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 계산기] 세제곱근 구하기. 방법#1, 정수제곱근법 & 뉴튼-랩슨법을 이용한 반복계산
세제곱근 버튼이 없는 일반 계산기로 세제곱근을 구할 수 있을까요?
$$ \sqrt[3]{a} = ? $$
구할 방법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누군가 물어본다면 "일반 계산기로는 세제곱근을 구할 수 없다"고 말하는게 좋겠습니다.
왜냐하면 직접 그 값을 구하는 것도 쉽지 않을 뿐 아니라, 상대방을 이해시키는 것도 쉽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래도 그 방법을 알고 싶으시다면... 계속 읽어보세요.
따라하실 분은 자릿수가 최대한 많은 계산기로 따라하시구요.
반올림 설정하시고, 자릿수는 F로 설정하세요.
방법1 : 계산기 정수 제곱근법을 이용
1. 처음 1회만 입력할 버튼순서 : 【a】【√】【√】
2. 계속 반복하여 입력할 버튼 순서 : 【×】【a】【=】【√】【√】
- 반복입력하는 버튼의 순서는 계산기의 상수계산 방식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Casio vs Sharp)
- 이 방법에는 계산기의 루트 기능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 12자리 계산기로 대략 19회 ~ 20회 정도 반복하면 최종 결과가 얻어집니다. (정답을 찾을 때)
총 버튼 입력 횟수 = 3+(5×20) = 103회
※ 단순히 근사값으로 충분한 경우에는 5회~6회 반복으로 만족하는게 좋습니다. - 위의 방식을 확장하면, 7제곱근(7=2^3-1)이나, 15제곱근(=2^4-1) 등을 구할 수도 있습니다.
제곱이 반복될수록 반복해 입력할 버튼횟수는 반대로 줄어듭니다.
예제 동영상) 0.1의 세제곱근
위 계산 결과는 아래와 같이 정답에 수렴해 갑니다.
$ \sqrt[3]{0.1} = 0.4641588833612... $
방법2 : 뉴튼 랩슨법 Newton-Raphson Method 을 이용
1. 초기값 (대략 추정하여) 입력 【CM】【M+】
2. 이후에 반복 : 【=】【=】【×】【2】【+】【a】【÷】【3】【÷】【RM】【=】【=】【CM】【M+】
└ 위 반복입력식은 (일반)계산기의 "상수계산" 방식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Casio vs Sharp)
- 이 방법은 루트 버튼은 필요 없지만, 메모리 M 기능이 필요합니다.
- 반복 순서를 외우는게 좀 복잡하지만
방법1보다는 입력횟수가 조금 적습니다.
대략 5~6회 정도 반복하면 최종 결과가 얻어집니다.
(6회 반복시 총 버튼 입력 횟수 = 1 + 15*6 = 91회)
이게 정말 될까?
예제 동영상) 7의 세제곱근을 구하는 동영상입니다.
근데... 이걸 왜 하고 있는거죠??
n제곱근을 구하는 다른 접근 방법 - 로그 성질의 활용
https://allcalc.org/49753
댓글15
-
-
1
세상의모든계산기
그 외 n제곱근의 계산
이 원리를 확대 적용하면
일반 계산기를 이용해서 (8-1)=7 제곱근 (16-1)=15제곱근... 등등을 비교적 쉽게 구할 수 있습니다.
3, 7, 15, 31, 63, 127, ... (2^n-1)
그리고, 그 값을 활용해 그 외 제곱근도 (일부?) 구할 수 있죠.
제곱근 : 【√】
3제곱근 : 본문 방법으로 구함. (4제곱근의 활용.【√】【√】)
4제곱근 : 【√】【√】
5제곱근 : 15제곱근(【√】【√】【√】【√】)의 3승. // 5 = 15 ÷ 3 (즉, 1/5 = 3 ÷ 15)
6제곱근 : 제곱근 ÷ 3제곱근
7제곱근 : 본문 방법에서 【√】한번 더 추가.
8제곱근 : 【√】【√】【√】
9제곱근 : 3제곱근의 ▶ 3제곱근 으로 구할 수는 있는데... 두번째 세제곱근 구할 때 오차가 커질 수 있음.
10제곱근 : 15제곱근의 ▶ 제곱근의 ▶ 3승
11제곱근 : 1023제곱근(【√】【√】【√】【√】【√】【√】【√】【√】【√】【√】)의 ▶ 93승
ㄴ 오히려 쉬울 수도?12제곱근 : 3제곱근 ÷ 4제곱근 또는 6제곱근의 ▶ 제곱근
13제곱근 : 4095제곱근 ▶ 315승
ㄴ 그냥 근사값만 구한다면 64제곱근 ▶ 5승 으로 구할 수는 있음.
-
2
세상의모든계산기
2^8=256 이니까
255제곱근을 구할 수가 있구요
255 = 3 * 5 * 17
같은 방식으로
2^10 - 1 = 11 * 93
2^12 - 1 = 13 * 315
2^18 - 1 = 19 * 13797
2^22 - 1 = 23 * 182361
2^28 - 1 = 29 * 925639532 제곱근까지는 모두 일단 이론적으로는 구할 수가 있는 걸로 나오는데...
아무리 일반 계산기에 상수계산(반복계산) 기능이 있어서 수백번까지야 무리해서 한다고 하더라도
그 이상 반복횟수가 많아지면 계산기의 마지막 자릿수 탈락에 의한 오차가 커지고,입력 횟수를 까먹는 등의 문제가 있어서 실질적으로 참값을 구하는건 불가능하겠습니다.
- 3
- 4
-
3
세상의모든계산기위 방식으로 7의 17제곱근을 구해 봤습니다.
255제곱근
17제곱근
공학용 계산기(비교)
1.0076602106307
1.1212737354259
쌀집 계산기
1.00766021062
1.12127373515
255제곱근 구하는 것도 생각보다 빠르고 (반복4회, 53버튼입력)그 값의 15승 구하는 것도 생각보다 빠릅니다. (15버튼입력)(총 68 버튼입력)오차도 생각보다 크지 않구요. 이정도면 만족스럽습니다.하지만 그 이상은 버튼 입력 횟수가 급격히 늘어나서직접 사용하기가 어려울 듯 하네요. -
세상의모든계산기
뉴튼 랩슨법 : 일반해를 구하는 방법
http://en.wikipedia.org/wiki/Newton%27s_method
따라서 모든 n제곱근 값을 구할 수 있습니다. (초기값 설정에 따른 오차가능성은 있습니다만...)
* 여기서 Xk는 k번째 결과, X(k+1)은 k+1번째 결과입니다.
제곱근
(초기값)1
a
2
3제곱근
==
2
3
==
4제곱근
===
3
4
===
n제곱근
=
(n-1)번
n-1
n
=
(n-1)번
※ 카시오 계산기의 경우 상수 계산 방식이 달라서 입력 횟수와 방식이 약간 다릅니다.
- 1
-
세상의모든계산기
예시 : 1.7055^(1/7) - 1 = ?
ㄴ (링크) 지식인 질문 & 답변
ㄴ 지수가 1/7로 단순하니 로그 성질을 활용한 방법도 가능합니다. : https://allcalc.org/49753
-
세상의모든계산기
예시 : 수익률 기하평균
1.1^(1/3) -1 = ?
-
세상의모든계산기
뉴턴-랩슨 방법을 이용한 제곱근 계산
뉴턴-랩슨 방법은 근을 구하는 반복적인 알고리즘입니다. 루트 값을 구하는데 매우 효과적입니다. 예를 들어,
를 구하려고 할 때 다음과 같은 단계를 따릅니다.
1. 초기 추정값 을 선택합니다. 보통 의 절반 값이 괜찮은 초기값입니다.
2. 다음 반복식을 사용하여 새로운 추정값을 계산합니다:
3. 원하는 정확도에 도달할 때까지 2단계를 반복합니다.
예시를 들어보겠습니다. 를 구하는 과정을 설명하겠습니다.
1. 초기값 을 5로 설정합니다 (10의 절반).
2. 첫 번째 반복:
3. 두 번째 반복:
4. 세 번째 반복:
5. 네 번째 반복:
이 과정을 반복하면 원하는 정확도에 도달할 때까지 계속 계산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4~5번 정도 반복하면 소수점 이하 몇 자리까지 정확한 값을 얻을 수 있습니다.
이 방법을 사용하면 일반 계산기에서도 루트 값을 구할 수 있습니다. 몇 번의 반복을 통해 상당히 정확한 값을 얻을 수 있습니다.
-
세상의모든계산기
예시 : 5제곱근 구하기. $ \sqrt[5]{123} $
계산 순서 ⓐ 15제곱근을 구하고, ⓑ 그 값을 3제곱
ⓐ 15제곱근 값 구하기 (3회 반복, 루트 기능 이용)
키 입력 : 【123】【√】【√】【√】【√】
(√123 = 11.090536506409)
(√11.090536506409 = 3.3302457126178)
(√3.3302457126178 = 1.8248960826901)
(√1.8248960826901 = 1.3508871465412)키 입력 : 【×】【123】【=】【√】【√】【√】【√】
1.3508871465412 × 123 = 166.15911902457
(√166.15911902457 = 12.890272263400)
(√12.890272263400 = 3.5903025309018)
(√3.5903025309018 = 1.8948093653193)
(√1.8948093653193 = 1.3765207464180)키 입력 : 【×】【123】【=】【√】【√】【√】【√】
1.3765207464180 × 123 = 169.31205180941
(√169.31205180941 = 13.011996457478)
(√13.011996457478 = 3.6072145011737)
(√3.6072145011737 = 1.8992668325366)
(√1.8992668325366 = 1.3781389017572)ㄴ 3회 반복하여 파란색 결과에서 멈추었습니다.
ㄴ 횟수가 반복될수록 더 정확한 값에 수렴합니다만, 득실관계(trade-off)를 따져야 합니다. 시간투자 + 버튼 입력 실수 가능성.
ⓑ 3제곱 값 구하기 (상수계산 기능 이용)
(Non-K 타입) 키 입력 : 【×】【=】【=】
1.3781389017572 × = 1.8992668325365 // ⓐ의 제곱 값
× 1.3781389017572 = 2.6174535067357 // ⓐ의 세제곱 값ⓒ 참값과 ⓑ의 결과 값 비교 (오차율 확인, 꼭 확인할 필요는 없음)
0.02% 오차면 잘 구해졌죠.
주의 : 키 입력 순서나 방법 그리고, 결과값의 오차수준은 계산기 모델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 실물 계산기로 적용한 결과
세상의모든계산기 님의 최근 댓글
4*4 행렬 계산이 가능한 fx-570EX 이후 계산기는 행렬 기능을 이용하는 방법도 있지만, 본문 방법이 더 편리한 것 같습니다. [fx-570 EX] 복소수 1차 연립방정식 해 구하기 (feat. MATRIX) https://allcalc.org/21582 2025 10.15 고장남 - POST 진입 실패, 모니터 안나옴 직접 사용할 일이 없어져서, 고향집에 가져다 놓고 어댑터만 꼽아 두었습니다. 마지막으로 켠 것은 25년 6월쯤이 아니었을까 싶습니다. (이상증상은 없었구요) 이번 추석에 가서 켜 보니까, 화면이 아예 안나오더라구요. 집에 가져와서 분해해 살펴보니까 - 어댑터 12V는 정상 - 어댑터 꼽으면 바로 POWER 는 켜집니다. ㄴ POWER ON -> Fan 돌아감 + 파워 LED 들어옴 + NVME에 LED 들어옴 ㄴ HDMI 1, 2 신호 전혀 안들어옴 (모니터 2대 확인) ㄴ 키보드에 LED 안들어옴 (USB 5V 가 안들어오는 듯 함) - 옆구리 버튼은 작동하지 않습니다. 길게 눌러도 꺼지지 않음. 하나씩 제거하면서 변수를 제거해 봤는데, 뭘 해도 상태가 똑같습니다. 보드쪽에 문제가 생긴 것 같습니다. 2025 10.14 다항식 나눗셈 (가장 정석적인 방법) (피제수, 나뉠 식) r1*r3 를 (제수, 나누는 식) r1+r3 로 직접 나누며, 여기서 r1을 변수로 취급합니다. 1. 몫 구하기: r1*r3 (나뉠 식)의 최고차항을 r1+r3 (나누는 식)의 최고차항 r1로 나눕니다. (r1*r3) / r1 = r3 <-- 이것이 몫(Quotient)이 됩니다. 2. 나머지 구하기: (원래 분자) - (몫 × 분모) 를 계산합니다. (r1*r3) - (r3 × (r1+r3)) = r1*r3 - (r1*r3 + r3^2) = -r3^2 <-- 이것이 나머지(Remainder)가 됩니다. 3. 결과 조합: 최종 결과는 `몫 + (나머지 / 나누는 식)` 형태로 씁니다. r3 + (-r3^2 / (r1+r3)) \[ \begin{array}{l} \phantom{r_1+r_3 \overline{) r_1 r_3}} r_3 \\ r_1+r_3 \overline{) \begin{array}[t]{@{}r@{}} r_1 r_3 \phantom{+r_3^2} \\ - (r_1 r_3 + r_3^2) \\ \hline -r_3^2 \\ \end{array}} \end{array} \] 2025 10.14 부분적 과정으로 분자(변수의 곱)를 다른 변수로 치환할 수 있다면 (r1*r3=a, r2*r4=b) 다항식에서도 강제 나눗셈 과정을 막을 수 있겠습니다만, 원래의 식에 적용시킬 수는 없어 의미가 없겠습니다. 2025 10.14 (r1*r3) / (r1+r3) 에서 원래라면 분자(r1*r3)에서 하나의 변수를 선택하여 그것을 기준으로 분모를 나누고 몫과 나머지로 분리하여 표현하는 것이 기본 원칙입니다만, 결과가 단항인 분수식일 경우 분자가 두 변수의 곱으로 표현되더라도 그것이 더 간단한 표현인 것으로 보고 그대로 두는 듯 합니다. 하지만 마지막 예시에서 보이는 것처럼 +1만 붙는 간단한 형식일지라도 다항식이 되는 순간 원래의 기본 원칙대로 대수의 나눗셈(r1*r3를 (r1+r3)로 나눔)이 강제 진행되어버리고 이를 막을 수 없는 듯 합니다. 2025 1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