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상수 계산이란?
"연산자&숫자" 입력이 반복되는 계산을 해야할 경우, 반복되는 부분을 생략하고 계산식을 입력하게 함으로써, 계산 효율을 높일 수가 있습니다. 그것을 "상수 계산"이라고 부릅니다.
2. K Type 상수 계산 방법
일반 계산기는 상수계산을 명시적으로 지정(=연산자를 2회 연타)하는 타입(K TYPE)과, 암묵적(=항상 상수계산대기상태)으로 사용하는 타입(Non-K Type)의 계산기로 나뉩니다. 두 타입은 버튼의 입력 순서가 조금 다를 뿐, 계산능력의 차이가 있는 것은 아닙니다.
K Type의 계산기에서 상수계산이 시행되면, 상수계산 중임을 알리는 'K' 마크가 화면에 표시됩니다.
ㄴ 여기서 K는 독일어로 Konstante 의 약자입니다.
CASIO 의 일반 계산기는 대부분 명시적 타입(K Type)이고, CASIO 이외의 일반 계산기는 (제가 아는 한) 모두 Non-K Type 입니다만, CASIO 계산기 중에서도 K 타입이 아닌 기종이 상당수 있습니다. 그래서 K Type 을 카시오 타입이라고 명칭하긴 어렵습니다.
예시) 2×5와 3×5를 2회 계산하면서, 반복되는 ×5 를 상수계산 방식으로 입력생략
반복되는 숫자 입력 |
|
반복할 연산자 (+ - × ÷) 2회 입력 |
|
계산될 대상 입력 |
【=】 결과 |
5 |
|
× × |
|
2 |
= 10 (=2*5) |
2번째부터 입력 생략함 |
|
3 |
= 15 (=3*5) |
└ JW-200TV 설명서 中 발췌 ┘
3. 응용, Time Value of Money (TVM)
http://www.allcalc.org/3904 의 본문 예시 참조
- 시장 이자율 10%일 때
- 1원의 5년 후 미래가치 : 【1.1】
【×】【×】
【1】
【=】【=】【=】【=】【=】
1.61051
- 5년후 1원의 현재가치 : 【1.1】
【÷】【÷】
【1】
【=】【=】【=】【=】【=】
0.62092(반올림)
- 5년만기 연금 1원의 현재가치 (기말납부) : 3번식(현재가치) 후 【GT】
3.79079(반올림)
- 5년만기 연금 1원의 현재가치 (기초납부) : 3번식에서 【=】 4회로 바꾸고 【GT】
【+】
【1】
【=】
4.16987(반올림)
- 5년만기 연금 1원의 미래가치 (기초납부) : 【1.1】
【×】【×】
【1】
【M+】【M+】【M+】【M+】【M+】
【MR】
6.1051
- 5년만기 연금 1원의 미래가치 (기말납부) : 【1】
【M+】
【1.1】
【×】【×】
【1】
【M+】【M+】【M+】【M+】
【MR】
6.71561
※ 6,7번에서는 GT 대신 M을 사용하였는데, GT를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4. 주의
상수 계산(K 마크 표시) 중 【M+】나 【M-】 버튼을 누르면, M버튼을 누르기 전에 화면에 표시되던 값이 아니라 거기서 【=】 계산이 한번 더 시행된 후의 계산값이 M 메모리로 결과값이 더해지거나 빼지는 작업이 이루어지므로 주의하셔야 합니다.
Q: [일반 계산기] 일반 계산기 : 상수 계산 - SHARP, CANON 세상의모든계산기 2015.0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