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EARCH

    통합검색
세모계
    • Dark Mode
    • GNB Always Open
    • GNB Height Maximize
    • Color
    • Brightness
    • SINCE 2015.01.19.
    • 세모계 세모계
    •   SEARCH
    • 세상의 모든 계산기  
      • 자유(질문) 게시판  
      • 계산기 뉴스/정보  
      • 수학, 과학, 공학 이야기  
      • 세모계 : 공지 게시판  
        • 구글 맞춤검색  
      • 세상의 모든 계산기  
        • 자유(질문) 게시판  
    • TI  
    • CASIO  
    • HP  
    • SHARP  
    • 일반(쌀집) 계산기  
    • 기타계산기  
    • 세모계
    • by ORANGEDAY
  • CASIO
    • CASIO 350
    • [fx-350] 2차 방정식 해를 찾는 방법 - 2차 회귀식

    • Profile
      • 세상의모든계산기
        *.165.6.43
      • 2024.10.20 - 18:13 2015.10.22 - 23:31  28812  3

    1. [fx-350] 시리즈의 한계

     

    [fx-350] 기종은 EQN 모드도 없고, Solve 기능도 없기 때문에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방정식의 해를 구할 수가 없습니다. 


    * 동급인 fx-82도 같습니다만, fx-95 시리즈에는 EQN기능이 들어가 있습니다. 
    https://support.casio.com/global/ko/calc/manual/fx-82ESPLUS_85ESPLUS_95ESPLUS_350ESPLUS_ko/using_calculation_modes/equation_calculations.html

     

    2. 2차 방정식의 해 - 근의 공식 (fx-350 시리즈에서는 이 방법이 최선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2차 방정식의 해를 찾아야만 한다면? 근의 공식을 이용하는 수밖에 없습니다. 

    $$ x=\frac{-b\pm\sqrt{b^2-4ac}}{2a} $$

    기억이 가물가물 한데... 근의 공식을 중1 수학시간에 배웠던가???
    산수에서 수학으로 넘어가는 첫번째 관문이라고 할 수가 있죠.

    그나마도 ± 기호를 넣을 수 없으니, 식을 두번 따로 따로 계산해야 합니다. 

    예시) -4.905t^2+10t+20=0 의 해를 구해봅시다.

    K-20151022-816130.png K-20151022-816257.png

     

    3. 2차 방정식의 해 - 편법 (2차 회귀식 Regression)

     

    하지만, 이 계산기에도 기본 통계 기능은 있고, 나름 회귀 방정식이라는 것도 구할 수가 있습니다. 

    그렇습니다. 나름 방정식입니다. 우리가 찾는 바로 그 방정식과 같은 이름입니다. 선형 회귀, 지수회귀, 로그회귀, 그리고 다항식(2차) 회귀 등을 구할 길이 작게 열렸습니다. 

     

    한번 해 볼까요? 

    1. 통계 모드로 들어갑니다. 【MODE】【2】 STAT
      (계산기 모델에 따라서 메뉴번호가 조금 다를 수도 있습니다.)

       
    2. 암호같은 기호들이 잔뜩 나타나는데 당황하지 말고, 
      K-20151022-838786.png
      X의 제곱(²)기호가 있는 【3】_+cX² 을 선택
       
    3. 빈 칸이 나타났다면
      K-20151022-839983.png

      빈칸의 X와 Y에 방정식이 지나는 {X,Y} 순서쌍을 딱 3개만 넣어줍니다. 

      지금은 방정식 : -4.905t^2+10t+20=0 의 해를 구하고 있기 때문에 최대한 간단한 것을 찾아 넣습니다.
      (암산으로도 구할 수 있는) 좌표 {0,ㅁ} {1,ㅁ} {-1,ㅁ} 을 입력합니다. 어차피 계산기로 계산해서 넣으면 되니까 부담갖지 마시구요.
       
    4. X부터 차례대로 
      【0】【=】 
      【1】【=】 
      【(-)】【1】
      【=】
      Y는 차례대로 
      【20】【=】
      【-4.905*(1)+10*(1) +20】【=】
      【-4.905*(1)+10*(-1)+20】【=】
      K-20151022-831792.png
       
    5. DATA 입력이 끝났으면 【AC】를 눌러서 밖으로 나옵니다.
       
    6. 【SHIFT】 【1】 을 눌러서 STAT 관련 화면을 띄웁니다.
      K-20151022-844612.png
      ㄴ [fx-350EX] 기종은 【OPTN】 으로 들어가서 찾아보세요.

       
    7. 【7】 : Reg 을 선택합니다. 회귀 변수들이 보입니다. 
      K-20151022-844897.png
      A, B, C는 입력한 DATA(쌍)로부터 구해진 2차 회귀식(=방정식)의 계수들입니다. 
      x(햇)은 x절편, y(햇)은 y절편을 찾을 때 사용합니다. 
       
    8. 【4】 : x(햇=모자)1 또는 【5】 : x(햇=모자)2 을 눌러서 변수를 불러냅니다. 
      그리고 그 앞에! 0을 붙이고 【=】를 누르면 신기하게도 근이 구해집니다.
      ㄴ y=0에 해당하는 x절편 2개를 의미합니다. 즉 방정식=0 을 만족하는 두 해가 찾아진 것입니다.

      K-20151022-846501.png K-20151022-846625.png
      ㄴ 찾아진 절편값은 변수 메모리에 바로 저장(STO)할 수도 있고,
      앞 뒤로 괄호를 쳐서 결과값을 가공할 수도 있습니다.
      (괄호 안쳐도 되긴 합니다만, 모양상 치는 편이 헷갈리지 않을 듯)
      stat_mod1.png
      ​​​​

    근의 공식보다도 많이 복잡해 보이지만, 여튼 구하는 방법이 있다는 데 의의를... 


    위에서 y=0 과 방정식이 만나는 점인 해(y=0에서의 x절편)를 찾았다면, y=1 일 때의 x절편도 찾을 수 있습니다. 

    K-20151023-000667.png K-20151023-000883.png 

    그래프로 표현하면 이렇게 됩니다. 

    K-20151023-003435.png

     

    [fx-350MS] 기종도 (키 입력방법은 다르지만) 같은 원리로 해를 구할 수 있습니다. 
    2017-10-01_21-58-01.png

    2017-10-01_21-57-31.png

     

    0
    0
    Attached file
    K-20151022-816130.png 795Bytes 76K-20151022-816257.png 829Bytes 45K-20151022-831792.png 712Bytes 94K-20151022-838786.png 877Bytes 65K-20151022-839983.png 508Bytes 72K-20151022-844612.png 849Bytes 70K-20151022-844897.png 624Bytes 96K-20151022-846501.png 581Bytes 78K-20151022-846625.png 595Bytes 81K-20151023-000667.png 557Bytes 58K-20151023-000883.png 596Bytes 69K-20151023-003435.png 5.9KB 622017-10-01_21-58-01.png 10.3KB 672017-10-01_21-57-31.png 9.9KB 76stat_mod1.png 1.9KB 34
    이 게시물을..
    • 세상의모든계산기 세상의모든계산기 Lv. 25

      계산기는 거들 뿐
      혹은
      계산기를 거들 뿐

    • [fx-570] ES, EX 미분 기능 의 입력 및 계산, Differential Calculation세상의모든계산기
    • [fx-9860G] 행렬 Matrix 의 입력세상의모든계산기

     댓글 3

      • Profile
      • 세상의모든계산기 (*.165.6.43) 2016.04.05 21:21 #comment_17136

        TABLE 기능으로 해 찾는 방법 [ES, EX 기종 한정]


        http://www.allcalc.org/17077

         

        본문의 회귀 방정식 방법보다 조금 더 번거롭습니다. 

        0
        댓글
      • ㅠㅠ이거왜샀지 (*.125.150.17) 2017.10.21 21:28 #comment_21521
        젠쟝... 괜히 싼거 쓰려다가 방정식 기능도 없는걸 사버렸군요ㅠㅠ 그와중에 회귀방정식을 사용하시다니.. 대단하십니다 ㅋㅋㅋ
        0
        댓글 수정 삭제
      • ㅠㅠ이거왜샀지22 (*.250.92.50) 2020.06.12 22:34 #comment_29977
        저는 비싼 거 샀는데 미지수도 못 구하는 거였다니... 이 포스팅 보고 충격...ㅠㅠ 그래도 정말 감사합니다.ㅠㅠㅠ 수알못이라 처음듣는 회귀방정식 따라하느라 힘들었네요. fx-350EX 기종에서는 [shift][1]은 찾을 수 없고 그 대신 [OPTN]에 들어가면 나옵니다!
        1
        댓글 수정 삭제
    • 댓글 입력
    • 에디터 전환
    댓글 쓰기 에디터 사용하기 닫기
    • 목록 목록
    • [fx-570] ES, EX 미분 기능 의 입력 및 계산, Differential Calculation
    • [fx-9860G] 행렬 Matrix 의 입력
    • 목록
    3
    by OrangeDay
    • CASIO
    • allcalc.org
    • 세모계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