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EARCH

    통합검색
세모계
    • Dark Mode
    • GNB Always Open
    • GNB Height Maximize
    • Color
    • Brightness
    • SINCE 2015.01.19.
    • 세모계 세모계
    •   SEARCH
    • 세상의 모든 계산기  
      • 자유(질문) 게시판  
      • 계산기 뉴스/정보  
      • 수학, 과학, 공학 이야기  
      • 세모계 : 공지 게시판  
        • 구글 맞춤검색  
    • TI  
    • CASIO  
    • HP  
    • SHARP  
    • 일반(쌀집) 계산기  
    • 기타계산기  
    • 세모계
    • by ORANGEDAY
  • 세상의 모든 계산기 수학, 과학, 공학 이야기
    • 세상의 모든 계산기 수학, 과학, 공학 이야기 수학 ()
    • exp() 함수 - 수학 및 프로그

    • Profile
      • 세상의모든계산기
      • 2024.07.17 - 16:48 2024.07.17 - 16:39 1234

    `exp()` 함수는 자연로그의 밑인 \( e \)를 밑으로 하는 지수 함수입니다.

    여기서 \( e \)는 약 2.71828로, 자연상수라고도 불립니다. 지수 함수는 다음과 같은 형태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 \exp(x) = e^x \]

     

    이 함수는 다양한 프로그래밍 언어와 수학 라이브러리에서 지원됩니다. 주로 사용하는 용도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수학적 계산**: 지수 함수는 미적분학, 확률론, 통계학 등 많은 수학적 계산에서 사용됩니다.
    2. **데이터 분석**: 로그 변환된 데이터를 역변환할 때 사용됩니다.
    3. **자연 성장 모델링**: 생물학적 과정, 금융 모델링 등에서 자연 성장 과정을 모델링할 때 사용됩니다.

    각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exp()` 함수를 사용하는 방법을 예로 들어보겠습니다:

     

    ### Python

    Python에서는 `math` 모듈과 `numpy` 모듈에서 `exp()` 함수를 제공합니다.

    ```python
    import math
    import numpy as np
    
    # math 모듈 사용
    result_math = math.exp(1)  # e^1
    print(result_math)
    
    # numpy 모듈 사용
    result_numpy = np.exp(1)
    print(result_numpy)
    ```

     

     

    ### C/C++

    C에서는 `math.h` 헤더 파일을 포함하여 `exp()` 함수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c
    #include <math.h>
    #include <stdio.h>
    
    int main() {
        double result = exp(1.0);  // e^1
        printf("%f\n", result);
        return 0;
    }
    ```

     

     

    ### Java

    Java에서는 `Math` 클래스에서 `exp()` 메소드를 제공합니다.
    
    ```java
    public class ExpExample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double result = Math.exp(1.0);  // e^1
            System.out.println(result);
        }
    }
    ```

     

     

     

    ### JavaScript

    JavaScript에서는 `Math` 객체의 `exp()` 메소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javascript
    let result = Math.exp(1);  // e^1
    console.log(result);
    ```

     

     

     

    이 외에도 다양한 언어와 라이브러리에서 `exp()` 함수를 지원하고 있으며, 이는 지수 함수의 기본적인 용도와 원리를 이해하는 데 중요합니다.

     

     


     

    그에 반해 공학용 계산기에서는 EXP 라는 함수를 꼭 e^지수승으로 사용하진 않습니다.

    예를 들어 

    【EXP】 fx-570MS(구형), fx-9860G 시리즈, EL-509W 등

    에서는 EXP 기호가 *10^지수승을 대신하는 기호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계산기 관련 내용에 한정하여 EXP가 e의 지수승인지 10의 지수승인지 꼼꼼하게 체크하시는게 좋습니다. 

     

    https://allcalc.org/14002

    Attached file
    image.png 1.5KB 18
    이 게시물을..
    N
    0
    0
    • 세상의모든계산기 25
      세상의모든계산기

      계산기는 거들 뿐
      혹은
      계산기를 거들 뿐

    세상의모든계산기 님의 최근 글

    언어의 유형과 만남: 고립어, 교착어, 그리고 한본어 현상에 대한 탐구 (written by Gemini) 9 1 2025 10.09 함수 Completesquare, 완전제곱식 변환 기능 27 1 2025 10.08 iptime 공유기 (AX2004T), 유선 핑 테스트 결과 (Ping Test) 280 11 2025 09.24 자동심장충격기, AED 내 주변에 설치된 곳 확인하기 177 1 2025 09.06 욕실 변기 - 필밸브 구조 - Fill Valve, Diaphragm 158 2025 08.28

    세상의모든계산기 님의 최근 댓글

    낮에 TV에서 영화 '말모이' 해주더라구요. 그래서 한번 물어 봤습니다. 2025 10.10 마지막 발언이 마지막 힌트이자 문제의 핵심이군요.   처음 들은 달이 8월이었다면 (15일인지 17일인지 확신할 수 없어서) 마지막 대사를 할 수 없지만, 처음 들은 달이 7월이었다면 (선택지가 16일 하나라서 확신이 가능하므로) 마지막 대사를 할 수 있다. 대사를 했으니 7월이다.    이제 이해되었습니다.   지금 보니까 이해가 되는데, 당시에는 왜 이해가 안됐을까요? 세가지 전제 하에 문제를 풀면 A는 마지막 대화 2줄만으로 C의 생일을 알 수 없어야 정상인데, 무슨 이유에서인지 "그럼 나도 앎!"이라고 선언해 버립니다. 알게 된 이유를 대화 속에서 찾을 수는 없습니다. 이 편견에 사로잡혀 빠져나오지 못하고 다른 길로 계속 샜나봅니다. 2025 10.09 (장*훈)님 (+10,000원) 계좌 후원(2025/10/09) 감사 드립니다. 2025 10.09 원래 식이 풀어진 상태에서는 두번째 인수 v가 분모, 분자에 섞여 있어서 계산기가 처리하지 못하는 듯 합니다. 이 때는 위에서와 반대로 분모 부분만 다른 문자(w)로 치환한 다음 completesquare(,v^2) 처리를 하면 일부분은 묶이는 듯 합니다.  하지만 여기서 처음 모양으로 더 이상 진행되진 않네요.      2025 10.08 전체 식에서 일부분(분모, 루트 내부)만 적용할 수는 없습니다. 번거롭더라도 해당 부분만 따로 끄집어 내서 적용하셔야 합니다.  https://allcalc.org/30694#comment_30704 2025 10.08
    글쓴이의 서명작성글 감추기 
    • 댓글 입력
    • 에디터 전환
    댓글 쓰기 에디터 사용하기 닫기
    • view_headline 목록
    • 14px
    • 목록
      view_headline
    × CLOSE
    전체 수학 64 확률통계 18 공학 13 물리학 2 화학 3 생물학 재무금융 10 기타 2
    기본 (0) 제목 날짜 수정 조회 댓글 추천 비추
    분류 정렬 검색
    등록된 글이 없습니다.
    by OrangeDay
    • 세상의 모든 계산기 수학, 과학, 공학 이야기
    • allcalc.org
    • 세모계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