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EARCH

    통합검색
세모계
    • Dark Mode
    • GNB Always Open
    • GNB Height Maximize
    • Color
    • Brightness
    • SINCE 2015.01.19.
    • 세모계 세모계
    •   SEARCH
    • 세상의 모든 계산기
      • 자유(질문) 게시판
      • 계산기 뉴스/정보
      • 수학, 과학, 공학 이야기
      • 세모계 : 공지 게시판
        • 구글 맞춤검색
    • TI
    • CASIO
    • HP
    • SHARP
    • 일반(쌀집) 계산기
    • 기타계산기
    • by OrangeDay
  • 세상의 모든 계산기 계산기 뉴스/정보
    • 세상의 모든 계산기 계산기 뉴스/정보 ()
    • [공학용 계산기] 화면에는 안보이는 하위 자릿수 확인하기

    • Profile
      • 세상의모든계산기
      • 2024.09.27 - 15:07 2015.10.14 - 12:31 2753 10

    공학용 계산기는 내부적으로 계산에 사용하는 (유효)숫자와 외부화면상에 보여주는 숫자의 자릿수 차이가 있습니다. 내부적으로 계산에 사용하는 (유효)숫자는 대략 12자리~15자리로 계산기마다 차이가 있습니다. 자릿수가 많을수록 계산 결과가 더 정확해 지지만, 그 댓가로 계산 속도를 잃고 더 많은 메모리가 필요하게 됩니다. 그래서 적당한 수준에서 내부적 유효숫자를 cut 하여 정해놓습니다.

    계산기에서 결과 화면상에 보이지 않는 추가적인 자릿수의 숫자를 확인하는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원리는 간단합니다. 안보이는 쪽은 숫자의 오른쪽이므로, 왼쪽을 하나씩 없애면 오른쪽이 하나 보이는 겁니다.

     

    예시)

    [CASIO fx-350 ES] 에서 log(1.23) 을 구하면 소숫점11자리까지만 나옵니다.
    (자릿수 표시 설정 : Norm1 혹은 Norm2 인 경우)
    K-20151014-443648.png

    정수부분이 없으므로, 적당히 10n 을 곱해서 소수부분을 정수로 만들고, 그 정수부분을 없애보겠습니다. 
    K-20151014-449088.png

    여기서 정수부분을 빼줍니다.
    K-20151014-449446.png

    그러면 안보이던 뒷부분(393979)이 드러나게 되는 것이죠. 

    같은 과정을 한번 더 하더라도 추가 자릿수는 나오지 않습니다. 
    K-20151014-450348.png
    (이미 계산기 내부의 유효 계산 자릿수를 다 확인하였기 때문입니다)

    확인한 값을 연결하여 

    최종 상용로그값 log(1.23) = 0.089951114393979 (유효숫자 14자리) 값을 구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주의

    여러 단계의 계산인 경우에는 계산 과정중에 발생하는 오차가 확인하려고 하는 유효자릿수보다 클 수 있습니다. 그럴 때는 위의 방법으로 확인한 최종 결과값을 그대로 믿어서는 안됩니다.

    따라서 결과값을 검토할 수 있다면 검토해서 사용하시고, 검토할 수 없다면 (틀린 결과일 수 있다는 가능성에) 주의해서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그것이 중요한 의미를 갖는 계산일 때에는 wolfram alpha 사이트를 이용해서 계산하시는게 좋습니다. 

    Attached file
    K-20151014-443648.png 733Bytes 153K-20151014-449088.png 707Bytes 156K-20151014-449446.png 709Bytes 168K-20151014-450348.png 653Bytes 168
    이 게시물을..
    N
    0
    0
    • 세상의모든계산기 25
      세상의모든계산기

      계산기는 거들 뿐
      혹은
      계산기를 거들 뿐

    세상의모든계산기 님의 최근 글

    세모계 사이트에서 파일 업로드 에러 (Type 7) 발생할 수 있습니다. 22 2025 10.13 언어의 유형과 만남: 고립어, 교착어, 그리고 한본어 현상에 대한 탐구 (written by Gemini) 103 1 2025 10.09 함수 Completesquare, 완전제곱식 변환 기능 87 1 2025 10.08 iptime 공유기 (AX2004T), 유선 핑 테스트 결과 (Ping Test) 396 11 2025 09.24 자동심장충격기, AED 내 주변에 설치된 곳 확인하기 254 1 2025 09.06

    세상의모든계산기 님의 최근 댓글

    수치해석 방법 method 를 강제로 선택할 수 있으면 좋을텐데... 위의 스샷을 보면 되는 듯 하면서도  아래 스샷을 보면 안되는 것 같기도 합니다.    solve(Expr,[Var]) csolve(LstEq,LstVar) nSolve(Expr,Var,[Guess or Interval],[Method]) deSolve(Eq,[TimeVar],FncVar) linsolve(LstLinEq,LstVar) fsolve(Expr,Var,[Guess or Interval],[Method]) 2025 10.17 종합해서 답변을 드리면   HP Prime 에 solve 에서 변수명에 구간을 입력하면  수치해석 방식으로 bisection 을 사용함.    이 bisection 방식은 해의 좌-우 부호가 서로 바뀌어야만 해를 인식하고  해의 좌-우 부호가 같으면 해를 인식하지 못합니다.    이 때문에 본문 sin 의 예나 아래 사진의 예에서는 해를 인식하지 못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2025 10.17 Gemini-2.5-pro 답변 ✦ 현대 컴퓨터 대수 시스템(CAS) 계산기에 탑재된 solve 기능의 일반적인 내부 동작 원리에 대해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현대 CAS의 solve 기능은 단순히 하나의 알고리즘으로 작동하는 것이 아니라, 마치 '순수 수학자'와 '문제 해결 공학자'가 협력하는 것처럼, 여러 단계에 걸친 정교한 '하이브리드(Hybrid)' 방식으로 동작합니다.     solve 함수의 작동 과정     1단계: 기호적 해법 (Symbolic Solver) - '순수 수학자'의 접근   계산기는 가장 먼저 방정식을 대수적으로, 즉 정확한 수학적 해를 찾으려고 시도합니다. 이 단계는 마치 사람이   공식을 이용해 문제를 푸는 과정과 같습니다.    1. 방정식 분석: solve 명령을 받으면, 시스템은 먼저 입력된 방정식의 구조를 분석합니다. (예: 이것이 다항식인가?       삼각방정식인가? 로그방정식인가?)    2. 규칙 기반 풀이: 분석된 구조에 따라, 시스템은 내장된 방대한 수학 규칙 라이브러리를 적용합니다.        * 선형/이차 방정식: ax+b=c 나 ax²+bx+c=0 같은 형태는 이항, 인수분해, 근의 공식 등을 이용해 즉시 풉니다.        * 고차 다항식: 인수분해, 조립제법 등의 규칙을 적용하여 유리수 해를 찾습니다.        * 삼각방정식: sin(x) = 0.5 와 같은 경우, x = nπ + (-1)ⁿ * (π/6) 와 같이 주기성을 고려한 일반해 공식을          적용합니다.        * 기타: 로그, 지수 법칙 등 해당 방정식에 맞는 대수적 풀이법을 총동원합니다.    3. 결과: 이 단계에서 해를 찾으면, 1.414... 와 같은 근사값이 아닌 √2 나 π/3 와 같은 정확한 기호 형태의 해를       반환합니다.   > 강점: 수학적으로 완벽하고 정확한 해를 제공합니다.   > 한계: 대수적인 풀이법이 알려져 있지 않은 방정식(예: cos(x) = x 또는 eˣ = x+2)은 풀 수 없습니다.     ---     2단계: 수치적 해법 (Numerical Solver) - '문제 해결 공학자'의 접근   만약 1단계의 '순수 수학자'가 "이건 공식으로 풀 수 없어"라고 결론 내리면, solve 기능은 포기하지 않고 2단계인   '문제 해결 공학자'에게 문제를 넘깁니다. 이 단계의 목표는 정확한 해는 아니더라도, 매우 정밀한 근사해를 찾는   것입니다.    1. 반복적 탐색: 수치적 해법은 방정식을 직접 푸는 것이 아니라, 해가 있을 만한 지점에서부터 시작하여 반복적인       계산을 통해 해에 점점 더 가까워지는 방식을 사용합니다.        * 적당한 값을 추측해서 대입해 봅니다.        * 결과가 0보다 큰지 작은지에 따라, 다음 추측값을 어느 방향으로 수정할지 결정합니다.        * 이 과정을 수없이 반복하여 오차가 거의 0에 가까워질 때까지 해를 좁혀나갑니다.    2. 핵심 알고리즘: 이때 사용되는 대표적인 알고리즘은 다음과 같습니다.        * 뉴턴-랩슨법 (Newton-Raphson Method): 미분(접선)을 이용하여 매우 빠른 속도로 해에 수렴하는 강력한          방법입니다.        * 이분법 (Bisection Method): 해가 존재하는 특정 구간을 계속 절반으로 나누어 범위를 좁혀나가는 방식으로,          속도는 느리지만 안정적으로 해를 찾을 수 있습니다.    3. 결과: 이 단계가 성공하면, 시스템은 0.739085133215 와 같이 소수점 아래 여러 자리까지 표현되는 매우 정밀한       부동소수점 형태의 근사해를 반환합니다.   > 강점: 대수적으로 풀 수 없는 복잡한 방정식의 해도 근사적으로 찾아낼 수 있습니다.   > 한계: 근사해이며, 알고리즘의 특성상 특정 조건(예: 해가 중근을 갖는 경우)에서는 해를 찾지 못하고 실패할 수도   있습니다.     결론: 왜 하이브리드 방식인가?     분석 → 기호적 풀이 시도 → (실패 또는 불가능 시) → 수치적 풀이로 전환   이처럼 현대 CAS의 solve 기능은 정확성(기호적 해법)과 범용성(수치적 해법)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기 위해   설계된 정교한 협력 시스템입니다. 먼저 가장 이상적인 '정확한 해'를 추구하되, 그것이 불가능할 경우 차선책으로   '정밀한 근사해'라도 찾아내어 사용자에게 최대한의 결과를 제공하는 것입니다. 2025 10.17 hp prime 이 solve 함수에서 해를 찾는데 어떤 방법(method)을 사용하는지 공식적인 무서로 정확하게 파악되진 않습니다. 2025 10.17 참고   x=guess 는 iterative 방식(일반적으로는 newton's method를 의미함)을  x=xmin .. xmax 는 bisection 방식을 사용하는 듯 합니다. // 구간지정 개념과는 차이가 있는 듯? 2025 10.17
    글쓴이의 서명작성글 감추기 

    댓글10

    • Profile 0
      세상의모든계산기
      2016.07.28 - 08:57 2015.10.14 - 12:40 #8135

      울프럼 알파로 확인한 결과값

      http://www.wolframalpha.com/input/?i=log%2810%2C1.23%29
      0.089905111439397931804439753223296108730642498024382953837222...

      댓글
    • Profile 0
      세상의모든계산기
      2024.03.17 - 22:41 2024.03.17 - 22:29 #40352

      https://kin.naver.com/qna/detail.naver?d1id=4&dirId=40402&docId=466406476&qb=6rOE7IKw6riw&enc=utf8§ion=kin.qna.all&rank=1&search_sort=3&spq=0

       

      24*1.08^395

      = 3.8246760741742144333298134773137547925018381087460557669889902692740302835543440552895098678257447980746108101685223968853... × 10^14

      https://www.wolframalpha.com/input?i=24*1.08%5E395

      댓글
    • Profile 0
      세상의모든계산기
      2024.03.17 - 22:37 #40355
      fx-991EX에서 확인

      계산 결과
      3.824676074174 * 10^14

      Ans - 3824676074000000
      17418.0
      댓글
    • Profile 0
      세상의모든계산기
      2024.03.17 - 22:40 2024.03.17 - 22:40 #40358

      TI nspire CX CAS

      스크린샷 2024-03-17 223942.png

       

      Attached file
      스크린샷 2024-03-17 223942.png 15.3KB 39
      댓글
    • Profile 0
      세상의모든계산기
      2024.09.12 - 19:06 2024.09.12 - 18:33 #47124

      계산기별 유효 하위 자릿수 확인 방법은? 예상했던 것과 결과가 다른 이유는?


      스크린샷 2024-09-12 182421.png 스크린샷 2024-09-12 182401.png

      ㄴ fx-991ES PLUS C Emulator

       


      10^1 이면 2자리, 10^11 이면 12자리. 
      1/10 = 0.1 = 1.0 * 10^(-1) 1자리 아닌가? 이것도 2자리로 들어가나? 

      (100,000,000,000 + 0.1) - 100,000,000,000 = 100,000,000,000.1 - 100,000,000,000 = 0.1

      (1,000,000,000,000 + 0.1) - 1,000,000,000,000 = 1,000,000,000,000. - 1,000,000,000,000  = 0

      이렇게 됐다는 말인데...

      그럼 내부 유효 자릿수가 최대 13이라는 거 아닌가? 14로 알고 있었는데?

       

      부동소숫점 처리가 되면 ×10^(m) 으로 바뀌면서 m(exponent) 도 자리를 차지하게 되는 건가?

      Attached file
      스크린샷 2024-09-12 182421.png 2.0KB 14 스크린샷 2024-09-12 182401.png 1.9KB 17
      댓글
    • Profile 0
      세상의모든계산기
      2024.09.12 - 18:36 2024.09.12 - 18:36 #47130

      fx-570EX PC Emulator


      스크린샷 2024-09-12 183549.png 스크린샷 2024-09-12 183605.png

       

      Attached file
      스크린샷 2024-09-12 183549.png 3.5KB 15 스크린샷 2024-09-12 183605.png 3.5KB 12
      댓글
    • Profile 0
      세상의모든계산기
      2024.09.12 - 18:37 2024.09.12 - 18:37 #47135

      TI-nspire CX CAS PC Emulator


      스크린샷 2024-09-12 182918.png

      Attached file
      스크린샷 2024-09-12 182918.png 33.3KB 13
      댓글
    • Profile 0
      세상의모든계산기
      2024.09.12 - 18:56 2024.09.12 - 18:39 #47139

      EL-W506T PC Emulator


      LCD_20240912_183831.png LCD_20240912_183854.png

       

      설명서  EL-W506T EL-W516T MODEL EL-W516XG

      image.png

       

      Attached file
      LCD_20240912_183831.png 1.2KB 25 LCD_20240912_183854.png 1.1KB 12 image.png 81.7KB 12
      댓글
    • Profile 0
      세상의모든계산기
      2024.09.12 - 18:50 2024.09.12 - 18:50 #47144

      fx-9750 GIII


      KakaoTalk_20240912_184906233.jpg

      Attached file
      KakaoTalk_20240912_184906233.jpg 350.4KB 12
      댓글
    • Profile 0
      세상의모든계산기
      2024.09.27 - 15:22 2024.09.27 - 15:07 #48117

      fx-570 ES Plus - Norm(1, 2)에서 


      2,786,774.58 + 152,529,503.4 = 155316277.98 이지만

       

      스크린샷 2024-09-27 144324.png

      ㄴ 강제로 소숫점 단위가 반올림되는 이유는? 

       

      image.png

      ㄴ fx-570 ES Plus 설명서 중 발췌

       

      설명서에 나온 것처럼 내부에 저장된 값과 관계없이, 

      인수가 10자리 수로(?) 반올림되기 때문입니다.

       

      155316277.98 에서 8이 반올림 되는 것인데

      그 결과

      155316278.0 이 되고 (Norm에서) .0을 표시하지 않는 내부 구조상 

      155316278 만 남게 되는 것입니다. 

       

       

      Attached file
      스크린샷 2024-09-27 144324.png 2.2KB 12 image.png 110.1KB 12 스크린샷 2024-09-27 151200.png 2.2KB 21
      댓글
    • 댓글 입력
    • 에디터 전환
    댓글 쓰기 에디터 사용하기 닫기
    • view_headline 목록
    • 14px
    • 목록
      view_headline
    10
    × CLOSE
    기본 (0) 제목 날짜 수정 조회 댓글 추천 비추
    분류 정렬 검색
    등록된 글이 없습니다.
    • 세상의 모든 계산기 계산기 뉴스/정보
    • 세상의모든계산기
    • 사업자등록번호 703-91-02181
    • 세모계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