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제목 그대로 복소수가 포함된 연립방정식을 cSolve({....})로 푸는데
답이 여러개가 나오는 것 뿐만 아니라 답조차 너무 길어서 시험칠 때 답을 보기가 어렵고
제가 설정을 Exponential Format : Engineering을 하여 뒤에 10-3, 10-6, ... 등등을 보기에 너무 불편하게 되었습니다.
Exponential Format : Engineering을 유지하되 연립방정식의 답을 간단하게 보고 싶습니다.
예시를 들겠습니다.
1.계산식 입니다. 뒤에 잘린 부분은 i1,i2,v1,v2 입니다.
2.위의 계산식을 ctrl+enter의 결과입니다
3. 1번의 계산식에서 【menu】【2】【9】【6】 하여 페이저 변환한 결과값 입니다.
이 방법을 해봤는데 뭔가 깔끔하지 않아서 좀 더 좋은 방법이 있지 않을까하여 질문드립니다.
1.미지수가 n개인 연립방정식이 nx1행렬로 답이 나오게 할 수 있을까요?
2.위의 2,3번 째 사진처럼 답이 길게 나오더라도 오른쪽으로 커서가 빠르게 갈 수 있는 단축키 같은게 있을까요?
(마치 오른쪽 페이지 넘기기 같은 단축키)
제가 설명을 잘 못해서 글이 길어졌네요.. 죄송합니다. 답변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1. 연립방정식 계를 변수(sys)에 할당
2. csolve( ) 그리고 ▶Polar
csolve(sys, i1, i2, v1, v2) → ans1
명령으로 해를 계산하고 변수 ans1에 저장합니다.
ans1▶Polar

명령으로 복소수를 페이저 형식으로 변환합니다.
여기까지가 직접 시도해보신 내용입니다.
Engneering Format을 유지해야 한다면 Digit 설정을 Float4~5 정도로 줄여주는 것이 좋을 수 있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