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M 기능과 GT 기능의 비교
M 메모리는 (GT 메모리와 마찬가지로) 계산 결과를 저장하고 불러올 수 있는 공간입니다.
└ 일부에서는 M메모리를 "M통", GT메모리를 "GT통"으로 부르기도 합니다. 공식용어는 아닙니다.
M 과 GT 는 계산 결과를 일시적으로 기억(메모리)한다는 점에서 동일합니다.
차이점이 있다면, GT는 M의 심플버전이라는 점입니다. (심플하다=편하다+기능이 적다)
GT는 【=】 기호가 입력될 때 자동으로 더해지기만 합니다. 관련 버튼도 【GT】와 【=】 두개 뿐입니다.
M은 【M+】 또는 【M-】 를 누를 때만 메모리에 더해지거나 빼집니다. 버튼도 4개를 차지합니다. (기종에 따라 3개)
[참고] GT 기능 확인하러 가기
핵심 차이점
GT 메모리는 【=】 버튼을 누를 때 (필요하지 않을 때도) 자동으로 더해집니다. 자동이라서 더하기 싫어도 막을 방법이 없는 단점이 있습니다.
M 메모리는 '더하기(+)도 되고 빼기(-)도 된다'는 것과, '필요할 때만 메모리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이 장점입니다.
2. 계산기별 M 기능(버튼)의 차이
- 【M+】 【M-】 로 표시된 계산기도 있고,
【M+=】 【M-=】 로 표시된 계산기도 있습니다.
표기방식에 따른 차이가 있는 것 같진 않습니다만, 상수계산 중일 때 K Type vs NonK Type에 따라서 【=】가 먼저 실행되어 반복이 1회 추가되고 안되고의 차이가 있습니다. - 【MR】, 【MC】 로 표시하는 계산기도 있고, 거꾸로 CM, RM 으로 표기하는 계산기도 있습니다. (기능 차이는 없습니다)
- 【MR】, 【MC】 이 분리되지 않고 합쳐진 【MRC】 버튼만 있는 계산기도 있습니다.
【MRC】 버튼은 한번 누르면 MR로, 그대로 다시 한번 누르면 MC 로 동작합니다.
3. 사용법 예시
- "1 - 2×3 + 4×5×6 + 7 - 8×9 = ?"를 계산해 보자. (정답 : 50)
- GT 를 이용할 때 입력 순서 (CASIO 류, K-Type)
⇒ 결과값 = 50
⇒ 결과값 = 183, SHARP 류, Non-K Type의 계산기에서. 상수계산 방식의 차이 때문.
이 때는 【7】【=】 대신에 【7】【×】【1】【=】 또는 【7】【+】【0】【=】 으로 입력.
- M 메모리 이용시 입력순서
* 결과값 = 50 ()
* 이 때는 계산기 종류와 관계 없이 모두 동일한 결과.
더하기만 있을 때는 GT가 짱이지만, 이렇게 중간에 빼기가 들어가면 때문에 입력이 매끄럽지 않을 수 있습니다. 그런 경우에는 【M+】, 혹은 【M-】 버튼을 이용하는 것이 직관적일 수 있겠습니다.
4. M 저장값 지우기 (아래 방법 중 택1)
- 【MC】 혹은 【CM】 이라고 적힌 키를 누르면, M 값이 초기화되어 지워집니다.
【MRC】 버튼이 있는 경우에는 2번 연속 눌러야 합니다. - 【AC】 를 누를 때 없어지는데, 계산기에 따라 다를 수도 있습니다.
- 【MR】 【M-】 : 현재 M에 저장된 값을 불러내고, 그 값을 M에서 빼서 저장. 0 이 저장되면서 초기화 됩니다.
계산기에 M 마크가 없어졌다면 M 값이 초기화된 것입니다.
5. 주의사항 (윈도우 내장 계산기)
윈도우(윈도우7 기준)에 내장된 계산기의 M기능은 연산중인 경우에도 연산의 결과가 아닌 현재 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숫자만을 대상으로 M 기능이 작동합니다. 따라서 연산의 결과를 M에 적용시키려면 먼저 를 눌러서 연산을 마쳐야만 합니다.
예시1
7.5+(30-15)×15% = 9.75
【7.5】【M+】
【30】【-】【15】【×】【0.15】【M+】
【M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