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지식인 룰렛 제도 개편 - up/down vote 유도
무슨 의미인가 하면...
룰렛에 이용권 평가에 있어 가치비교를 할 때
"답변을 다는 행위" < "답변의 질을 체크하는 행위"
로 본다는 것이죠.
네이버 입장에서는
추가비용 없이 "휴먼들이 답변의 질을 체크하는 행위를 유도하겠다"는 의도로 보이는데...
ㄴ 경품이라고 해봐야 어차피 내공이고, 가뭄에 콩나듯 네이버 캐쉬 100원.
내심은
1. '답변의 질을 평가해서 양질의 AI 학습 데이터로 활용하고 싶다'는 것 같습니다.
이건 거의 확실해 보이구요.
2. '성의없는 매크로 답변이 많이 달리는 추세여서 이를 방지'하려는거 아닌가? 싶기도 한데...
down 많이 받으면 매크로 답변이 줄어드나? 하면 불이익은 없는 것 같으니 그건 아닌것 같고.
세상의모든계산기 님의 최근 댓글
낮에 TV에서 영화 '말모이' 해주더라구요. 그래서 한번 물어 봤습니다. 2025 10.10 마지막 발언이 마지막 힌트이자 문제의 핵심이군요. 처음 들은 달이 8월이었다면 (15일인지 17일인지 확신할 수 없어서) 마지막 대사를 할 수 없지만, 처음 들은 달이 7월이었다면 (선택지가 16일 하나라서 확신이 가능하므로) 마지막 대사를 할 수 있다. 대사를 했으니 7월이다. 이제 이해되었습니다. 지금 보니까 이해가 되는데, 당시에는 왜 이해가 안됐을까요? 세가지 전제 하에 문제를 풀면 A는 마지막 대화 2줄만으로 C의 생일을 알 수 없어야 정상인데, 무슨 이유에서인지 "그럼 나도 앎!"이라고 선언해 버립니다. 알게 된 이유를 대화 속에서 찾을 수는 없습니다. 이 편견에 사로잡혀 빠져나오지 못하고 다른 길로 계속 샜나봅니다. 2025 10.09 원래 식이 풀어진 상태에서는 두번째 인수 v가 분모, 분자에 섞여 있어서 계산기가 처리하지 못하는 듯 합니다. 이 때는 위에서와 반대로 분모 부분만 다른 문자(w)로 치환한 다음 completesquare(,v^2) 처리를 하면 일부분은 묶이는 듯 합니다. 하지만 여기서 처음 모양으로 더 이상 진행되진 않네요. 2025 10.08 전체 식에서 일부분(분모, 루트 내부)만 적용할 수는 없습니다. 번거롭더라도 해당 부분만 따로 끄집어 내서 적용하셔야 합니다. https://allcalc.org/30694#comment_30704 2025 10.08 분수의 분모 아닌 v만 w로 치환해 놓고, 결과를 completesquare 돌리면 앞부분은 묶이는 듯 합니다. 2025 1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