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조건식 또는 제약식이란?
수식에 따라붙는 조건식 또는 제약식 또는 제약 조건이란, 수식에 사용되는 문자를 특정한 조건으로 제약하는 보조수식을 의미합니다. 영어로는 constraint 라고 부릅니다. 확률에서 P(A|B) 를 "B일 때 A의 확률"로 해석하는 것과 동일한 맥락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nspire 에서도 세로줄 | Vertical line 을 제약식의 기호(Constraint Operator)로 사용합니다.
여러가지 조건을 하나의 식에 반복해 대입해 보려고 할 때 특히 유용하고, 식을 치환하여 다른 식으로 변형시키거나 정리할 수 있어서 여러모로 굉장히 편리한 기능입니다. 잘 알아두시는게 좋습니다.
제약식은 다음 3가지 기능으로 동작합니다.
- Substitutions (대체, =)
- Interval constraints (구간 제약, < >)
- Exclusions (제외, ≠)
2. 입력 방법
- 『수식|제약식』 의 형태로 입력합니다.
Expr | BooleanExpr1[and BooleanExpr2]...
Expr | BooleanExpr1[or BooleanExpr2]..
제약식은 and 나 or 로 결합할 수 있습니다.
- 제약식 기호( | )의 입력
【ctrl】【=】 의 제일 아래 또는 카탈로그(4번탭) (=단축키) 의 위에서부터 4번째 줄 마지막에서 선택
3. 예제
한 문자에 대한 제약식이 있으면, 그 문자를 본수식에 직접 대입한 것과 같은 효과를 얻습니다.
4. 주의 사항
- 계산 순서, 제약식 대입 순서
제약식이 먼저 대입된 다음본 수식이 계산됩니다.
따라서 본 수식이 먼저 계산된 다음에 제약식이 적용되기를 바란다면 한꺼번에 처리하지 말고, 계산을 2단계로 나누어 하는 것이 좋습니다.
- 제약식의 정리(변수의 순서)
본 수식에서 정리하고 싶은(=없애고 싶은) 문자를 제약식의 등호 좌측에 단독으로 놓아야 합니다.
- 값이 여럿인(=or로 묶인) 변수를 제약식에 이용할 때 경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때는 (경고문구에 나오는 것처럼) 대체변수를 이용하셔야 합니다.
- 제약식으로 등호(=) 및 대소(> ≥ ≤ <) 는 넣을 수 있지만 부등호(≠) 조건은 넣을 수 없습니다.
[응용 TIP]
solve() 또는 csolve() 의 결과값이 너무 복잡해서 한 눈에 보기가 어려운 경우(결과가 너무 김/변수가 너무 많음/해의 집합이 너무 많음)에도 제약 연산자를 사용하면 변수명 별 결과를 각각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변수명|solve결과값
예시 : http://www.allcalc.org/25229

※ 해의 집합이 여러 쌍인 경우에는 본문의 주의사항에서와 같이 대체변수를 이용하셔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