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EARCH

    통합검색
세모계
    • Dark Mode
    • GNB Always Open
    • GNB Height Maximize
    • Color
    • Brightness
    • SINCE 2015.01.19.
    • 세모계 세모계
    •   SEARCH
    • 세상의 모든 계산기  
      • 자유(질문) 게시판  
      • 계산기 뉴스/정보  
      • 수학, 과학, 공학 이야기  
      • 세모계 : 공지 게시판  
        • 구글 맞춤검색  
    • TI  
    • CASIO  
    • HP  
    • SHARP  
    • 일반(쌀집) 계산기  
    • 기타계산기  
    • 세모계
    • by ORANGEDAY
  • 일반(쌀집) 계산기
    • 일반(쌀집) 계산기
    • 일반 계산기로 복잡한 수식을 계산할 때의 버튼 입력 순서를 결정하는 방법

    • Profile
      • 세상의모든계산기
      • 2024.12.03 - 16:58 2024.08.28 - 19:21 1187 10

    1. 내 계산기의 기능부터 확인

     

    image.png

     

    일반 계산기는 공학용 계산기에 비하면 그 기능이나 작동 방법이 획일화되어 있지만, 

    그래도 모델별 차이는 분명히 있기 때문에 "내 계산기에 어떤기능이 있는지? 어떤 기능이 없는지?"를 확인해 두는 것이 필수로 선행되어야 합니다. 

     

    - (상수 계산 방식은) K 타입인가? vs Non-K 타입인가?
    - M 메모리가 있는가? 
    - GT 메모리가 있는가? 
    - 역수(곱셈의 역원) 계산은 어떻게 하는가?
    - C / CE 버튼은 무엇을 초기화하는가? 

     

    이 정도는 미리 파악하셔야 기본적인 설명이 가능해집니다. 

     

     

    2. 사칙연산 vs 일반 계산기 계산 우선순위 

     

    계산기의 계산 우선순위는 (초등학교 수준의) 상식적인 계산식의 우선순위와 차이가 있습니다. 

    "모든 일반 계산기는 먼저 입력된 것이 먼저 계산된다!" 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예외 기종이 아주 드물게 있습니다)

     

    그래서 1÷(2+3) 처럼 뒷 순서의 계산을 먼저 해야하는 경우

    앞의 숫자부터 1, 2, 3 순차적으로 처리하려고 해서는 제대로 된 답을 구할 수 없습니다. 

     

    단순한 곱하기의 연속인데 중간에 괄호를 포함한 다항식이 있는 경우 => 괄호있는 다항식부터 계산 

    단순한 분수(=분자/분모) 같은 경우 분모부터 계산 => 결과를 분자에 곱함 으로 처리하고, 

    더하기나 빼기가 여럿인 다항식의 경우 적절히 다항으로 나누고 => M 또는 GT 로 처리 

    이런 식으로 구분해 생각하시면 됩니다. 

     

    ※ 역수(곱셈 역원) 구하는 방법 https://allcalc.org/16626

     

     

    3. 메모리 공간의 활용

     

    위에서 살펴본 우선순위를 잘 따져서 계산한다고 해도 다항식(수식 여러개가 플러스(+) 나 마이너스(-)로 연결되는 식)이 되면 

    어떻게 해도 일반 계산기로는 그 계산을 이어나갈 수 없는 상황이 닥치게 됩니다. 

     

    그 때 필요한 기능이 (GT / M) 메모리 저장 기능입니다. 

    다항식은 기본적으로 플러스나 마이너스 단위로 끊어 저장하고 최종 결과값을 확인하는 과정으로 이해해야 합니다. 

     

    상대적으로 간단한 식이라면 GT만 이용하는 것이 시간 단축에는 유리하지만, 

    복잡한 수식이라면 GT에 필요없는 계산결과가 어쩔 수 없이 더해지는 경우가 생기기 때문에 

    M 메모리를 이용하는 것이 필수적인 경우도 있습니다. 

     

    ※ 상수계산 - 카시오 K-Type (K-타입) https://allcalc.org/2335

    ※ 상수계산 - Non-K Type (Non-K 타입) https://allcalc.org/2352

    ※ M 메모리 버튼(MR MC M+ M-)의 사용법 https://allcalc.org/2040

     

     

    4. 입력 예제 (Non-K 타입 기준으로 설명합니다)

     

    1. 분수꼴 수식의 계산 & 역수 계산

    - 분모가 단일한 숫자인 경우 or 분모 전체를 암산할 수 있는 경우 --> 분자부터 차례대로 계산 

    - 그렇지 않으면 --> 분모부터 입력해 계산 

    $$ \frac{2×3}{3×4-5} \approx 0.857143 $$

     분모만 먼저 역수를 취하고, 분자는 곱하기로 처리하는게 일반적입니다. 

    h32_3_03_n3.pngh32_4_3_multiply.pngh32_3_04_n4.pngh32_4_6_subtract.pngh32_3_05_n5.png(분모계산)h32_4_4_divide.pngh32_4_7_equal.png(분모만 역수처리)h32_4_3_multiply.pngh32_3_02_n2.pngh32_4_3_multiply.pngh32_3_03_n3.png(분자 곱하기)h32_4_7_equal.png
    * 분자를 암산할 수 있거나, 간단한 경우 

    h32_3_03_n3.pngh32_4_3_multiply.pngh32_3_04_n4.pngh32_4_6_subtract.pngh32_3_05_n5.png(분모계산)h32_4_4_divide.pngh32_3_06_n6.png(분자 나누기)h32_4_4_divide.pngh32_4_7_equal.png(전체를 역수처리)

     

    분모도 분자도 다항식이어서 따로따로 계산이 필요한 상황이면 GT나 M 메모리를 추가로 이용해야 합니다. 

    단, 이 때 분모 계산 전에 GT나 M 메모리가 (0으로) 비어 있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 분모가 3×4-5×2 과 같은 다항식이면 

    h32_3_03_n3.pngh32_4_3_multiply.pngh32_3_04_n4.pngh32_4_7_equal.pngh32_3_05_n5.pngh32_4_3_multiply.pngh32_3_02_n2.pngh32_2_4_change.pngh32_4_7_equal.pngh32_4_8_gt.png(분모계산) 이런 식으로 분모처리가 달라져야하겠죠.

     

     

    2. GT 메모리만 이용

    - n개의 다항식을 n번의 【=】입력으로 처리할 수 있을 때 사용

    링크 글 참고
    https://allcalc.org/2035 - [일반 계산기] 【GT】 버튼 (메모리)의 사용법

     

     

    3. M 메모리 이용

    - n개의 다항식을 n번의 【=】입력으로 처리할 수 없을 때 사용

    - 플러스 또는 마이너스 기호를 중심으로 부분 부분 끊어서 계산하는 개념으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10,000/(1.12) + 10,000/(1.12)² + 10,000/(1.12)³ + 100,000/(1.12)³

    h32_1_1_mc.png

    h32_3_01_n1.pngh32_3_11_n00.pngh32_3_11_n00.pngh32_4_4_divide.pngh32_3_01_n1.pngh32_3_12_dot.pngh32_3_01_n1.pngh32_3_02_n2.pngh32_4_7_equal.pngh32_1_3_madd.png
    h32_3_01_n1.pngh32_3_11_n00.pngh32_3_11_n00.pngh32_4_4_divide.pngh32_3_01_n1.pngh32_3_12_dot.pngh32_3_01_n1.pngh32_3_02_n2.pngh32_4_7_equal.pngh32_4_7_equal.pngh32_1_3_madd.png
    h32_3_01_n1.pngh32_3_11_n00.pngh32_3_11_n00.pngh32_4_4_divide.pngh32_3_01_n1.pngh32_3_12_dot.pngh32_3_01_n1.pngh32_3_02_n2.pngh32_4_7_equal.pngh32_4_7_equal.pngh32_4_7_equal.pngh32_1_3_madd.png
    h32_3_01_n1.pngh32_3_11_n00.pngh32_3_11_n00.pngh32_3_10_n0.pngh32_4_4_divide.pngh32_3_01_n1.pngh32_3_12_dot.pngh32_3_01_n1.pngh32_3_02_n2.pngh32_4_7_equal.pngh32_4_7_equal.pngh32_4_7_equal.pngh32_1_3_madd.png
    h32_1_2_mr.png(최종 결과 불러오기) 95196.3374633

     

    각각의 항을 따로 보면 이렇게 복잡하지만, 【GT】키와 조합하면 입력 횟수가 줄어들죠. => 댓글 참고

     

    카시오 K타입 계산기의 경우 위와 키 입력순서가 다릅니다.

    https://allcalc.org/board_basic/2335#comment_24899

    Attached file
    image.png 7.2KB 16
    이 게시물을..
    N
    0
    0
    • [일반 계산기] 건전지 교체하는 방법세상의모든계산기
    • [일반 계산기] M 메모리 버튼(MR MC M+ M-)의 사용법세상의모든계산기
    • 세상의모든계산기 25
      세상의모든계산기

      계산기는 거들 뿐
      혹은
      계산기를 거들 뿐

    세상의모든계산기 님의 최근 글

    세모계 사이트에서 파일 업로드 에러 (Type 7) 발생할 수 있습니다. 11 2025 10.13 언어의 유형과 만남: 고립어, 교착어, 그리고 한본어 현상에 대한 탐구 (written by Gemini) 65 1 2025 10.09 함수 Completesquare, 완전제곱식 변환 기능 70 1 2025 10.08 iptime 공유기 (AX2004T), 유선 핑 테스트 결과 (Ping Test) 363 11 2025 09.24 자동심장충격기, AED 내 주변에 설치된 곳 확인하기 237 1 2025 09.06

    세상의모든계산기 님의 최근 댓글

    4*4 행렬 계산이 가능한 fx-570EX 이후 계산기는 행렬 기능을 이용하는 방법도 있지만, 본문 방법이 더 편리한 것 같습니다. [fx-570 EX] 복소수 1차 연립방정식 해 구하기 (feat. MATRIX) https://allcalc.org/21582 2025 10.15 고장남 - POST 진입 실패, 모니터 안나옴 직접 사용할 일이 없어져서, 고향집에 가져다 놓고 어댑터만 꼽아 두었습니다.  마지막으로 켠 것은 25년 6월쯤이 아니었을까 싶습니다. (이상증상은 없었구요)   이번 추석에 가서 켜 보니까, 화면이 아예 안나오더라구요.    집에 가져와서 분해해 살펴보니까  - 어댑터 12V는 정상  - 어댑터 꼽으면 바로 POWER 는 켜집니다.  ㄴ POWER ON -> Fan 돌아감 + 파워 LED 들어옴 + NVME에 LED 들어옴  ㄴ HDMI 1, 2 신호 전혀 안들어옴 (모니터 2대 확인) ㄴ 키보드에 LED 안들어옴 (USB 5V 가 안들어오는 듯 함)  - 옆구리 버튼은 작동하지 않습니다. 길게 눌러도 꺼지지 않음.    하나씩 제거하면서 변수를 제거해 봤는데,  뭘 해도 상태가 똑같습니다.  보드쪽에 문제가 생긴 것 같습니다.  2025 10.14 다항식 나눗셈 (가장 정석적인 방법) (피제수, 나뉠 식) r1*r3 를 (제수, 나누는 식) r1+r3 로 직접 나누며, 여기서 r1을 변수로 취급합니다. 1. 몫 구하기: r1*r3 (나뉠 식)의 최고차항을 r1+r3 (나누는 식)의 최고차항 r1로 나눕니다. (r1*r3) / r1 = r3 <-- 이것이 몫(Quotient)이 됩니다. 2. 나머지 구하기: (원래 분자) - (몫 × 분모) 를 계산합니다. (r1*r3) - (r3 × (r1+r3)) = r1*r3 - (r1*r3 + r3^2) = -r3^2 <-- 이것이 나머지(Remainder)가 됩니다. 3. 결과 조합: 최종 결과는 `몫 + (나머지 / 나누는 식)` 형태로 씁니다. r3 + (-r3^2 / (r1+r3))   \[ \begin{array}{l} \phantom{r_1+r_3 \overline{) r_1 r_3}} r_3 \\ r_1+r_3 \overline{) \begin{array}[t]{@{}r@{}}    r_1 r_3 \phantom{+r_3^2} \\    - (r_1 r_3 + r_3^2) \\    \hline    -r_3^2 \\ \end{array}} \end{array} \] 2025 10.14 부분적 과정으로 분자(변수의 곱)를 다른 변수로 치환할 수 있다면  (r1*r3=a, r2*r4=b) 다항식에서도 강제 나눗셈 과정을 막을 수 있겠습니다만,      원래의 식에 적용시킬 수는 없어 의미가 없겠습니다.  2025 10.14     (r1*r3) / (r1+r3) 에서   원래라면 분자(r1*r3)에서 하나의 변수를 선택하여 그것을 기준으로 분모를 나누고 몫과 나머지로 분리하여 표현하는 것이 기본 원칙입니다만,    결과가 단항인 분수식일 경우 분자가 두 변수의 곱으로 표현되더라도  그것이 더 간단한 표현인 것으로 보고 그대로 두는 듯 합니다.   하지만 마지막 예시에서 보이는 것처럼 +1만 붙는 간단한 형식일지라도 다항식이 되는 순간  원래의 기본 원칙대로 대수의 나눗셈(r1*r3를 (r1+r3)로 나눔)이 강제 진행되어버리고 이를 막을 수 없는 듯 합니다.    2025 10.14
    글쓴이의 서명작성글 감추기 

    댓글10

    • Profile 0
      세상의모든계산기
      2024.10.07 - 16:22 2024.08.28 - 20:14 #46354

      본문 '3. M 메모리 이용'의 예제에서 여러가지 키 입력 방식으로 처리가 가능합니다. (Non-K 타입)

      10,000/(1.12) + 10,000/(1.12)² + 10,000/(1.12)³ + 100,000/(1.12)³ =  95196.3374633


      h32_3_01_n1.pngh32_3_11_n00.pngh32_3_11_n00.pngh32_4_4_divide.pngh32_3_01_n1.pngh32_3_12_dot.pngh32_3_01_n1.pngh32_3_02_n2.pngh32_1_3_madd.png // 여기서 = 한번 생략할 수 있음. = 이 하나도 없을 때만 가능
      h32_3_01_n1.pngh32_3_11_n00.pngh32_3_11_n00.pngh32_4_4_divide.pngh32_3_01_n1.pngh32_3_12_dot.pngh32_3_01_n1.pngh32_3_02_n2.pngh32_4_7_equal.pngh32_4_7_equal.pngh32_1_3_madd.png
      h32_3_01_n1.pngh32_3_11_n00.pngh32_3_11_n00.pngh32_4_4_divide.pngh32_3_01_n1.pngh32_3_12_dot.pngh32_3_01_n1.pngh32_3_02_n2.pngh32_4_7_equal.pngh32_4_7_equal.pngh32_4_7_equal.pngh32_1_3_madd.png
      h32_3_01_n1.pngh32_3_11_n00.pngh32_3_11_n00.pngh32_3_10_n0.pngh32_4_4_divide.pngh32_3_01_n1.pngh32_3_12_dot.pngh32_3_01_n1.pngh32_3_02_n2.pngh32_4_7_equal.pngh32_4_7_equal.pngh32_4_7_equal.pngh32_1_3_madd.pngh32_1_2_mr.png


      M과 GT를 결합해 활용
       

      h32_3_01_n1.pngh32_3_11_n00.pngh32_3_11_n00.pngh32_4_4_divide.pngh32_3_01_n1.pngh32_3_12_dot.pngh32_3_01_n1.pngh32_3_02_n2.pngh32_4_7_equal.pngh32_4_7_equal.pngh32_4_7_equal.pngh32_4_8_gt.pngh32_1_3_madd.png

      h32_3_01_n1.pngh32_3_11_n00.pngh32_3_11_n00.pngh32_3_10_n0.pngh32_4_4_divide.pngh32_3_01_n1.pngh32_3_12_dot.pngh32_3_01_n1.pngh32_3_02_n2.pngh32_4_7_equal.pngh32_4_7_equal.pngh32_4_7_equal.pngh32_1_3_madd.pngh32_1_2_mr.png

      댓글
    • Profile 0
      세상의모든계산기
      2024.10.07 - 16:22 2024.09.02 - 21:46 #46547

      예시 1) $ \frac{(1+2) + (3+4)}{(5+6)} $ = 0.90909090909

      ㄴ (1+2),  (3+4), (5+6) 암산이 안되는 것으로 가정


       

      h32_3_05_n5.pngh32_4_5_add.pngh32_3_06_n6.pngh32_1_3_madd.pngh32_3_01_n1.pngh32_4_5_add.pngh32_3_02_n2.pngh32_4_5_add.pngh32_3_03_n3.pngh32_4_5_add.pngh32_3_04_n4.pngh32_4_4_divide.pngh32_1_2_mr.pngh32_4_7_equal.png 
      ㄴ K Type / Non-K Type : 동일
      댓글
    • Profile 0
      세상의모든계산기
      2024.10.07 - 16:23 2024.09.02 - 21:49 #46550

      예시 2) $ (1+2)+\frac{(3+4)}{(5+6)} $ = 3.63636363636

      ㄴ (1+2),  (3+4), (5+6) 암산이 안되는 것으로 가정


       

      h32_3_05_n5.pngh32_4_5_add.pngh32_3_06_n6.pngh32_1_3_madd.pngh32_3_03_n3.pngh32_4_5_add.pngh32_3_04_n4.pngh32_4_4_divide.pngh32_1_2_mr.pngh32_4_5_add.pngh32_3_01_n1.pngh32_4_5_add.pngh32_3_02_n2.pngh32_4_7_equal.png 
      ㄴ K Type / Non-K Type : 동일

       

      순차로 입력시 : (3+4) 를 다항식으로 나누어 계산후 각각 M에 저장
      h32_3_01_n1.pngh32_4_5_add.pngh32_3_02_n2.pngh32_1_3_madd.pngh32_3_05_n5.pngh32_4_5_add.pngh32_3_06_n6.pngh32_4_4_divide.pngh32_4_4_divide.pngh32_3_03_n3.pngh32_1_3_madd.pngh32_3_04_n4.pngh32_1_3_madd.pngh32_1_2_mr.png
      ㄴ K 타입 : 분모를 구하고 -> 상수 계산(나눗셈 지정) -> M에 각각 저장

       

      h32_3_01_n1.pngh32_4_5_add.pngh32_3_02_n2.pngh32_1_3_madd.pngh32_3_05_n5.pngh32_4_5_add.pngh32_3_06_n6.pngh32_4_4_divide.pngh32_4_7_equal.pngh32_3_03_n3.pngh32_4_7_equal.pngh32_1_3_madd.pngh32_3_04_n4.pngh32_4_7_equal.pngh32_1_3_madd.pngh32_1_2_mr.png
      ㄴ Non-K 타입 : 분모를 구하고 -> 상수계산(나눗셈 설정) -> M에 각각 저장.
      h32_3_01_n1.pngh32_4_5_add.pngh32_3_02_n2.pngh32_1_3_madd.pngh32_3_05_n5.pngh32_4_5_add.pngh32_3_06_n6.pngh32_4_4_divide.pngh32_4_7_equal.pngh32_4_3_multiply.pngh32_3_03_n3.pngh32_4_7_equal.pngh32_1_3_madd.pngh32_3_04_n4.pngh32_4_7_equal.pngh32_1_3_madd.pngh32_1_2_mr.png
      ㄴ Non-K 타입 : 분모를 구하고 -> 역수 처리 -> 상수계산(분자에 각각 곱셈)하여 -> M에 각각 저장.
      댓글
    • Profile 0
      세상의모든계산기
      2024.10.07 - 16:23 2024.09.04 - 20:59 #46598

      예시 3) 


      {(6.25 x 16%) + (175 x 12%)} 나누기 (6.25+175) 의 경우에는 어떻게 적용가능할까요??

      댓글
    • 1
      Profile 0
      세상의모든계산기
      2024.11.17 - 16:10 2024.09.04 - 20:59 #46601
      % 버튼으로 퍼센트 기능을 하기도 하지만,
      복잡한 수식의 경우 높은 확률로 오히려 방해가 됩니다.
      따라서 퍼센트는 100으로 나눠서 소숫점 형태로 곱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 \dfrac{(6.25 × 0.16) + (175 × 0.12)} {6.25 + 175} = 0.12137931034483 $

      먼저 수식을 파악해야 하는데요.

      분자가 다항식(더하기 있음)이라서 2회 계산이 필요하고

      분모도 다항 계산식이라서 1회 저장이 필요 합니다.

       

      1. M과 GT 동시 이용 가능한 계산기일 때
      【6.25】【+】【175】【M+】
      【6.25】【×】【0.16】【=】
      【175】【×】【0.12】【=】

      【GT】【÷】【MR】【=】


      2. GT가 없는 계산기일 때
      모든 걸 M으로 처리해야 하므로 조금 까다로워집니다.


      (6.25+175) / {(6.25 x 0.16) + (175 x 0.12)} 를 구한 다음에
      그 역수를 구하는 방법을 쓸 수밖에 없겠네요.

       

      【6.25】【×】【0.16】【M+】

      【175】【×】【0.12】【M+】

      【6.25】【+】【175】

      【÷】【MR】【=】

      【÷】【÷】【=】【=】// 카시오 K 타입인 경우 역수 방식, non-K 타입인 경우 【÷】【=】

      댓글
    • Profile 0
      세상의모든계산기
      2024.11.17 - 16:09 2024.10.07 - 16:24 #49300

      예시4) $ \dfrac{1000+(1-0.08)}{1+0.08} = 926.77777777778 $


      분자(3개항) = 1000 + 1 - 0.08

      분모(2개항) = 1+0.08


      방법1) M 이용해 처리

      분모 계산해 M에 저장 【1】【+】【0.08】【M+】

      분자 계산  【1000】【+】【1】【-】【0.08】

      분자/분모계산 【÷】【RM】【=】926.77777777778


      방법2) 상수 계산 & M & GT 로 처리. (Non-K 타입 계산기일 경우 입력 순서)

      1000/(1+0.08) + 1/(1+0.08) - 0.08/(1+0.08)

      분모 계산해 M에 저장 【1】【+】【0.08】【M+】

      상수계산

      【1000】【÷】【RM】【=】

      【1】【=】

      【0.08】【+/-】【=】

      결과 확인

      【GT】926.77777777778


      주의【+/-】는 Sign Changer 버튼임

      댓글
    • Profile 0
      세상의모든계산기
      2024.11.17 - 16:08 2024.10.07 - 16:56 #49303

      예시5) $ \dfrac{53,000,000*(1-0.7235)+4235}{2,000,000*(4235+2175)} = 0.0011434270670827 $


      분자(3개항) : (53,000,000*(1-0.7235)+4235)

      분모(2개항) : (2,000,000*(4235+2175))


      Non-K타입 계산기 기준으로 설명

      A) 분모 계산해 M에 저장 【2 00 00 00】【×】【4235】【=】【2175】【=】【GT】【M+】

      B) GT만 초기화 【0】【-】【GT】【=】

      C) 분자 계산​​​​​​​【53 00 00 00】​​​​​​​【×】​​​​​​​【1】​​​​​​​【=】​​​​​​​【.7235】​​​​​​​【+/-】​​​​​​​【=】​​​​​​​【GT】​​​​​​​【+】​​​​​​​【4235】​​​​​​​

      D) 최종 계산 【÷】​​​​​【RM】​​【=】


      주의【+/-】는 Sign Changer 버튼임 

      댓글
    • Profile 0
      세상의모든계산기
      2024.11.17 - 16:06 2024.11.17 - 15:51 #52530

      예시6) $ -4,614.46 × \dfrac{0.1}{1 - \dfrac{1}{(1+0.10)^{10}}} \approx −750.98 $


      카시오 K타입 :

      A) 제일 아래 분모부터 거꾸로 계산【1.1】【÷】【÷】【1】【=】【=】【=】【=】【=】【=】【=】【=】【=】【=】 // (=10번) 0.38554328942953

      B) 1에서 A를 빼야하지만 순서상 반대로 하고 부호를 거꾸로 붙임 【-】【1】【=】【+/-】// 0.61445671057047

      C) 역수계산 【÷】【÷】【=】【=】// 1.6274539488251

      D) 계수(분자) 곱하기 【×】【0.1】【=】// 0.16274539488251

      E) 계수 곱하기 【×】【4614.46】【+/-】【=】// −750.98211486955

      댓글
    • 0
      name
      2024.11.17 - 21:15 #52563
      33,000/1.12+ 38,000/1.12^2+ 43,000/1.12^3+ 48,000/1.12^4+ 53,000/1.12^5

      계산기 카시오 쓰는데 어떻게 하면 빠른가요?
      댓글 수정 삭제
    • 1
      Profile 0
      세상의모든계산기
      2024.11.17 - 21:41 2024.11.17 - 21:30 #52567

      "상수계산 기능" + "M메모리 기능"을 조합해서 사용하는게 최선으로 보입니다.


      카시오 K 타입

      【MC】

      【1.12】【÷】【÷】

      【33000】【M+】

      【38000】【=】【M+】

      【43000】【=】【=】【M+】
      【48000】【=】【=】【=】【M+】

      【53000】【=】【=】【=】【=】【M+】

      【MR】

      150942.69483372

       

      본문 3.의 예시 링크(K타입)와 원리는 같습니다. https://allcalc.org/2335#comment_24899

      댓글
    • 댓글 입력
    • 에디터 전환
    댓글 쓰기 에디터 사용하기 닫기
    • view_headline 목록
    • 14px
    • [일반 계산기] 건전지 교체하는 방법
    • [일반 계산기] M 메모리 버튼(MR MC M+ M-)의 사용법
    • 목록
      view_headline
    10
    × CLOSE
    기본 (52) 제목 날짜 수정 조회 댓글 추천 비추
    분류 정렬 검색
    • "회원 로그인/가입 버튼 어딨나요?"
      2024.09.13 - 18:54 404153
    • [필독] 사이트 운영원칙 & 게시판 이용시 주의사항 (주제 / 제목 / 질문글)
      1
      2015.03.31 - 11:21 408135 1
    • [FAQ] 일반 (쌀집) 계산기 수식 입력의 모든 것
      5
      2015.03.18 - 18:27 5001 5
    • 52 [일반 계산기] 세제곱근 구하기. 방법 #2, 로그 성질(근사)의 활용
    • 세상의모든계산기 2024.10.13 - 21:10 1875 6
    • ㄴ $ \sqrt[3]{a} $ 를 구하는 방법. 로그의 근사 활용 이 방법의 계산 순서 1. 초기 근사값 설정: 루트키 【√】를 이용해 $ a^{\frac{1}{4096}} $ 을 계산합니다. 이 값은 1에 매우 가깝습니다. 2. 델타(Δ) 정의: $ Δ = \frac{a^{\frac{1}{4096}} - 1}{3} $ 를 구합니다. 앞선 결과에서 1을 빼고, 그걸 3으로 나누면 되겠죠. 이 Δ는 0에 가까운 매우 작은 값입니다. 3. 반복 제곱: (1 + Δ)^4096 를 계산하면 $ a^{\frac{1}{3}} $ 에 매우 가까운 값이 됩니다. (1 + Δ)^4096 를 4095회의 곱하기로 계산하는 것은 매우 비 효율적이기 때문에...
    • 51 CASIO 명품 쌀집 계산기, S100 (구형), S100X (신형), S100NB (신형, 소형)
    • 세상의모든계산기 2024.09.29 - 11:05 532 12
    • 역시 일반 계산기는 카시오가 1짱이 맞네요. 이 제품 정도면 일반 계산기 기함에 해당할테구요. 다른 회사에서 비슷한 체급은 없죠? https://www.casio.com/kr/basic-calculators/product.S100X/ https://www.casio.com/kr/basic-calculators/premium/features/made-in-japan/ 출시 History 2015년 9월. S100-BK, S100-BU 출시(출시가 30000엔). 50주년 기념 모델로 JS-20WK 와 함께 출시된 듯 함. 2016년 9월. S200 출시(출시가 35000엔). S100의 골드 버전. 프리미엄 버전. https://www.casio-calculator.com/Museum/Pages/SSS/S200/Casi...
    • 50 [일반 계산기] 【%】 퍼센트 버튼을 활용한 계산 방법 (2가지 타입, Type의 구분)
    • 세상의모든계산기 2015.02.11 - 19:00 30628 9
    • 일반 계산기에는 【%】 버튼이 (대부분) 있습니다. 일반적인 % 에 대한 인식(상식)을 가지고 계산기에서 【%】 버튼을 누르다 보면 (백이면 백) 오류가 발생합니다. 【%】버튼이 ÷100 으로 계산되는 것 이외에도, 사칙연산 버튼과 특수하게 조합되면서 예상하지 않은 함수로 작동하기 때문입니다. 퍼센트(%)와 관련한 계산에서, 그런 특수한 함수기능을 활용하면 버튼 입력 횟수를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일반 계산기로는 불가능한 계산까지도 할 수 있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장사하면서 하루에도 열번 스무번씩 할인액 계산하...
    • 49 몫과 나머지 (Quotient - Remainder) 버튼이 있는 카시오 MP-12R
    • 세상의모든계산기 2025.02.16 - 11:29 128 4
    • 카시오 MP-12R 모델에는 【÷R】로 표시된 버튼이 있습니다. 그 위에는 Q↔R 기호가 적여 있구요. 이 버튼은 아래 그림과 같이 작동합니다. 960 을 제수(=360)로 나누면 몫=2=Quotient 나머지=240=Remainder 한 눈에 쉽게 알 수 있습니다. 수식으로 다시 정리하면 960 = 360×2 + 240
    • 48 [일반 계산기] 건전지 교체하는 방법
    • 세상의모든계산기 2016.03.27 - 23:16 7860
    • 1. 1-Way 전원 (버튼형 전지, 단추형 전지, 코인셀) 모든 전자제품은 전기를 공급해줄 전원이 필요합니다. 현재 판매중인 일반 전자계산기에는 대부분 버튼형 전지가 들어갑니다. 과거에는 수은전지라고도 불렀지만, 지금은 수은이 들어가지 않습니다(No Mercury). 그래서 수은전지라는 용어보다는 "버튼형 전지", "단추형 전지", "코인셀" 등의 명칭으로 불립니다. 가장 흔하게 쓰이는 전지는 LR44 이고, 간혹 CR2032가 들어가는 계산기도 있습니다. 이런 전지는 대형마트/소형마트/다이소 등 주변에서 아주 쉽게 구할 수 있습니다. 2. 2-...
    • 일반 계산기로 복잡한 수식을 계산할 때의 버튼 입력 순서를 결정하는 방법
    • 세상의모든계산기 2024.08.28 - 19:21 1187 10
    • 1. 내 계산기의 기능부터 확인 일반 계산기는 공학용 계산기에 비하면 그 기능이나 작동 방법이 획일화되어 있지만, 그래도 모델별 차이는 분명히 있기 때문에 "내 계산기에 어떤기능이 있는지? 어떤 기능이 없는지?"를 확인해 두는 것이 필수로 선행되어야 합니다. - (상수 계산 방식은) K 타입인가? vs Non-K 타입인가? - M 메모리가 있는가? - GT 메모리가 있는가? - 역수(곱셈의 역원) 계산은 어떻게 하는가? - C / CE 버튼은 무엇을 초기화하는가? 이 정도는 미리 파악하셔야 기본적인 설명이 가능해집니다. 2. 사칙연산 vs 일반 계산...
    • 46 [일반 계산기] M 메모리 버튼(MR MC M+ M-)의 사용법
    • 세상의모든계산기 2015.01.14 - 22:31 34080 17
    • 1. M 기능과 GT 기능의 비교 M 메모리는 (GT 메모리와 마찬가지로) 계산 결과를 저장하고 불러올 수 있는 공간입니다. └ 일부에서는 M메모리를 "M통", GT메모리를 "GT통"으로 부르기도 합니다. 공식용어는 아닙니다. M 과 GT 는 계산 결과를 일시적으로 기억(메모리)한다는 점에서 동일합니다. 차이점이 있다면, GT는 M의 심플버전이라는 점입니다. (심플하다=편하다+기능이 적다) GT는 【=】 기호가 입력될 때 자동으로 더해지기만 합니다. 관련 버튼도 【GT】와 【=】 두개 뿐입니다. M은 【M+】 또는 【M-】 를 누를 때만 메모리에 더해...
    • 45 [일반계산기] 매출액 / 원가 / 마진율(=이익율)의 계산.
    • 세상의모든계산기 2017.09.24 - 20:08 8405 3
    • 1. 원가/판매가/마진율(=이익률) 버튼이 있는 계산기 대상 기종 : 캐논 [HS-1210TS], 카시오 [JF-120FM] 원가 / 판매가 / 수익률 세가지 중에서 2가지를 입력하면, 나머지 하나가 자동 계산되어 화면에 출력됩니다. 이익률 입력시 【%】 버튼은 누르지 않습니다. '이익률'은 원가대비(x)가 아니라 판매가(매출액)대비(o) 이익률입니다. (즉, 마진율을 의미) * 연속되는 키입력의 흐름이 중요합니다. 숫자-원가-숫자-이익률. 입력하려는 숫자를 바로 넣어야지, 숫자를 사칙연산으로 계산하려고 시도하면 입력과정이 종료되어버립니다. 2. no...
    • 44 [일반 계산기] 소수점 지수계산하기 (계산식 = 1.1^1.7 ?)
    • 세상의모든계산기 2015.08.11 - 15:29 10552 15
    • 일반 계산기로 지수가 자연수인 계산을 한다면, 곱하기 반복 상수계산기능 으로 어렵지 않게 구해볼 수 있습니다. [일반 계산기] 상수계산 - Non-K Type (Non-K 타입) https://allcalc.org/2352 [일반 계산기] 상수계산 - 카시오 K-Type (K-타입) https://allcalc.org/2335 하지만 지수가 음수이거나, 소숫점이면 계산이 복잡해집니다. 내가 계산해야 하는 상황이라면 어떻게든 구해 보겠지만, 남이 물어보는 거라면 "일반 계산기라서 못한다"고 답하는게 맞습니다. 음수인 정수라면 [일반 계산기] 세제곱근 구하기. 방법 #2, 로그 성질(근...
    • 43 네이버 계산기 문제 있네...
    • 세상의모든계산기 2023.12.16 - 12:25 274
    • https://kin.naver.com/qna/detail.naver?d1id=11&dirId=1113&docId=460466909&qb=6rOE7IKw6riw&enc=utf8§ion=kin.qna.all&rank=1&search_sort=3&spq=0 예전에도 오류가 있다는 내용을 몇 번 본 것 같긴 한데... 심각하네요. 중요한 일에는 간단한 것이더라도 네이버 계산기 절대 쓰지 마세요~
    • 42 [일반 계산기] 상수계산 - 카시오 K-Type (K-타입)
    • 세상의모든계산기 2015.01.16 - 10:36 6631 9
    • 1. 상수 계산이란? "연산자&숫자" 입력이 반복되는 계산을 해야할 경우, 계산기에 입력할 때 반복되는 부분을 생략하고 입력하여, 실수도 줄이고 입력시간도 줄일 수 있습니다. 그런 일반 계산기의 기능을 "상수 계산"이라고 부릅니다. 영어로는 Constant Calculation 또는 Constant Function 으로 불립니다. 2. K Type 상수 계산 방법 일반 계산기는 상수계산을 명시적으로 지정(=연산자를 2회 연타)하는 타입(K TYPE)과, 암묵적(=항상 상수계산대기상태)으로 사용하는 타입(Non-K Type)의 계산기로 나뉩니다. 두 타입은 버튼의 입력 순서...
    • 41 [일반 계산기] 쌀집 계산기로 (TVM, 화폐의 시간가치) 6계수 구하는 방법
    • 세상의모든계산기 2015.01.21 - 19:11 7620 3 2
    • 1. TVM 화폐의 시간가치 6계수란? 화폐의 시간가치 6계수는 미래의 금액이나 현재의 금액을 서로 비교하거나 변환하는 데 사용되는 재무 관리 도구입니다. 6계수는 금액의 현재 가치, 미래 가치를 계산하는 다양한 공식을 기반으로 합니다. 일반적으로 자금의 시간 가치는 이자율과 시간이 주요 변수가 되며, 6계수는 다음과 같은 6가지 항목으로 구성됩니다. ※ 기말 납입조건 기준함. 자본환원계수 적용 (삼각형 방향 주의) 수식 관계 FVF 내가계수 현재 1원 ▷ n기 후 얼마? =(1+r)n=(1+r)^n =1/PVF PVF 현가계수 현재 얼마? ◀ n기 후 1원...
    • 40 부호 변경 버튼 【+/-】
    • 세상의모든계산기 2024.11.06 - 22:47 177
    • 1. 부호 변경 버튼 일반 계산기에는 빼기 버튼 말고 부호를 결정해주는 버튼이 따로 있습니다. 물론 계산기에 따라 없을 수도 있죠. ㄴ CASIO [JE-12E-WE] 부호 변경 버튼 【+/-】 왼쪽 【C】위에 있네요. 2. 부호 변경 버튼의 역할 계산기마다 기호 생김새가 조금씩 다를 수는 있습니다만, 하는 역할은 모두 같습니다. 숫자의 부호를 반대로 뒤집습니다. 양수 숫자에 【+/-】를 누르면 음수가 되고, 음수 숫자에 【+/-】를 누르면 양수가 되죠. 3. 입력 순서 숫자를 입력하기 전에 눌러도 되고, 숫자를 입력한 후에 눌러도 됩니다.
    • 39 [일반 계산기] 【GT】 버튼 (메모리)의 사용법
    • 세상의모든계산기 2015.01.14 - 21:43 24362 1
    • 1. GT 기능이란? GT는 "Grand Total" 의 약자로서 합계액을 의미합니다. 계산기의 【=】 버튼을 눌러서 나온 결과값들이 자동으로 GT 메모리에 차곡차곡 더해집니다. GT메모리가 비어 있을 때 또는 GT 메모리 값이 0일 때는 화면에 아무런 마크가 표시되지 않다가, GT메모리가 0이 아닌 값이 되면 계산기 화면에 GT 마크가 표시됩니다. GT 마크가 떠 있는 상태에서 【GT】 버튼을 누르면 현재까지 GT 메모리에 더해진 합계액이 화면에 표시됩니다. 실물 계산기에는 대부분 GT 메모리가 있으니 잘 활용하시면 계산기를 아주 유용하게 쓰실 ...
    • 38 [일반 계산기] 세제곱근 구하기. 방법#1, 정수제곱근법 & 뉴튼-랩슨법을 이용한 반복계산
    • 세상의모든계산기 2015.01.18 - 00:43 26847 15
    • 세제곱근 버튼이 없는 일반 계산기로 세제곱근을 구할 수 있을까요? $$ \sqrt[3]{a} = ? $$ 구할 방법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누군가 물어본다면 "일반 계산기로는 세제곱근을 구할 수 없다"고 말하는게 좋겠습니다. 왜냐하면 직접 그 값을 구하는 것도 쉽지 않을 뿐 아니라, 상대방을 이해시키는 것도 쉽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래도 그 방법을 알고 싶으시다면... 계속 읽어보세요. 따라하실 분은 자릿수가 최대한 많은 계산기로 따라하시구요. 반올림 설정하시고, 자릿수는 F로 설정하세요. 방법1 : 계산기 정수 제곱근법을 이용 1. 처음...
    • 37 [일반계산기] 회계사 시험 CPA 전용? 계산기? JS-40LA ▶ JS-40V ▶ JS-40B
    • 세상의모든계산기 2016.02.29 - 22:18 4411 10
    • [JS-40LA] <사진 출처 : https://www.carousell.com.hk> 회계사 시험 수험생들이 신주단지처럼 여기는 계산기가 있습니다. 바로 [JS-40LA] [JS-20LA] 제품입니다. 그 중에서도 Made in CHINA 는 잘 안쳐주고 Made in JAPAN 을 높게 쳐준다는 것 같습니다. 10만원에 거래되기도 하는 것 같은데... 그만한 성능이 있다기 보다는 일종의 부적으로서 효과를 기대하는 것이 아닐까요? http://cafe.daum.net/allcalc/XWpM/8 사용자 평가를 들어보면 (후속 기종들에 비해) 버튼이 좀 가볍고, 소음이 있다고 합니다. 빠른 입력에는 유리하지만, 도...
    • 36 알리발 무소음(?) 터치 계산기
    • 세상의모든계산기 2024.10.04 - 22:59 277
    • 알리에서 장바구니 가격 맞추느라 넣어 봤습니다. 장점 - 조용히 누르면 무소음 - 가벼움 - 아주 어두운 거 아니면 화면은 켜짐 (태양광 only) - % 계산은 됨. Non-K 타입 단점 - 살살 누르면 입력 안될 수 있음. - 생각없이 누르면 책상을 그냥 두드리는 것 마냥 소리 남. - 너무 가볍고, 바닥 마찰이 작아서 터치시 움직임. - 태양광 뿐이어서 어두운 곳에서는 안켜짐 - 간신히 켜질 정도의 광량에서는 켜지더라도 계산 속도 느려짐. - 8 Digits 라서 큰수 계산에 불리. - GT 없음. - 상수계산 (반복계산) 안됨. - 험하게 다루면 플라스...
    • 35 [일반 계산기] 흰색 글씨? 액정의 Casio J-120F-L
    • 세상의모든계산기 2024.10.01 - 00:01 191 2
    • ' https://www.casio.com/jp/basic-calculators/product.J-120F-L-FBU/ 보통 일반 계산기의 액정은 바탕이 밝은 회색이고, 글씨(숫자)가 검정색으로 표시됩니다. J-120F-L 은 그와 반대로 바탕이 검정색이고, 글씨가 밝은 회색으로 표시됩니다. Active 한 방식으로 빛이 나오는 게 아니고, 그냥 글씨-배경 색이 바뀐 것 뿐입니다. 그 외에도 디자인적으로 특별한 점이 여럿 있습니다. 1. 폰트가 특별 : 약간 할로윈 느낌? 2. 케이스가 특별 : 그라디언트 3. 케이스가 더 특별 : 다양한 디자인 있음. https://web.casio.jp/dentaku/sp/the-c...
    • 34 통신 기능(BT, 블루투스)이 있는 일반 계산기
    • 세상의모든계산기 2024.09.29 - 14:21 233 2
    • 일반 계산기는 학교, 직장, 일상 생활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사무용 도구입니다. 주로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 등의 기본적인 계산에 사용됩니다. 입력을 받기 위한 버튼, 계산을 수행하는 내부 회로, 그 결과를 보여주기 위한 액정화면으로 구성됩니다. 매우 단순하고 심플한 기기입니다. 그런데, 이런 평범함을 거부하는 일반 계산기가 없지 않습니다. 개발되는 과정은 이런 것 같습니다. 1. 숫자 키 없는 키보드가 있음. 숫자 키 없어서 불편. 2. 숫자 키만 따로 떼어서 보조 키보드로 만듦. 3. 숫자 키가 있는데, 액정을 붙일까? 그...
    • 33 일반 계산기, 기계식 키 - LOLOCK
    • 세상의모든계산기 2024.09.30 - 19:53 166 1
    • 처음 봤을 때는 액정상태가 영 안좋아서 첫인상이 별로 좋지 않았습니다. 써 놓기만 기계식이라고 해 놓고, 실제로는 멤브레인 방식이겠거니 생각했습니다. 키보드 숫자키처럼 생겼으면 아묻따 "기계식"이라고 제목부터 붙여넣는 사기꾼들이 너무 많아서... 그런데 영상을 보니 청축 소리(딸깍)가 나네요. 1. 아마존에서 팔고 있구요. https://a.co/d/blPanBM 2. 가격은 16$ 수준인데, 기계식인거 감안하면 나쁘지 않은 것 같습니다. 색은 블루/블랙/크림/핑크 4색 선택 가능하구요. 동영상 속 검빨이 좋네요. 3. 스위치는 변경할 수 있으...
    • 1 2 3
    • / 3 GO
    by OrangeDay
    • 일반(쌀집) 계산기
    • allcalc.org
    • 세모계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