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상의 모든 계산기 자유(질문) 게시판 일반 ()
네이버 라인 사태로 시끌시끌하네요.
그냥 네이버 혼자 해결하든,
일본 법원에 소송을 제기하든,
한국 정부에 지원을 요청하든,
네이버가 결정할 일이고,
네이버의 결정과 무관하게 정부가 반드시 해야 할 일이 있는 것이겠습니다만,
네이버가 무조건 불리한 싸움일거냐? 하면
꼭 그렇지만은 않을 것 같습니다.
배보다 배꼽이 더 크다고...
"네이버 없이 라인이 제대로 돌아갈 것인가?"
회의적이지 않나요?
반면에
"소프트뱅크 자본 없이 라인이 제대로 돌아갈 것인가?"
돌아가겠죠. 당연히. 네이버가 돈이 없어서 합작회사 만든게 아니니까...
네이버가 무슨 속마음을 가지고 있는지는
네이버가 휘두를 수 있는 칼이 전혀 없는 건지 알 수 없지만,
똑똑한 사람들일테니 알아서 잘 하겠죠.
저는 계산을 좋아하니...
만약 지분을 팔라고 한다면 지분의 정당한 가치는 얼마인가? 가 관심인데...
지분의 정당한 가치는
사려고 하는 가치 = 팔려고 하는 가치
로 결정되는게 맞습니다.
무슨 말인가 하면...
케익을 공평하게 자르는 문제와 같다는 겁니다.
(그러면 불리=불공평한게 맞네요)
댓글3
-
세상의모든계산기
하이브-민희진 사건의 경우에도
문제가 커지기 전에
같이 할 수 없게 되었음을 서로 동의하고
최선의 결과를 찾는다면
A) 민희진씨가 18%의 지분을 풋옵션을 행사해 1000억 받고 털면 되는 것이고,B) 뉴진스(어도어)와 절대로 떨어질 수 없어, 그 반대계약을 맺는 걸로 한다면
하이브 지분 82%를 같은 조건으로 계산해
1000억*0.82/0.18 = 4556억을
은행 대출을 받든, 엔젤 투자자에게 받든, 팬들에게 받든 어떻게든 모아서 전부 인수해
100% 주인이 되는 것이 공평한 것이겠죠.
그런 아름다운? 그림이 나오는 상황이 아니다보니,
귀책사유를 누가 더 그럴듯하게 포장하느냐의 싸움이 되는 것이겠구요. -
세상의모든계산기2024.05.14 - 02:53 #40707https://news.mt.co.kr/mtview.php?no=2024031810483147163
2024.03.18. 기사
어도어는 2023년 매출액이 1102억8300만원
전년대비 491.8% 증가
순이익 265억3400만원
하이브는 지난해 1분기 어도어의 지분율을 100%에서 80%로 낮췄다. (23년도 1분기)
매각 대상자는 밝혀지지 않았지만, 민희진 대표인 것으로 추정된다.
에스엠엔터테인먼트에서 17년간 일했던 민 대표는 2019년 하이브에 합류한 뒤 2021년 11월부터 어도어를 이끌고 있다. 아티스트 발굴, 육성, 프로듀싱, 디자인 등을 총괄하고 있다.
하이브는 "어도어의 지분투자와 관련해 20% 지분에 대해 풋옵션을 부여하는 주주 간 약정을 체결하고 있다"며 "일정한 조건이 충족할 경우에 한하여 거래상대방이 보유한 20% 지분을 전부 매수할 수 있는 콜옵션도 보유하고 있다"고 밝혔다.
세상의모든계산기 님의 최근 댓글
고장남 - POST 진입 실패, 모니터 안나옴 직접 사용할 일이 없어져서, 고향집에 가져다 놓고 어댑터만 꼽아 뒀습니다. 이번 추석에 가서 켜 보니까, 화면이 아예 안나오더라구요. 가져와서 분해해 살펴보니까 - 어댑터 12V는 정상 - 어댑터 꼽으면 바로 POWER 는 켜집니다. ㄴ POWER ON -> Fan 돌아감 + 파워 LED 들어옴 + NVME에 LED 들어옴 ㄴ HDMI 1, 2 신호 전혀 안들어옴 (모니터 2대 확인) ㄴ 키보드에 LED 안들어옴 (USB 5V 가 안들어오는 듯 함) - 옆구리 버튼은 작동하지 않습니다. 길게 눌러도 꺼지지 않음. 2025 10.14 다항식 나눗셈 (가장 정석적인 방법) (피제수, 나뉠 식) r1*r3 를 (제수, 나누는 식) r1+r3 로 직접 나누며, 여기서 r1을 변수로 취급합니다. 1. 몫 구하기: r1*r3 (나뉠 식)의 최고차항을 r1+r3 (나누는 식)의 최고차항 r1로 나눕니다. (r1*r3) / r1 = r3 <-- 이것이 몫(Quotient)이 됩니다. 2. 나머지 구하기: (원래 분자) - (몫 × 분모) 를 계산합니다. (r1*r3) - (r3 × (r1+r3)) = r1*r3 - (r1*r3 + r3^2) = -r3^2 <-- 이것이 나머지(Remainder)가 됩니다. 3. 결과 조합: 최종 결과는 `몫 + (나머지 / 나누는 식)` 형태로 씁니다. r3 + (-r3^2 / (r1+r3)) \[ \begin{array}{l} \phantom{r_1+r_3 \overline{) r_1 r_3}} r_3 \\ r_1+r_3 \overline{) \begin{array}[t]{@{}r@{}} r_1 r_3 \phantom{+r_3^2} \\ - (r_1 r_3 + r_3^2) \\ \hline -r_3^2 \\ \end{array}} \end{array} \] 2025 10.14 부분적 과정으로 분자(변수의 곱)를 다른 변수로 치환할 수 있다면 (r1*r3=a, r2*r4=b) 다항식에서도 강제 나눗셈 과정을 막을 수 있겠습니다만, 원래의 식에 적용시킬 수는 없어 의미가 없겠습니다. 2025 10.14 (r1*r3) / (r1+r3) 에서 원래라면 분자(r1*r3)에서 하나의 변수를 선택하여 그것을 기준으로 분모를 나누고 몫과 나머지로 분리하여 표현하는 것이 기본 원칙입니다만, 결과가 단항인 분수식일 경우 분자가 두 변수의 곱으로 표현되더라도 그것이 더 간단한 표현인 것으로 보고 그대로 두는 듯 합니다. 하지만 마지막 예시에서 보이는 것처럼 +1만 붙는 간단한 형식일지라도 다항식이 되는 순간 원래의 기본 원칙대로 대수의 나눗셈(r1*r3를 (r1+r3)로 나눔)이 강제 진행되어버리고 이를 막을 수 없는 듯 합니다. 2025 10.14 낮에 TV에서 영화 '말모이' 해주더라구요. 그래서 한번 물어 봤습니다. 2025 1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