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상의 모든 계산기 자유(질문) 게시판 질문
[TI-nspire CX]복소수가 포함된 연립방정식 답이 너무 길 때 어떻게 간단하게 볼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제목 그대로 복소수가 포함된 연립방정식을 cSolve({....})로 푸는데
답이 여러개가 나오는 것 뿐만 아니라 답조차 너무 길어서 시험칠 때 답을 보기가 어렵고
제가 설정을 Exponential Format : Engineering을 하여 뒤에 10-3, 10-6, ... 등등을 보기에 너무 불편하게 되었습니다.
Exponential Format : Engineering을 유지하되 연립방정식의 답을 간단하게 보고 싶습니다.
예시를 들겠습니다.
1.계산식 입니다. 뒤에 잘린 부분은 i1,i2,v1,v2 입니다.
2.위의 계산식을 ctrl+enter의 결과입니다
3. 1번의 계산식에서 【menu】【2】【9】【6】 하여 페이저 변환한 결과값 입니다.
이 방법을 해봤는데 뭔가 깔끔하지 않아서 좀 더 좋은 방법이 있지 않을까하여 질문드립니다.
1.미지수가 n개인 연립방정식이 nx1행렬로 답이 나오게 할 수 있을까요?
2.위의 2,3번 째 사진처럼 답이 길게 나오더라도 오른쪽으로 커서가 빠르게 갈 수 있는 단축키 같은게 있을까요?
(마치 오른쪽 페이지 넘기기 같은 단축키)
제가 설명을 잘 못해서 글이 길어졌네요.. 죄송합니다. 답변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댓글 7
-
-
-
연립방정식-> sys 까지는 되는데
cSolve(sys,변수들)->ans1 여기서 계속 error뜨면서 첫번째 인수는 equation 이나 inequality라고 뜨는데 어떻게 해야하나요?
nspire cx cas 사용중입니다
-
-
-
https://allcalc.org/17453
질문 내용이 부족하여 답을 할 수 없습니다.
"연립방정식-> sys 까지는 되는데" 부분에 문제가 있을 것으로 추정해봅니다.
-
-
-
3-1. exp▶list( )
solve(및 csolve)의 정답 순서쌍이 여럿인 경우
exp▶list( ) 함수를 이용하여 list 혹은 matrix 형태로 해를 표시할 수 있습니다.solve : http://www.allcalc.org/3448
※ ▶Polar (류의) 명령은 항상 마지막에 붙여줍니다.
※ exp▶list 의 해 묶음은 항상 열(column) 로 표시됩니다.
따라서 행(row)으로 보려면 전치(Transpose) 명령을 넣어야만 합니다.
그런데 TI-nspire 에서 전치(Tanspose) 명령은 복소수를 무조건 켤레값(conjugate)으로 바꾸기 때문에, 행<>열 변환만 하려면 반대로 conj( ) 함수를 또 추가해 줘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습니다.
-
-
-
3-2. 제약식 연산자(constraint operator, |)
exp▶list( ) 함수는 좋은 함수이지만 위의 예처럼 사용하기 복잡할 때가 있습니다.
이럴 때는 제약식 연산자(constraint operator, |) 를 활용해서 변수를 하나하나 확인하는 것이 간단하고 확실할 수 있습니다.제약식 연산자 : http://www.allcalc.org/10244
-
-
-
4. 수식입력 Line 또는 결과출력 Line 안에서 (커서 깜빡일 때)
다음 포커스로 이동 【TAB】
역방향 포커스 이동 【SHIFT】 【TAB】줄 제일 끝으로 【CTRL】 【7】
줄 제일 끝으로 【CTRL】 【1】TI-nspire 단축키 : http://www.allcalc.org/5224
-
-
-
2년전부터 고민하던 문제를 이제야 해결하네요..
얼마전에 사이트를 알게되어 방법을 찾다가 도저히 몰라서 질문 올렸는데 정말 정성스러운 답변을 주셔서 감사합니다!
TI nspire 계산기 기능이 너무 많아 힘들었는데 앞으로 사이트 이용 자주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1. 연립방정식 계를 변수(sys)에 할당
2. csolve( ) 그리고 ▶Polar
csolve(sys, i1, i2, v1, v2) → ans1
명령으로 해를 계산하고 변수 ans1에 저장합니다.
ans1▶Polar
명령으로 복소수를 페이저 형식으로 변환합니다.
여기까지가 직접 시도해보신 내용입니다.
Engneering Format을 유지해야 한다면 Digit 설정을 Float4~5 정도로 줄여주는 것이 좋을 수 있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