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상의 모든 계산기 자유(질문) 게시판 일반
[fx-5800p] solve 솔브 기능으로 방정식의 해 찾기
제가 fx-5800p 계산기를 가지고 있는데
solve 기능으로 해를 구하려고 하고 있습니다.
근데 아래 말이 이해가 안되는 건 아닌데 초기값을 어떻게 넣어주면 해가 어떻게 구해지는지 모르겠어요 ㅠ
"해가 여러개인 경우 시작점을 변경하여 다른 해를 찾아야 합니다. "
예를 들어서 위의 식에 대한 해를 구하려고 합니다.
그러면 총 3개의 해가 나옵니다.
(-9.994, 0, 9.994)
그런데 초기값을
-100을 입력하면 이상하게 큰 숫자가 나오고
초기값을 1로 입력하면 해가 0으로 나오고
초기값에 대한 해의 값이 어떻게 나오는지 그 규칙을 모르겠습니다.
초기값 근처에 있는 해를 구한다고 가정을 하면
얼마나 근처에 있어야 되며 또 100 이라는 숫자를 넣었을 때, 9.994의 해의 값이 나오지 않고 이상하게 큰 숫자만 나오는지 궁금하네요...
올려주신 글을 읽어봐도 이해가 안되서 질문드립니다. (뉴턴법 어려워요 ㅠ)
계산기 참고사진 올려드립니다.
댓글 4
-
-
-
https://m.blog.naver.com/juyoung_g/220549327093
이정도 설명이 가장 쉬운 설명이며 더 이상 쉬운 설명은 불가능합니다.
-
-
-
함수식을 분석해서
"해가 몇개고, 대충 그래프가 어떤 식이겠구나" 감이 잡히는 경우라면
그에 맞춰서 초기값을 예상해 넣어볼 수 있을 것이고,
그렇지 않은 경우라면 이것 저것 마구잡이로 넣어보는 수밖에 없습니다.그래서 graphing 계산기가 있으면 solve로 해를 찾는데 매우 도움이 됩니다.
-
-
-
본문의 함수는 실수해가 3개 있고,
-∞로 가면 +0에 수렴하고, ∞로 가면 -0에 수렴하는 것으로 보입니다.초기값 -100을 입력했을 때 이상하게 큰 숫자가 나온 것은
fx-5800 계산기의 한계로 인해 오류인 해가 찾아진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ㄴ 오류인 해가 찾아졌다고 해서 버그라고 부를 수는 없는 상황입니다. solve 기능이 원래 그렇게 설계되었습니다.
-
solve 가 답을 찾아가는 규칙은 있습니다만,
실질적으로 계산기 solve 기능으로 답을 잘 찾기 위해 알아야 할 정해진 규칙은 없습니다.
x=4일 때는 0이 찾아지고, x=5일 때는 9.xxx 이 찾아지고... 를 미리 알 방법은 없다는 뜻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