”을 따로 구분하지 못합니다. 따라서 다음 두 식은 완전히 다르게 인식됩니다. 표현 파이썬 등에서 해석 결과 48 / 2*(9+3) ((48 / 2) * (9+3)) 288 48 / 2(9+3) ❌ 문법 오류 (생략된 곱셈 인식 불가) — 즉, 컴퓨터 언어에서는 생략된 곱셈이 허용되지 않기 때문에, /는 반드시 명시적 *와 함께 써야 합니다. 🔹 3️⃣ “:” 기호의 경우 현대 수학에서는 “비율”을 나타내는 기호로 쓰입니다. a:b = \frac{a}{b} 따라서 (27 : 3(1+2)3) 같은 표현은 모호하거나 비표준적으로 간주됩니다. 대부분의 경우 계산기로는 입력 자체가 불가능합니다. ✅ 정리 기호 의미 결과 변화 주로 쓰이는 문맥 ÷ 나누기 없음 초중등 수학, 일반 표기 / 나누기 없음 (단, 프로그래밍에서는 생략 곱 불허) 수학/컴퓨터 : 비율 (또는 나누기 의미로 혼용) 보통 계산식에서는 사용 안 함 비, 비율 표기 🔹 결론 48 ÷ 2(9+3),  48/2(9+3), 48:2(9+3) 는 “수학적 의미”로는 동일하게 81로 해석됩니다. 하지만 프로그래밍이나 수식 파서(context) 에서는 /만 유효하고, 생략된 곱은 허용되지 않으며, :는 아예 다른 의미(비율)로 인식됩니다. 2025 10.28 ChatGPT-5 💯 네, 정확히 그 지점을 짚으셨어요. 요약하면 이렇게 말할 수 있습니다: “생략된 곱하기(implicit multiplication)”는 문자에서는 강한 결합력을 인정하지만, 숫자나 괄호 사이에서는 일반 곱셈(×)과 동일한 우선순위로 취급된다. 즉, 문자에서는 더 강하게 결합, 숫자·괄호 사이에서는 그냥 ‘보통 곱셈’ 으로 본다는 것이 현대 수학 표기와 계산기의 관행적 규칙입니다. 🔹 두 경우의 구조적 차이 식 형태 실제 해석 결과 결합력 특징 ab ÷ ab 문자 붙음 ((a×b) ÷ (a×b)) 1 문자 간 결합이 강함 → 한 항으로 인식 3(1+2)3 숫자·괄호 혼합 (3 × (1+2) × 3) 27 생략된 ×는 보통 곱셈 → 좌→우 규칙 적용 🔹 왜 문자식은 결합력이 더 강한가? 기호적 표현의 안정성 (ab), (xy), (2x) 같은 표기는 수백 년 동안 “하나의 곱셈 항(term)”으로 인식되어 왔습니다. 그래서 수학자들은 이걸 암묵적으로 “괄호로 묶인 덩어리”로 봅니다. ab ÷ ab = (ab) ÷ (ab) 함수 표기와 구분 필요 예: (sinx ÷ x) 에서 sinx는 sin(x)로 묶여야 의미가 있습니다. 이런 이유로 “문자 옆에 붙은 기호나 문자”는 항상 먼저 결합되도록 하는 관행이 굳어졌습니다. 🔹 반면 숫자·괄호에서는 (3(1+2)) 는 단순히 “3 × (1+2)”의 약식 표현이고, 여기서 “생략된 곱셈”은 “명시적 곱셈”과 동일한 연산자로 간주됩니다. 따라서 27 ÷ 3(1+2)3 = 27 ÷ 3 × 3 × 3 = 81 처럼 좌→우 순서로 처리합니다. 🔹 결론 생략된 곱하기(implicit multiplication)의 결합력은 표기 맥락에 따라 다르다. 문자/기호와 함께 쓰일 때 → 강하게 결합 (하나의 항으로 인식) 숫자와 괄호 사이 → 일반 곱셈과 동일한 우선순위 (좌→우 계산) 이건 “규칙이 바뀐 것”이 아니라, 표기 문법(context) 이 달라서 ‘결합 단위(token)’이 달라진 결과라고 보는 게 가장 정확합니다. 2025 10.28 자게로 이동조치하였습니다. 그리고 이 글의 내용을 정리하여 HP 포럼에 올려두었습니다. https://allcalc.org/55774 [HP Prime] Solve 함수 사용법 2025 10.27 수치해석 방법 method 를 강제로 선택할 수 있으면 좋을텐데... 위의 스샷을 보면 되는 듯 하면서도  아래 스샷을 보면 안되는 것 같기도 합니다.    solve(Expr,[Var]) csolve(LstEq,LstVar) nSolve(Expr,Var,[Guess or Interval],[Method]) deSolve(Eq,[TimeVar],FncVar) linsolve(LstLinEq,LstVar) fsolve(Expr,Var,[Guess or Interval],[Method]) 2025 10.17 종합해서 답변을 드리면   HP Prime 에 solve 에서 변수명에 구간을 입력하면  수치해석 방식으로 bisection 을 사용함.    이 bisection 방식은 해의 좌-우 부호가 서로 바뀌어야만 해를 인식하고  해의 좌-우 부호가 같으면 해를 인식하지 못합니다.    이 때문에 본문 sin 의 예나 아래 사진의 예에서는 해를 인식하지 못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2025 10.17
    글쓴이의 서명작성글 감추기 

    댓글2

    • Profile 0
      세상의모든계산기
      2015.10.23 - 23:06 2015.10.23 - 16:36 #8970

      그래도 해결이 되지 않는다면  계산기 질문 전 필독사항! 을 읽어보시고, 질문 글을 올려주세요.

      댓글
    • 1
      감사합니다
      2020.03.20 - 21:01 #29298
      첫번째 오류 때문에 이때까지 공학용계산기 잘못쓰고잇었네요 덕분에 잘 고치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댓글 수정 삭제
    • 댓글 입력
    • 에디터 전환
    댓글 쓰기 에디터 사용하기 닫기
    • view_headline 목록
    • 14px
    • 목록
      view_headline
    2
    × CLOSE
    기본 (0) 제목 날짜 수정 조회 댓글 추천 비추
    분류 정렬 검색
    등록된 글이 없습니다.
    • 세상의 모든 계산기 계산기 뉴스/정보
    • 세상의모든계산기
    • 사업자등록번호 703-91-02181
    • 세모계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