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 계산기] 상수계산 - 카시오 K-Type (K-타입)
1. 상수 계산이란?
"연산자&숫자" 입력이 반복되는 계산을 해야할 경우, 계산기에 입력할 때 반복되는 부분을 생략하고 입력하여, 실수도 줄이고 입력시간도 줄일 수 있습니다. 그런 일반 계산기의 기능을 "상수 계산"이라고 부릅니다.
영어로는 Constant Calculation 또는 Constant Function 으로 불립니다.
2. K Type 상수 계산 방법
일반 계산기는 상수계산을 명시적으로 지정(=연산자를 2회 연타)하는 타입(K TYPE)과, 암묵적(=항상 상수계산대기상태)으로 사용하는 타입(Non-K Type)의 계산기로 나뉩니다. 두 타입은 버튼의 입력 순서가 조금 다를 뿐, 계산능력의 차이가 있는 것은 아닙니다.
K Type의 계산기에서 상수계산이 시행되면, 상수계산 중임을 알리는 'K' 마크가 화면에 표시됩니다.
ㄴ 여기서 K는 독일어로 Konstante 의 약자입니다.
CASIO 의 일반 계산기는 대부분 명시적 타입(K Type)이고, CASIO 이외의 일반 계산기는 (제가 아는 한) 모두 Non-K Type 입니다만, CASIO 계산기 중에서도 K 타입이 아닌 기종이 상당수 있습니다. 그래서 K Type 을 카시오 타입이라고 명칭하긴 어렵습니다.
예시) 2×5와 3×5를 2회 계산하면서, 반복되는 ×5 를 상수계산 방식으로 입력생략
반복되는 숫자 입력 |
|
반복할 연산자 (+ - × ÷) 2회 입력 |
|
계산될 대상 입력 |
【=】 결과 |
5 |
|
× × |
|
2 |
= 10 (=2×5) |
2번째부터 입력 생략함 |
|
3 |
= 15 (=3×5) |
└ JW-200TV 설명서 中 발췌 ┘
3. 응용, Time Value of Money (TVM)
http://www.allcalc.org/3904 의 본문 예시 참조
- 시장 이자율 10%일 때
- 1원의 5년 후 미래가치 : 【1.1】
【×】【×】
【1】
【=】【=】【=】【=】【=】
1.61051
- 5년 후 1원의 현재가치 : 【1.1】
【÷】【÷】
【1】
【=】【=】【=】【=】【=】
0.62092(반올림)
- 5년만기 연금 1원의 현재가치 (기말납부) : 3번식(현재가치) 후 【GT】
3.79079(반올림)
- 5년만기 연금 1원의 현재가치 (기초납부) : 3번식에서 【=】 4회로 바꾸고 【GT】
【+】
【1】
【=】
4.16987(반올림)
- 5년만기 연금 1원의 미래가치 (기초납부) : 【1.1】
【×】【×】
【1】
【M+】【M+】【M+】【M+】【M+】
【MR】
6.1051
- 5년만기 연금 1원의 미래가치 (기말납부) : 【1】
【M+】
【1.1】
【×】【×】
【1】
【M+】【M+】【M+】【M+】
【MR】
6.71561
※ 6,7번에서는 GT 대신 M을 사용하였는데, GT를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4. 주의
상수 계산(K 마크 표시) 중 【M+】나 【M-】 버튼을 누르면, M버튼을 누르기 전에 화면에 표시되던 값이 아니라 거기서 【=】 계산이 한번 더 시행된 후의 계산값이 M 메모리로 결과값이 더해지거나 빼지는 작업이 이루어지므로 주의하셔야 합니다.
댓글9
-
1
세상의모든계산기
키 입력 해석 1.12
÷÷
÷1.12 반복계산 지정 10000
M+
M+
M+
10000 을 입력하여 화면에 10000 표시되게 함
M+ 누르면 (현)화면값÷1.12=10000÷1.12 의 계산값을 화면에 다시 표시하고 그 값을 M 메모리에 더함
M+ 또 누르면 위 과정이 다시 반복됨.
10000÷1.12÷1.12
M+ 또 누르면 위 과정이 다시 반복됨.
10000÷1.12÷1.12÷1.12
-------------------------------------------------
여기까지 하면
8928.5714 + 7971.9387 + 7117.8082 ≒ 24018.3126 이 M 메모리에 저장됨
100000
==
M+
(아직 상수계산 기능이 유지되는 상태에서)
+ 100,000/(1.12)³ 계산값을 추가해주는 과정.
== 입력이 2번인 것에 주의!
M+ 누를 때 = 계산이 1회 더 일어나기 때문
MR M 메모리에 저장된 값을 최종 확인 (최종 결과만 필요하다면) 좀 더 스마트하게 3기말 현금흐름을 한번에 처리할수도 있겠죠.
【1.12】【÷】【÷】【10000】【M+】【M+】【110000】【=】【=】【M+】【MR】
- 2
- 1
-
세상의모든계산기
CASIO 이외 회사 제품 중에서 K 타입이 있는지?
실물은 한번도 못봤습니다만... 드물게 있기는 있나봅니다.
일반 계산기 판매사 중에서는 그래도 한번쯤 들어봤을법한 이름인
TIMEBIRD(시간새)의 SJC-508N 판매글 설명서에 보니 이렇게 나옵니다.
(디자인 외형은 JS-20LA 카피 버전입니다)
설명서에 나와 있으니 설명서가 오류일 가능성은 낮아 보이지만,
동일한 모델명인데 디자인이 바뀐 리뉴얼 제품이 있는 것 같습니다. 그 제품으로 배송이 이루어질 수 도 있으니 구입에 주의하셔야 할 듯 보입니다.
-
1
세상의모든계산기
알리에서 팔리는 제품인데,
설명서는 확인 못했지만, 액정에 K 마크가 보입니다. (이미지 합성 과정에서 잘 못 들어갔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그리고 MU 버튼도 있어서, K 타입이 아닐 가능성이 올라갔습니다.
검색해 보니 나름 홈페이지도 있고, 제품 설명도 있네요. 웬일로...
여기 보니 K 가 아니고 E 였습니다.
낚일 뻔 ㅋㅋ
탈락!
-
세상의모든계산기
반대로 카시오 계산기 중에서 Non-K 타입을 구분하는 방법은?
딱히 계산기 정보에 표시해 놓지 않으니,
설명서를 보거나 직접 사용해 보지 않고서는 파악하기 힘듭니다.
다만, K타입 중에서【MU】버튼이 있는 것은 없는 듯 합니다.
고로 【MU】버튼이 있다면 non-K 타입으로 볼 수 있겠습니다.
얘를 들자면 MX-120B / DX-12S / AX-120ST / MX-12B / AX-12B / DJ-120D (구형)
100% 확실한 건 아니니, 반대 사례를 보셨다면 제보 부탁드립니다.
-
1
세상의모든계산기
【MU】버튼은 있지만 K 타입이라구!
MJ-120D Plus (신형) / DJ-120D Plus (신형) 은 일단 K타입이 확실해 보입니다.
참고 : https://allcalc.org/board_basic/44168#comment_48059
세상의모든계산기 님의 최근 댓글
예시11) 선형 연립방정식에서 답이 false 로 나올 때 https://allcalc.org/55823 2025 10.22 approx(참 해) 값이 이상하게 튀는 것 같아서 AI를 이용해 (python 으로) 구해보았습니다. * python 의 유효자릿수가 nspire 의 유효자릿수(14자리~15자리)보다 더 길기 때문에 시도하였습니다. ** 원래는 wolfram alpha 로 구해보려고 했는데, 울프람에서는 수식 길이가 너무 길다고 거부하는 바람에 포기하였습니다. 그 결과, AI approx(참 해) 값은 정상 범주에 포함되었고, 이는 solve()로 구한 대부분의 결과값과 유사하였습니다. 그럼 nspire 의 approx(참 해)는 왜 튀었나? 참 해에 더하기,빼기,곱하기,나누기 가 너무 많이 포함되어 있다보니, 모두 계산하고 나면 오차가 누적&증폭되어 버리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오히려 solve의 numeric 한 접근보다도 더 큰 오차가 발생한 듯 하고, 그래서 적절한 해의 x 구간을 벗어나버린 듯 합니다. 그것이 처음의 solve 에서 false 를 이끌어낸 주 원인이 아니었을까요? (추정) 2025 10.21 그래프로 확인 그래프 함수로 지정하고, 매우 좁은 구간으로 그래프를 확대해 보면 불연속적인 그래프 모습이 확인됩니다. 이것은 한계 digits(15자리) 이상을 처리하지 못하기 때문일 것이구요. 다만 특이한 점은, 그래프상으로 교점에 해당하는 구간이 73.049507058477≤x≤73.049507058484 사이로 나오는데 -> 이 구간은 'solve에서 여러 방법으로 직접 구해진 해들'은 포함되는 구간입니다. -> 하지만, '참값인 해를 계산기로 구한 appprox 값 x=73.049507058547'은 포함되지 않는 구간입니다. 2025 10.21 tns 파일 첨부 sol_num_vs_exact.tns 2025 10.21 검증하면 1번 식을 x에 대해 정리하고, → 그 x 값을 2번 식에 대입해 넣으면 → 그 결과로 x는 사라지고 y에 대한 식이 되니, y에 대해 정리하면 참값 y를 얻음. 얻은 y의 참값을 처음 x에 대해 정리한 1번식에 대입하면 참 값 x를 얻음. 구해진 참값의 근사값을 구하면 x=73.049507058547 and y=23.747548955927 참 값을 approx() 로 변환한 근사값은 원래 방정식 모두를 만족할 수 없지만, linsolve() 로 찾은 근사값과, AI로 참 값을 근사변환한 값은 원래 방정식 모두를 만족할 수 있습니다. 2025 10.21