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상의 모든 계산기 수학, 과학, 공학 이야기 수학 ()
exp() 함수 - 수학 및 프로그
`exp()` 함수는 자연로그의 밑인 \( e \)를 밑으로 하는 지수 함수입니다.
여기서 \( e \)는 약 2.71828로, 자연상수라고도 불립니다. 지수 함수는 다음과 같은 형태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 \exp(x) = e^x \]
이 함수는 다양한 프로그래밍 언어와 수학 라이브러리에서 지원됩니다. 주로 사용하는 용도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수학적 계산**: 지수 함수는 미적분학, 확률론, 통계학 등 많은 수학적 계산에서 사용됩니다.
2. **데이터 분석**: 로그 변환된 데이터를 역변환할 때 사용됩니다.
3. **자연 성장 모델링**: 생물학적 과정, 금융 모델링 등에서 자연 성장 과정을 모델링할 때 사용됩니다.
각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exp()` 함수를 사용하는 방법을 예로 들어보겠습니다:
### Python
Python에서는 `math` 모듈과 `numpy` 모듈에서 `exp()` 함수를 제공합니다.
```python import math import numpy as np # math 모듈 사용 result_math = math.exp(1) # e^1 print(result_math) # numpy 모듈 사용 result_numpy = np.exp(1) print(result_numpy) ```
### C/C++
C에서는 `math.h` 헤더 파일을 포함하여 `exp()` 함수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c #include <math.h> #include <stdio.h> int main() { double result = exp(1.0); // e^1 printf("%f\n", result); return 0; } ```
### Java
Java에서는 `Math` 클래스에서 `exp()` 메소드를 제공합니다. ```java public class ExpExample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double result = Math.exp(1.0); // e^1 System.out.println(result); } } ```
### JavaScript
JavaScript에서는 `Math` 객체의 `exp()` 메소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javascript let result = Math.exp(1); // e^1 console.log(result); ```
이 외에도 다양한 언어와 라이브러리에서 `exp()` 함수를 지원하고 있으며, 이는 지수 함수의 기본적인 용도와 원리를 이해하는 데 중요합니다.
그에 반해 공학용 계산기에서는 EXP 라는 함수를 꼭 e^지수승으로 사용하진 않습니다.
예를 들어
【EXP】 | fx-570MS(구형), fx-9860G 시리즈, EL-509W 등 |
에서는 EXP 기호가 *10^지수승을 대신하는 기호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계산기 관련 내용에 한정하여 EXP가 e의 지수승인지 10의 지수승인지 꼼꼼하게 체크하시는게 좋습니다.
https://allcalc.org/14002
세상의모든계산기 님의 최근 댓글
낮에 TV에서 영화 '말모이' 해주더라구요. 그래서 한번 물어 봤습니다. 2025 10.10 마지막 발언이 마지막 힌트이자 문제의 핵심이군요. 처음 들은 달이 8월이었다면 (15일인지 17일인지 확신할 수 없어서) 마지막 대사를 할 수 없지만, 처음 들은 달이 7월이었다면 (선택지가 16일 하나라서 확신이 가능하므로) 마지막 대사를 할 수 있다. 대사를 했으니 7월이다. 이제 이해되었습니다. 지금 보니까 이해가 되는데, 당시에는 왜 이해가 안됐을까요? 세가지 전제 하에 문제를 풀면 A는 마지막 대화 2줄만으로 C의 생일을 알 수 없어야 정상인데, 무슨 이유에서인지 "그럼 나도 앎!"이라고 선언해 버립니다. 알게 된 이유를 대화 속에서 찾을 수는 없습니다. 이 편견에 사로잡혀 빠져나오지 못하고 다른 길로 계속 샜나봅니다. 2025 10.09 (장*훈)님 (+10,000원) 계좌 후원(2025/10/09) 감사 드립니다. 2025 10.09 원래 식이 풀어진 상태에서는 두번째 인수 v가 분모, 분자에 섞여 있어서 계산기가 처리하지 못하는 듯 합니다. 이 때는 위에서와 반대로 분모 부분만 다른 문자(w)로 치환한 다음 completesquare(,v^2) 처리를 하면 일부분은 묶이는 듯 합니다. 하지만 여기서 처음 모양으로 더 이상 진행되진 않네요. 2025 10.08 전체 식에서 일부분(분모, 루트 내부)만 적용할 수는 없습니다. 번거롭더라도 해당 부분만 따로 끄집어 내서 적용하셔야 합니다. https://allcalc.org/30694#comment_30704 2025 1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