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상의 모든 계산기 자유(질문) 게시판 일반 ()
[계산] 농업용 스프린클러 3개 설치시 면적? 살수량? 관수량? 강수량?
https://kin.naver.com/qna/detail.naver?d1id=11&dirId=1113&docId=471948019
농업용 스프링클러 3개를 이렇게 배치하고
분당 100L에 20m 거리를 살수하는 스프링클러를 한시간 동안 사용하면
저 면적에 약 15mm정도의 물이 살수된다고 하는데
이때 면적은 얼마만큼의 면적을 말하는 걸까요
2번 3번 겹치는 곳은 한번 겹친다고 보는 건가요?
살수량 = (100L/min X 60min) / (0.866 X 20 X 20) 해서 대충 15 나온다
그리고 잘 기억은 안나는데 0.866이면 사인값인 것 같고
무튼 스프링클러 하나만 생각하면 시간당 6000L = 6톤 = 6m^3인데
15라는 값 같으면 4 정도로 나뉘어진다는 거일텐데
단순히 원면적인 πR^2는 아닌 것 같고 해서 질문드립니다
댓글3
-
세상의모든계산기
아무래도 최소 숫자로 최대의 면적을 커버하는 최적의 공식이 이미 있을 것 같은데...
당장 검색이 잘 안되니 일단, 문제에 집중해 보겠습니다.
문제에서는 아무리 봐도 3개 원의 교점이 원의 중심을 지나는 것을 가정하는 듯 보입니다.
그렇지 않다면... 어쩔 수 없구요.
- 노란 정삼각형 면적 = area_t
- 빨간 호의 면적 = area_a
- 원(1개)의 면적을 = area_c
- 물이 1번 뿌려지는 3개 부분 중 한 부분의 넓이 = s1
- 물이 2번 뿌려지는 3개 부분 중 한 부분의 넓이 = s2
- 물이 3번 뿌려지는 부분의 넓이 = s3
- 라고 하면 각 면적은 아래와 같이 계산됩니다.
질문하신 내용 중에 0.866*20*20 부분은 삼각형 2개의 면적과 같은데...
무슨 공식이 있는 것인지는 모르겠으나, 무슨 근거인지 갸우뚱하네요.
스프링클러 1개에서 1시간동안 나오는 물의 양을 w_hour 라고 하면
전체 면적 평균으로 내면 대략 7mm 강수량에 해당하고,
스프링클러가
1번 만 지나가는 부분의 강수량은 w1 = 4.77mm
2번 지나가는 부분의 강수량은 w1*2 = 9.55mm
3번 지나가는 부분의 강수량은 w1*3 = 14.32mm
15mm 라고 계산한 것은 3번 지나가는 한 가운뎃 부분의 강수량과 얼추 비슷한데,(지금 추정하기로는) 물이 제일 많이 먹게되는 곳의 강수량을 쉽게 계산하기 위한 편법공식같은게 아닐까 싶네요. -
세상의모든계산기
1번 뿌려지는 강수량/시간 을 3번 곱하지 않고,
왜 삼각형*2개로 계산했는가를 곰곰히 생각해 보니,
삼각형 2개로 계산하는게 맞네요.
: 3번씩 뿌려지는 부분이 중복에 중복이라 다시 3번 뿌려지는 면적에서 빼야 하는데, 그것이 결국 삼각형 모양이 되고,
합쳐지면 정육각형 벌집모양으로 완결됨.
설치하는 스프링클러 갯수가 많아질수록
정육각형을 가정하는 편이 계산도 편해지고, 오차가 줄어듭니다.
예) 비현실적이지만, 가로 100,000 줄, 세로 100,000 줄로 스프링클러를 배치하면
대략 이렇게 되겠죠.
1번 또는 2번 겹치는 부분을 제외하면 사각형으로 봐도 될 것이고,
1번 또는 2번 겹치는 외곽부분까지 대충 포함하더라도 평균 강수량(mm) 에는 별 차이가 없게 됩니다.
세상의모든계산기 님의 최근 댓글
고장남 - POST 진입 실패, 모니터 안나옴 직접 사용할 일이 없어져서, 고향집에 가져다 놓고 어댑터만 꼽아 두었습니다. 마지막으로 켠 것은 25년 6월쯤이 아니었을까 싶습니다. (이상증상은 없었구요) 이번 추석에 가서 켜 보니까, 화면이 아예 안나오더라구요. 집에 가져와서 분해해 살펴보니까 - 어댑터 12V는 정상 - 어댑터 꼽으면 바로 POWER 는 켜집니다. ㄴ POWER ON -> Fan 돌아감 + 파워 LED 들어옴 + NVME에 LED 들어옴 ㄴ HDMI 1, 2 신호 전혀 안들어옴 (모니터 2대 확인) ㄴ 키보드에 LED 안들어옴 (USB 5V 가 안들어오는 듯 함) - 옆구리 버튼은 작동하지 않습니다. 길게 눌러도 꺼지지 않음. 하나씩 제거하면서 변수를 제거해 봤는데, 뭘 해도 상태가 똑같습니다. 보드쪽에 문제가 생긴 것 같습니다. 2025 10.14 다항식 나눗셈 (가장 정석적인 방법) (피제수, 나뉠 식) r1*r3 를 (제수, 나누는 식) r1+r3 로 직접 나누며, 여기서 r1을 변수로 취급합니다. 1. 몫 구하기: r1*r3 (나뉠 식)의 최고차항을 r1+r3 (나누는 식)의 최고차항 r1로 나눕니다. (r1*r3) / r1 = r3 <-- 이것이 몫(Quotient)이 됩니다. 2. 나머지 구하기: (원래 분자) - (몫 × 분모) 를 계산합니다. (r1*r3) - (r3 × (r1+r3)) = r1*r3 - (r1*r3 + r3^2) = -r3^2 <-- 이것이 나머지(Remainder)가 됩니다. 3. 결과 조합: 최종 결과는 `몫 + (나머지 / 나누는 식)` 형태로 씁니다. r3 + (-r3^2 / (r1+r3)) \[ \begin{array}{l} \phantom{r_1+r_3 \overline{) r_1 r_3}} r_3 \\ r_1+r_3 \overline{) \begin{array}[t]{@{}r@{}} r_1 r_3 \phantom{+r_3^2} \\ - (r_1 r_3 + r_3^2) \\ \hline -r_3^2 \\ \end{array}} \end{array} \] 2025 10.14 부분적 과정으로 분자(변수의 곱)를 다른 변수로 치환할 수 있다면 (r1*r3=a, r2*r4=b) 다항식에서도 강제 나눗셈 과정을 막을 수 있겠습니다만, 원래의 식에 적용시킬 수는 없어 의미가 없겠습니다. 2025 10.14 (r1*r3) / (r1+r3) 에서 원래라면 분자(r1*r3)에서 하나의 변수를 선택하여 그것을 기준으로 분모를 나누고 몫과 나머지로 분리하여 표현하는 것이 기본 원칙입니다만, 결과가 단항인 분수식일 경우 분자가 두 변수의 곱으로 표현되더라도 그것이 더 간단한 표현인 것으로 보고 그대로 두는 듯 합니다. 하지만 마지막 예시에서 보이는 것처럼 +1만 붙는 간단한 형식일지라도 다항식이 되는 순간 원래의 기본 원칙대로 대수의 나눗셈(r1*r3를 (r1+r3)로 나눔)이 강제 진행되어버리고 이를 막을 수 없는 듯 합니다. 2025 10.14 낮에 TV에서 영화 '말모이' 해주더라구요. 그래서 한번 물어 봤습니다. 2025 1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