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복소수 모드(CMPLX)
- [fx-570] 시리즈 계산기는 복소수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fx-350] 시리즈는 불가능합니다. - 오직 CMPLX 모드에서만 복소수 입력 및 계산이 가능합니다.
그 외 모든 모드에서는 복소수 계산이 불가능합니다. - ES, MS 기종 모두 복소수 모드로 바꾸는 입력은 【MODE】【2】 로 같습니다.
- [fx-570] 시리즈 계산기는 지수부분에 허수입력이 불가능합니다. 따라서 오일러 공식꼴은 페이저 형식으로 변환하여 입력하여야 합니다.
복소수 계산 가능 기능(함수)
- 가감승제 (사칙연산)
- 편각(arg=θ) / 절대값(Abs=r)
- 역수, 제곱, 세제곱
- 공역복소수(conj)
복소수 출력 형식의 지정
복소수 결과값을 화면에 보여줄 때 직교좌표꼴(기본)로 할지 극형식꼴로 할지를 미리 결정해야 합니다.
[fx-570ES] 모델 【SHIFT】 【MODE】 【▼】 【3】
[fx-570MS] 모델 【MODE】【MODE】【MODE】【MODE】【MODE】【MODE】 (Disp) 【1】【▶】【▶】
2. 허수기호 [i] 입력
입력 버튼 : 【ENG】
주의
'1-i2' 와 같이 허수기호를 계수 2보다 앞에 입력하면 Syntax ERROR(오류) 가 납니다.
'1-2i' 와 같이 허수기호를 계수 2의 뒤에 입력하여야 합니다.
공학(전기/전자)분야에서는 허수기호를 j 로 표시하는 경우가 왕왕 있습니다. 이것은 전류(current)를 i 로 표시하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대체수단으로 j를 허수기호로 대체하여 쓴 것 뿐입니다.
하지만 수학적에서 허수는 i 로 표시하는 것이 기본이고, 모든 공학용 계산기에서도 허수기호는 i 만 사용됩니다.
3. 각도 기호 [∠] 입력
입력 버튼 : 【SHIFT】【(-)】
주의
- 각도기호(∠)는 연산 우선순위가 높습니다. 따라서 r과 θ값이 단일숫자가 아닌 수식이라면 각각을 괄호로 씌워 주는 것이 좋습니다. (r수식)∠(θ수식)
- 각도기호(∠) 다음에 입력할 각도의 단위에 주의하세요. (Degree / Radian)
http://www.allcalc.org/6581 - 【(-)】 버튼은 【ENG】 버튼의 10시방향에 있습니다. 빼기 【-】 버튼과 다른 버튼입니다.
4. 결과의 확인 (MS 기종 한정)
MS 기종은 복소수를 표현하는 두개의 값(실수부 vs 허수부 또는 r vs θ)이 한 화면에 표시되지 않습니다. 그래서 각각의 값을 번갈아가며 확인하여야 합니다. 【=】 버튼 위에 표시되어 있는 ┌Re↔Im┐ 이 바로 그 기능(Real Number 와 Imaginary Number 간 전환)을 담당합니다.
【SHIFT】【=】 를 눌러서 전환을 실행할 수 있습니다.
5. 예시 (복소수 계산)
계산식
[ES]
【MODE】【2】
【믐】【5】【×】【(】【4】【-】【2】【ENG】【)】【▼】【5】【+】【(】【4】【-】【2】【ENG】【)】【=】
【S⇔D】
[MS]
【MODE】【2】
【5】【×】【(】【4】【-】【2】【ENG】【)】【÷】【(】【5】【+】【(】【4】【-】【2】【ENG】【)】【)】【=】
【SHIFT】【=】
6. 복소수 입력 한계
- 지수에 있는 복소수는 계산할 수 없습니다.
페이저 전환 공식을 이용해 다른 복소수 형태로 입력하셔야 합니다.
r*e^(i*θ) = (r∠θ) - 루트 안의 복소수는 계산할 수 없습니다.
직교좌표⇔극좌표 변환
[MS] http://www.allcalc.org/12221
[ES] http://www.allcalc.org/60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