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EARCH

    통합검색
세모계
    • Dark Mode
    • GNB Always Open
    • GNB Height Maximize
    • Color
    • Brightness
    • SINCE 2015.01.19.
    • 세모계 세모계
    •   SEARCH
    • 세상의 모든 계산기
      • 자유(질문) 게시판
      • 계산기 뉴스/정보
      • 수학, 과학, 공학 이야기
      • 세모계 : 공지 게시판
        • 구글 맞춤검색
    • TI
    • CASIO
    • HP
    • SHARP
    • 일반(쌀집) 계산기
    • 기타계산기
    • by OrangeDay
  • 세상의 모든 계산기 계산기 뉴스/정보
    • 세상의 모든 계산기 계산기 뉴스/정보 ()
    • [공학용 계산기] 계산기의 가장 큰 수는? 자릿수 한계 (feat. 팩토리알)

    • Profile
      • 세상의모든계산기
      • 2024.10.30 - 00:29 2015.08.14 - 14:11 2551 8

    1. 계산기별 factorial 계산시 결과

     

    Factorial ~69! 70!~449! 500!~1006! 1007!~3248! 3249!~
    EL-509W O X(Error 2) X X X
    fx-570ES, EX O X(Math Error) X X X
    fx-9860G O X(Ma Error) X X X
    TI-nspire, 89T O O X(500!) X X
    HP Prime O O O X(∞)  
    윈도우10 내장 O O O O X(Overflow)

    * CAS 계산기인 HP Prime  이나 TI-nspire 는
    내부 유효 자릿수(14 digits)와 관계없이 가능한 한도 내에서는 자연수 결과(참값)를 유지하지만, 

    image.png

    기타 공학용 계산기는 내부 유효 자릿수(보통 14자리) 이상이 되면 자연수를 버리고 

    부동소숫점 형식으로 단순화해서 근사값으로 계산합니다. 

    스크린샷 2024-10-30 001442.png

     

    * 참고

    69! = 1.71122e+98

    70! = 1.19786e+100

    449! = 3.85193e+997

    500! = 1.22014e+1134

    1006! = 4.10908e+2585

    1007! = 4.13784e+2588

    2000! = 3.316275e+5735

    3000! = 4.14936e+9130

    3248! = 1.97363e+9997

    50000! = 3.34732... × 10^213236

    1. nspire에서 500! 이상을 이용한 계산은 표기만 될 뿐, 실제로 이루어지지 않음

    2. 기존 윈도우 계산기는 그만둘지 물어보는 창이 나와도 백그라운드로 계속 계산하여 결국에는 계산이 되었지만, 지금(윈도우10)은 그냥 오버플로우 메시지만 띄움

     

     

    2. 검증 (500! 계산시)

    1) Wolfram Alpha 

    image.png

     

    2) TI-nspire 

    image.png

    ㄴ 500! 이 결과식에 포함되어 표시되지만, 실제 계산이 불가능하며 오류가 유발됨.

     

    3) HP Prime

    image.png

    계산도 되고, 저장도 되고, 연산도 잘 되는데... 

    지수형식으로 저장하면, 그보다 작은 수에서도 Inf (CAS 의 경우) 가 나옴.

    -> 정수 저장공간이 따로 설정되는 듯 하고,

    지수 형식의 경우 Double Precision 제한 받는 듯 함.

    -> Home 에서는 9.99999999999*E499 이상의 숫자 입력시 9.99999999999*E499 로 강제로 바뀜

    Attached file
    image.png 4.3KB 22image.png 26.8KB 23image.png 174.8KB 20image.png 50.0KB 22image.png 7.8KB 12스크린샷 2024-10-30 001442.png 2.0KB 15
    이 게시물을..
    N
    0
    0
    • 세상의모든계산기 25
      세상의모든계산기

      계산기는 거들 뿐
      혹은
      계산기를 거들 뿐

    세상의모든계산기 님의 최근 글

    함수 Completesquare, 완전제곱식 변환 기능 13 1 2025 10.08 iptime 공유기 (AX2004T), 유선 핑 테스트 결과 (Ping Test) 256 11 2025 09.24 자동심장충격기, AED 내 주변에 설치된 곳 확인하기 167 1 2025 09.06 욕실 변기 - 필밸브 구조 - Fill Valve, Diaphragm 145 2025 08.28 TI Nspire 로 PC 파일 전송하기 - Student Software 이용 248 2025 04.23

    세상의모든계산기 님의 최근 댓글

    원래 식이 풀어진 상태에서는 두번째 인수 v가 분모, 분자에 섞여 있어서 계산기가 처리하지 못하는 듯 합니다. 이 때는 위에서와 반대로 분모 부분만 다른 문자(w)로 치환한 다음 completesquare(,v^2) 처리를 하면 일부분은 묶이는 듯 합니다.  하지만 여기서 처음 모양으로 더 이상 진행되진 않네요.      2025 10.08 전체 식에서 일부분(분모, 루트 내부)만 적용할 수는 없습니다. 번거롭더라도 해당 부분만 따로 끄집어 내서 적용하셔야 합니다.  https://allcalc.org/30694#comment_30704 2025 10.08 분수의 분모 아닌 v만 w로 치환해 놓고,  결과를 completesquare 돌리면 앞부분은 묶이는 듯 합니다.      2025 10.08 [TI-nspire] Error: Domain Error https://allcalc.org/52070   Degree -> Radian 2025 10.07 참고 https://allcalc.org/52065 TI NSPIRE CX CAS 복소수 관련 문제 문의 드립니다.   2025 09.28
    글쓴이의 서명작성글 감추기 

    댓글8

    • Profile 0
      세상의모든계산기
      2024.06.25 - 13:32 2015.09.10 - 11:01 #7167

      울프람 신께서는 한계도 없는지 계속 결과를 뽑아내 주시는데... 맞는지 틀리는지 검증할 방법이 없어서 그만 뒀습니다. 

      의심은 불경한 짓인가?

      K-20150910-396192.png

      Attached file
      K-20150910-396192.png 32.1KB 120
      댓글
    • Profile 0
      세상의모든계산기
      2015.09.15 - 13:57 #7267
      https://ko.wikipedia.org/wiki/%EC%8A%A4%ED%84%B8%EB%A7%81_%EA%B7%BC%EC%82%AC
      댓글
    • Profile 0
      세상의모든계산기
      2024.07.17 - 10:59 2015.10.11 - 19:23 #8013

      중간값 오류 가능성


      http://kin.naver.com/qna/detail.nhn?d1id=5&dirId=50105&docId=236207580&ref=me2lnk

      (최종결과값은 계산기 한계 이내일지라도)
      계산식 중간에 계산기 한계를 넘는 중간결과가 발생하면
      최종 결과의 오류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계산 순서를 적절히 조절하여 한계를 벗어나지 않게 하거나,
      단위를 줄여서(?) 계산하는 등의 편법이 필요합니다.

       

      image.png

      image.png


      ㄴ A=9.11*10^(-31), B=(1.6*10^(-19))^4, C=(4π*(8.85*10^(-12)))^2, D=(1.054*10^(-34))^2

      Attached file
      image.png 2.9KB 22 image.png 3.2KB 23
      댓글
    • Profile 0
      세상의모든계산기
      2017.10.13 - 18:37 2017.10.13 - 18:36 #21173

      fx-9860GII 에서도 똑같은 증상

      ManagerPLUS_2017-10-13_09-33-48.png

      http://kin.naver.com/qna/detail.nhn?d1id=11&dirId=113111&docId=286373393

      Attached file
      ManagerPLUS_2017-10-13_09-33-48.png 2.2KB 88
      댓글
    • Profile 0
      세상의모든계산기
      2016.02.26 - 10:18 2015.10.11 - 20:42 #8017

      K-20151011-744564.png

      fx-9860G SD (V OS 01.03)

      Attached file
      K-20151011-744564.png 973Bytes 117
      댓글
    • Profile 0
      세상의모든계산기
      2016.02.26 - 10:18 2015.10.11 - 20:47 #8022

      계산기 설명서에는 계산기에서 사용 가능한 숫자의 범위가 나옵니다. 이를 통해 몇 펙토리알까지 계산이 가능할지도 추정해 볼 수 있겠지요.

      K-20151011-747384.png
      └ fx-5800p 설명서 중 발췌 ┘

      Attached file
      K-20151011-747384.png 22.3KB 113
      댓글
    • Profile 0
      세상의모든계산기
      2024.07.17 - 10:25 2024.02.03 - 19:27 #40116

      갤럭시 폰 내장 계산기에서 취급 가능한 가장 큰 수는?
       


      https://kin.naver.com/qna/detail.naver?d1id=5&dirId=5010602&docId=463510075&qb=6rOE7IKw6riw&enc=utf8§ion=kin.qna.all&rank=6&search_sort=3&spq=0

      1.79769313E+308 까지는 입력이 가능

      댓글
    • Profile 0
      세상의모든계산기
      2024.02.03 - 19:34 2024.02.03 - 19:29 #40119

      '왜 1.79769313E+308 일까?'
      싶어서 검색을 해 보니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22402885/why-is-number-max-value-1-7976931348623157e308-instead-of-9007199254740992e102


      바드 AI 에 물어보니 

      삼성 갤럭시 계산기 최대값이 1.79769313E+308 이던데 그 이유가 뭐야?

       

      삼성 갤럭시 계산기의 최대값이 1.79769313E+308인 이유는 IEEE 754라는 부동소수점 표준을 따르기 때문입니다. IEEE 754는 컴퓨터에서 실수를 표현하는 방식을 정의하는 표준이며, 이 표준에 따르면 **'double precision'**이라는 형식으로 표현되는 실수의 최대값은 1.7976931348623157E+308입니다.

       

      이유:

      2진수 표현: 컴퓨터는 모든 정보를 2진수로 표현합니다. 실수를 표현하기 위해서는 가수와 지수라는 두 가지 정보가 필요합니다. 가수는 실수의 값을, 지수는 실수의 크기를 나타냅니다.

      정밀도: IEEE 754 표준은 'double precision' 형식에서 가수를 53비트, 지수를 11비트를 사용하여 표현합니다. 53비트는 약 16자리의 10진수 숫자를 표현할 수 있으며, 11비트는 -308부터 308까지의 지수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

      최대값 계산: 'double precision' 형식에서 표현할 수 있는 최대값은 2^53 - 1 (가수의 최대값) * 2^308 (지수의 최대값)입니다. 이 값을 계산하면 1.7976931348623157E+308입니다.

      참고:

      'double precision' 형식보다 더 큰 값을 표현할 수 있는 'quad precision' 형식도 존재하지만, 이 형식은 모든 컴퓨터에서 지원되는 것은 아닙니다.

      IEEE 754 표준은 실수를 표현하는 가장 일반적인 표준이지만, 다른 표준도 존재합니다.

       

      결론:

      삼성 갤럭시 계산기의 최대값이 1.79769313E+308인 이유는 IEEE 754 표준을 따르기 때문입니다. 이 표준은 컴퓨터에서 실수를 표현하는 방식을 정의하며, 'double precision' 형식으로 표현할 수 있는 최대값은 1.7976931348623157E+308입니다.

      댓글
    • 댓글 입력
    • 에디터 전환
    댓글 쓰기 에디터 사용하기 닫기
    • view_headline 목록
    • 14px
    • 목록
      view_headline
    8
    × CLOSE
    기본 (0) 제목 날짜 수정 조회 댓글 추천 비추
    분류 정렬 검색
    등록된 글이 없습니다.
    • 세상의 모든 계산기 계산기 뉴스/정보
    • 세상의모든계산기
    • 사업자등록번호 703-91-02181
    • 세모계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