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P 공통
[HP Prime] 설명서(Manual), 에뮬레이터 등
1. 공식 홈페이지 (매뉴얼)
http://support.hp.com/us-en/product/HP-Prime-Graphing-Calculator/5367459/model/5367460?lang=en
2. PC 에뮬레이터
http://www.hpcc.org/calculators/hpprime/HP_Prime_Virtual_Calculator_5106.zip
http://www.hpprime.de/en/category/6-downloads (PC-Emulator, Version 2013 11 25, Rev. 5447)
ftp://ftp.hp.com/pub/calculators/Prime <- 최신 버전 있을 것 (2015.02.10 기준 Rev. 6975)
3. 안드로이드 폰용 에뮬레이터 (유료 $20 ≒ 22000원)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hp.primecalculator
댓글3
- 1
- 2
세상의모든계산기 님의 최근 댓글
각 결과값의 비교 x y {x} 73.049507058553 23.747548955926 {y} 73.049507058479 23.747548955927 {x=1,y=1} 73.049507058477 23.747548955927 approx() 전처리 73.049507058479 23.747548955926 linsolve 73.049507058478 23.747548955926 2025 10.21 삼각함수로 구성된 방정식을 계산기가 소화하지 못하는 건가요? 원래 계산기 solve 함수가 삼각함수와 궁합이 나쁘지만, 이 경우의 삼각함수는 함수 내부에 변수가 들어가지 않기 때문에 함수라서 처리가 어려운 것이 아닙니다. 삼각함수 내부에 변수가 아닌 상수가 들어갔기 때문에 결과값도 상수일 뿐인데, numeric 한 상수로 처리하지 않고 symbolic 한 상수로 처리해 문제가 발생한 듯 합니다. 2025 10.21 답이 잘 나오지 않는 이유? solve는 답을 찾기 위해 내부적으로 여러 방식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가장 간단한 방식은 수치적 방법 numerical method 를 이용하는 것이구요. - 질문자님께서 하신 것처럼 숫자를 대입하거나 - 초기값을 입력하거나 - 계수 등으로 numerical 한 숫자가 들어가거나, 즉 소숫점이 직접 사용되거나 할 때 자동으로 numerical method 로 전환되어 계산됩니다. 그리고 결과에 ⚠️ 를 표시합니다. 그 의미는 적당한 수준(매우 작은 오차 수준)에서 답을 찾았으나, 재수가 없으면 오답일 수 있다는 경고입니다. 따라서 앞으로는 답이 안나올 때는 초기값을 넣는다거나 하는 방식으로 solve를 이용하시면 됩니다. 그럼 처음에 왜 false 가 나왔나를 생각해 보면 두가지 가능성이 있는데 ⓐ numerical method 가 아니라 exact 값을 구하려고 했는데 복잡해서 못구했다. ⓑ numerical method 를 썻지만, 검증해보니 안맞아서 false 로 처리했다. 그런데 ⓑ는 아닌 것 같습니다. 왜냐하면, numerical method 를 사용하면 사소한 오류가 있더라도 ⚠️경고를 할 뿐 무시하고 답을 내놓잖아요? 그럼 ⓐ 가 맞다는 말인데, 지금까지 제가 아는 바로는 입력한 수식에 소숫점이 들어가면 자동으로 approx()처리를 한다고 알고 있었고, 이 solve() 에 방정식 들어가기 전에 (approx) 전처리가 된 것이 들어가니 numerical method로 처리될 줄 알았는데, 아무리 봐도 그게 아닌 것 같습니다. solve에서는 예외적으로 처리가 되는 듯 합니다. 2025 10.21 4. 마지막으로 연립방정식 전문함수인 linsolve() 를 이용해도 답이 나옵니다. 결과값은 {73.049507058478,23.747548955926} 입니다. 이번엔 {true, true} 가 나왔습니다. 2025 10.21 3. 본문에서 cos, sin 을 풀어서 decimal 형식으로 넣은 것처럼 처리해도 답이 도출됩니다. 개별적으로 입력하지 않더라도, 연립방정식 수식 전체를 approx() 로 씌우면 처리됩니다. 답은 나오지만 이 경우에도 {true, true} 는 나오지 않았습니다. 그런데, 원래의 연립방정식에 검증하면 {true, false} 이지만, approx() 결과값에 검증하면 {false, true} 로 나오는군요. 2025 1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